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뉴스
"
행성
"(으)로 총 1,542건 검색되었습니다.
2032년 지구 충돌 가능성 1.2% 소
행성
발견…최대폭 100m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토리노 척도는 소
행성
이 지구에 충돌할 확률과 충돌했을 때 발생하는 예상 피해에 따라 위험도를 분류한 기준으로 위험이 전혀 없는 0부터 인 ... NASA)이 이끄는 IAWN은 소
행성
을 추적하고 특성화하며 충돌 결과를 평가할 예정이다. SMPAG는 소
행성
의 잠재 영향을 중이기 위한 방안을 물색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손상 없이 지구에 온 소
행성
'베누' 샘플
동아사이언스
l
2025.02.01
네이처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는 소
행성
베누에서 가져온 샘플에 담긴 나트륨 광물의 이미지가 실렸다. 보라색으로 표 ... 비롯한 여러 천체에 생명체를 구성하는 원재료를 전달하는 역할을 했을 것”이라며 소
행성
파편을 통해 지구 생명체가 탄생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 ...
"화성에 성조기 꽂겠다" 트럼프 공약에 전문가들 '회의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수 있는 시기는 제한적이다. 화성과 지구는 공전 주기가 서로 다르며 탐사에 최적화된
행성
정렬 시기는 26개월마다 한 번씩 찾아온다.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에는 2026년 말과 2028년 말 단 두 차례뿐이다. 유인 우주탐사에 앞서 무인 우주탐사를 할 기회조차 충분하지 않을 수 있는 시간이다. ... ...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세계 최고 우주망원경 일부 '실명'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외계
행성
연구는 재생 수소 제조 단지 건설로 인해 큰 타격을 입지 않겠지만 외계
행성
에서 반사되는 희미한 빛이나 먼 초기 우주에 대한 연구는 많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칠레 정부가 자국에서 만든 수소 등 재생에너지를 해외에 대규모로 수출할 계획을 갖고 있어 에너지 회사 ... ...
"LA 산불·뉴욕 폭설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행성
파)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과 핵심 메커니즘을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행성
파는
행성
대기 가운데에서 공통적으로 관측되는 풍계(바람 계통)를 뜻한다. 연구팀은 전지구기후모델 실험을 활용해 해수면 온도 상승 및 북극 해빙(바다 얼음) 감소가 겨울철 대기의 대규모 흐름을 더욱 강화시킬 ... ...
[사이언스게시판] 우주청, 2025년 항공우주인 신년인사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일대에서 올해 첫 특별관측회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관측회에서는 태양계
행성
인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밤하늘에 줄지어 떠 있는 '
행성
정렬'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 천체망원경으로 천왕성과 해왕성, 목성의 4대 위성과 토성의 고리도 확인해 볼 수 있다. 관측회 당일 ... ...
"우주산업서 한국만의 경쟁력, 우주 태양전지에서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더 발전하면 우주에서 태양광을 모아 지구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며 "또 인류가 이주할
행성
에서 태양광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할 때도 우주 태양전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래는 안 대표와의 일문일답. Q.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항공우주공학을 전공했다. 어떻게 태양전지 기술을 ... ...
올해가 태양 극대기라는데…작년 강력한 태양풍에 지구 자기권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1.13
지구 궤도에 도달했다. 그러면서 지구 자기권이 강하게 압축되고 남쪽으로 향한
행성
간 자기장과 지구 자기장 사이에 강력한 자기 재연결이 발생했다. 지구 고위도 상층 대기에 에너지 유입이 증가해 지구 열권이 가열됐으며 전리권의 전자 밀도 변화가 일어났다. 연구팀은 남극 ... ...
격한 충돌 아닌 '키스'로 형성된 명왕성 위성 '카론'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이름이다. 지구는 위성인 달보다 질량이 약 81배 크다. 달은 수십억 년 전 지구에 거대 소
행성
이 충돌한 후 튀어나온 파편들이 뭉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명왕성과 카론도 충돌로 형성됐을 것이라고 추측됐지만 파편이 유체처럼 움직이는 지구·달 충돌 모델은 현재 카론의 크기와 궤도를 ... ...
한국 과학자 참여한 우주망원경 발사하고 양자컴도 시연
동아사이언스
l
2025.01.06
공간 정보를 얻어 우주 탄생의 비밀에 실마리를 제공하거나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는
행성
계 탐색에 기여한다. 한국천문연구원이 스피어엑스에 최적화해 개발한 극저온 진공챔버. NASA/JPL-Caltech 제공 ● 국내 개발 초전도 양자컴퓨터 3월 내 시연 최근 해외 연구 결과가 연달아 나오며 관심을 끈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