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극
동요
열성
열기
열정
정열
불안
뉴스
"
흥분
"(으)로 총 422건 검색되었습니다.
뇌파 닮은 초음파로 인지기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뿐 아니라 초음파 신경 조절의 분자적 변화 메커니즘을 밝혔다”며 “비정상적인 뇌
흥분
및 억제와 관련된 뇌질환의 치료,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24일 게재됐다. 초음파 자극을 가한 뒤 나타나는 ... ...
실제 뇌기능 구현한 '오가노이드', 3D프린팅으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2
프린팅했다. 한 구조체는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는 억제성 신경세포와
흥분
성 신경세포를 결합한 형태였다. 신경세포의 활성을 돕는 성상세포도 만들었다. 연구팀이 만든 신경세포는 대체로 전기 신호를 생산했고 성상세포는 신경전달물질 글루타메이트를 흡수해 실제 뇌에서 ... ...
DNA·체액만으로 용의자 특정…과학수사의 진화
과학동아
l
2024.01.13
어느 날 새벽, 대검찰청 과학수사부의 담당 연구사에게서 전화가 한 통 걸려왔다. 그는
흥분
한 목소리로 “아니 피가 섞인 침이 있더라고요!”라고 했다. 이 이야기가 무슨 뜻인지 이해하는 데에는 시간이 조금 걸렸다. 그러니까 임 씨의 앞치마에서 발견된 체액흔 중 하나에 호 씨의 타액이 섞여 ... ...
난치 유전질환 유전자가위 치료 시대 열렸는데...국내선 임상 시도도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망막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면서 당시 국제 의과학계는
흥분
을 감추지 못했다. 김 교수와 김형범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2021년 세계 최초로 프라임 교정 기술을 통해 동물모델에서 유전자를 교정하는 데 성공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 ... ...
美 첫 민간 달 착륙선 '페레그린' 8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존 손턴 아스트로보틱스 최고경영자(CEO)는 이에 대해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전율과
흥분
도 있지만 많은 것들이 걸려 있어 두려움도 크다"고 전했다. 크리스 컬버트 NASA CLPS 프로그램 매니저는 "달에 착륙하는 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실패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NASA는 CLPS ... ...
인간은 '꼬꼬댁' 소리 듣고 닭 기분 알아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반대로 주지 않을 때 등의 상황에서 녹음됐다. 이를 들은 실험참가자 351명 중 69%는 닭이
흥분
을 한 상태나 불쾌한 상태일 때를 정확하게 구분했다. 연구팀은 “인간이 다른 종이 내는 발성의 감정적 맥락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증거”라며 “닭의 감정을 알아채는 능력은 닭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절지동물을 비롯한 무척추동물의 신경세포에 있는 나트륨 통로 단백질에 달라붙어
흥분
(신호전달)을 멈추지 않게 해 근육수축과 마비를 일으키고 궁극적으로 죽음에 이르게 한다. 피레트린은 단백질이 기능을 하는데 결정적인 부위에 달라붙기 때문에 돌연변이가 일어나 붙지 못하게 되더라도 ... ...
성탄절에 '음경 골절' 위험 증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24
시즌
흥분
이 고조되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vladans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크리스마스 시즌이 되면 ‘음경 골절’ 사고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랑의 계절이지만 과도하게 열정적인 사랑은 의학적 응급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다. 니콜라오스 피르기데스 ... ...
뇌 신경 '피복' 벗겨지는 다발성 경화증, 줄기세포가 치료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이번 연구는 다발성 경화증의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단계로 그 결과에 매우
흥분
된다”고 말했다. 다발성 경화증은 중추신경계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200만명이 앓고 있으며 주로 20~40대 젊은 연령층에서 발생한다. 발병 원인은 유전적 원인으로 추정될 뿐 ... ...
쾌감 부르는 신경물질 '도파민' 실시간 측정 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3.11.27
펑셔널 머터리얼즈'에 10월 온라인 게재했다고 27일 밝혔다. 도파민은 뇌신경 세포의
흥분
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의 하나다. 쾌감, 즐거움, 동기부여, 기억, 보상 등의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파민이 분비되면 맥박수와 혈압이 오르면서 쾌감을 느끼게 된다. 뇌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