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황화
유화
뉴스
"
황화현상
"(으)로 총 41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나트륨이차전지 앞당길 음극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나트륨이차전지의 성능을 개선할 새 음극 소재가 개발됐다. 리튬 대신 쉽게 구할 수 있는 나트륨을 활용한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게 기여할 전망이다. 한국연구재단은 김도경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연구팀이 게르마늄 황화물 전극을 개발하고, 전기화학적 구동 원리를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 ...
KIST, 차세대 양자점 태양전지 출력전압 떨어지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9
KIST-MIT 공동연구팀이 양자점 재료의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 공공결함이 태양전지의 출력전압 값을 크게 제한함을 나타내는 사실을 밝혀냈다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양자점 태양전지에서 출력전압의 손실이 생기는 원인을 규명했다. 차세대 태양전지의 전압 출력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 ...
부부 머리 맞댄 '나노 입자 리모콘', 세계 최초로 미세 액체방울 원격조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1.11
나노 계면활성제로 둘러싸인 액체방울이 레이저를 비춘 지점으로 모인다. 약 8초 후에는 육각형을 이루며 압축적으로 조립된다. 액체방울이 레이저를 향해 움직이는 것은, 나노입자가 빛을 흡수하고 액체를 데워 만드는 대류 때문이다. - IBS 제공 수십 나노미터(㎚, 10억 분의 1m) 크기의 초소형 액 ... ...
과학자들이 ‘에이리언’ 찾는 3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5.19
영화 ‘에이리언’ 시리즈의 최신작 ‘에이리언: 커버넌트’가 9일 개봉해 누적 관객 100만 명을 넘어섰다. ‘에이리언’은 우주를 자유롭게 여행하는 먼 미래를 배경으로 사람을 숙주로 삼는 외계 생명체와 그에 대항하는 지구인들의 이야기다. 1979년 첫 ‘에이리언’ 개봉 후 꾸준히 인기를 끌고 ... ...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
과학동아
l
2016.12.05
University of Cambridge 제공 영국 과학자들이 사람의 소장 내 세포 구조를 적용한 새로운 리튬-황화물 배터리 시제품을 만들었다고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10월 26일자에 밝혔다. 최근 많이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보통 흑연으로 만든 음전극과 산화 리튬 코발트로 된 양전극, 그리고 가 ... ...
부산-울산 또 악취… ‘지진 괴담’ 확산
2016.09.26
2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가스 및 악취 발생 관계기관 안전점검회의에 참석한 한 관계자가 부산과 울산의 가스냄새 민원 신고지점들이 표시된 지도를 살펴보고 있다. - 포커스뉴스 제공 부산과 울산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가스 냄새와 악취가 또다시 발생했다. 주민들은 “지진 전조 ... ...
필리핀 ‘엘니도’ 바다색이 에메랄드빛인 이유
2016.08.28
필리핀 엘니도에 있는 '빅 라군'의 모습. 유난히 맑은 바다의 색이 긴 여정의 피로를 씻어준다. - 엘니도=권예슬 기자 yskwon@donga.com 기지개를 크게 펴며 긴 시간 구겨졌던 몸을 폈다. 고개를 들고 보니 에메랄드빛 바다가 자태를 뽑내고 있었다. 여행의 종착지인 ‘엘니도’에 도착한 것이다. 필 ... ...
이차원 나노 물질에서 전하 빨리 움직이는 이유 찾아
2016.05.16
연구진은 황화몰리브덴과 이황화텅스텐이 접합된 이차원 나노 물질이 빛을 받으면 활성화된 정공(h)이 양자역학적으로 두 물질에 동시에 존재하다가 안정한 이황화텅스텐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작은 원자가 한 겹으로 배열돼 있는 이차원 나노 물질 ... ...
자외선만 내뿜는 양자점 LED 나왔다
2015.06.01
국내 연구진이 순수하게 자외선만 내뿜는 고출력 양자점 발광다이오드(LED)를 개발했다. 이창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차국헌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이성훈 화학부 교수팀은 37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파장대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양자점 LED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 ... ...
전력 없어도 구부리면 빛나는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11.20
미케노 발광 현상을 나타낸 이미지. 물질의 형태가 바뀌면 빛이 나는 자연 현상을 뜻한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제공 세상에는 깨지거나 형태가 변하면서 스스로 빛을 내는 물질이 있다. 아직 원리가 명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처음 발견한 학자의 이름을 따 ‘미케노 발광 현상’이라고 부른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