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극
동요
열성
열기
열정
정열
불안
뉴스
"
흥분
"(으)로 총 42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신경세포 연결의 숨은 지휘자, MDGA 단백질의 비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단백질이 삭제되면 억제성 시냅스의 숫자와 강도가 증가하고 MDGA2 단백질이 삭제되면
흥분
성 시냅스의 특성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고재원 교수는 "논란이 많았던 MDGA 단백질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논문"이라며 "신경세포 외의 세포들에서의 MDGA 단백질 기능을 연구 중"이라고 ... ...
신경병증성 치료 실마리 '별세포'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척수가 정상화되는 모습을 관찰했다. 남 연구원은 “별세포의 가바에 의한 지속성
흥분
이 척수 신경 과민성의 원인이자 신경병증성 통증의 핵심 기전”이라며“이러한 결과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을 위한 중요한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별세포와 ... ...
자폐아가 일상의 작은 자극에도 괴로운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있는 '전측 대상회피질'이 과도하게 활성화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로 인해 신경세포에서
흥분
성 신경 전달 물질이 증가하고 전측 대상회피질과 다른 뇌 영역 간에 연결성이 과도하게 이뤄졌다. 연구팀이 전측 대상회피질 신경세포가 과하게 활성되는 것을 화학유전학적 방법으로 억제하자 전측 ... ...
내 적의 적은 친구?…통계물리학이 규명한 '정치적 양극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5.06
긍정과 부정이 혼합된 모든 시스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코바츠 교수는 "뇌의 신경
흥분
과 억제의 상호작용 네트워크, 질병 치료를 위한 약물 조합법을 살펴보는 데도 활용될 수 있다"며 "우리의 관심은 친구 사이의 관계를 넘어 다른 복잡한 네트워크를 살펴보는 것"이라고 밝혔다. ... ...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과학동아
l
2024.04.20
(doi: 10.1523/JNEUROSCI.3097-16.2017) 편도체의 억제성 뇌세포가 강하게 자극되면 편도체의
흥분
성 뇌세포들이 활성화되는 것을 막는다. 이에 따라 편도체의 주요 기능인 충동 행위 억제 기능이 줄며 중독을 일으키는 자극적 행위에 쉽게 빠져들 수 있다. 해당 연구를 함께 살펴본 김주현 선임연구원은 ... ...
음악이 감정을 강렬하게 자극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음악을 들으면 마음이 안정될 때도 슬퍼질 때도 있다. 때로는
흥분
되고 불안해지기도 한다. 과학자들이 이처럼 음악이 강렬한 감정 자극을 일으키는 이유를 밝히기 위해 진행한 ‘신체 지도화’ 결과가 공개됐다. 음악이 심장을 포함한 신체 감각에 영향을 미쳐 감정을 ... ...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고통 치유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화학적 신호 전환이 일어나면서 공포 반응이 유도됐다. 배측봉선핵에서 급성 스트레스는
흥분
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를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로 전환해 공포의 일반화를 유도한다는 점을 발견한 것이다. 연구팀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로 고통받은 사람의 사후 뇌를 ... ...
뇌파 닮은 초음파로 인지기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뿐 아니라 초음파 신경 조절의 분자적 변화 메커니즘을 밝혔다”며 “비정상적인 뇌
흥분
및 억제와 관련된 뇌질환의 치료,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24일 게재됐다. 초음파 자극을 가한 뒤 나타나는 ... ...
실제 뇌기능 구현한 '오가노이드', 3D프린팅으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2
프린팅했다. 한 구조체는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는 억제성 신경세포와
흥분
성 신경세포를 결합한 형태였다. 신경세포의 활성을 돕는 성상세포도 만들었다. 연구팀이 만든 신경세포는 대체로 전기 신호를 생산했고 성상세포는 신경전달물질 글루타메이트를 흡수해 실제 뇌에서 ... ...
DNA·체액만으로 용의자 특정…과학수사의 진화
과학동아
l
2024.01.13
어느 날 새벽, 대검찰청 과학수사부의 담당 연구사에게서 전화가 한 통 걸려왔다. 그는
흥분
한 목소리로 “아니 피가 섞인 침이 있더라고요!”라고 했다. 이 이야기가 무슨 뜻인지 이해하는 데에는 시간이 조금 걸렸다. 그러니까 임 씨의 앞치마에서 발견된 체액흔 중 하나에 호 씨의 타액이 섞여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