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구락지
두꺼비
frog
개구리참외
참외
개구리헤엄
헤엄
스페셜
"
개구리
"(으)로 총 45건 검색되었습니다.
개구리
피부로 5000만명 살렸다…인류 구한 황당한 과학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새처 마운트시나이의대 소화기내과 교수는 1965년 방글라데시에서 콜레라를 연구하던 중
개구리
피부를 이용해 콜레라 환자의 장 활동을 실험하는 실험 기구를 개발했다. 새처 교수는 콜레라를 생물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이 기구를 개발했다. 하지만 이 기구는 콜레라 치료제 개발용 실험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2019.06.04
세 손가락 안에 들어가는 사람이 받는다는 걸 깨달았다. 영어회화를 전혀 못 해 우물 안
개구리
로 살아 서구 과학자와 인맥이 전무해도 독창적인 연구결과만 있으면 알아서 챙겨준다. 낚시에 비유하자면 우리나라는 준척급 붕어는 꽤 낚고 있음에도 월척 손맛은 아직 못 본 형국이다. 그런데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⑧ 소프트웨어 속 '벌레' 알려주기
2019.04.23
같이 긍정적인 면을 이용하면 문제될 것이 없다. 버그를 느끼게 할 차례다. 아이에게
개구리
를 나비에 계속 붙여보라고 했다. 역시나 나비는 커지기만 했다. 이상하지 않냐는 질문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아이는 깔깔거리며 좋아하기만 했다. 아이에게도 비정상적으로 보였겠지만 그 엉뚱함이 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동물에 대해서도 방어용으로만 독액을 쓰는 게 아니라 이를 잡아먹는 용도로도 쓴다. 즉
개구리
나 생쥐처럼 덩치가 열 배 이상 큰 동물도 지네에 물리면 30초 이내에 제압될 정도로 독이 세다는 말이다. 사람도 조심해야 하는 이유다. 몸무게가 3g에 불과한 지네가 45g인 생쥐를 공격하는 장면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파란색의 심리적 효과는 사라진다. 멜라놉신은 쥐나 사람 같은 포유류뿐 아니라
개구리
같은 양서류에도 존재하는 빛수용체다. 즉 멜라놉신이 파란빛을 감지해 낮과 밤의 정보를 주는 메커니즘은 오래 전에 진화했다는 말이다. 반면 우리가 느끼는 색의 심리적 효과는 영장류가 3색형 색각(trichromacy) ... ...
미국 대통령이 알아야 할 6가지 과학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6.10.23
사이언스 제공 10월 21일자 ‘사이언스’ 표지에는 고글을 끼고 실험을 하는 모습의 코끼리와 당나귀 그림이 실렸다. 코끼리는 미국 공화당을, 당나귀는 미국 민주당을 ...
개구리
와 약 4800만 년 전에 종 분화가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에 대한 상세 기사 보기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감각시스템이 먼저 생겨났을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멜라놉신 같은 빛수용체는
개구리
피부세포에서 처음 발견됐다. 생명체가 빛의 존재유무를 안다는 건 지구의 자전, 즉 24시간 주기에 따라 살아갈 수 있게 된다는 말이다. ● 빛의 유무가 일주리듬을 갖게 하지만… 많은 동물들이 빛으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넷 달린 변이체(오른쪽 아래). - 칼텍 제공 호메오유전자는 초파리(곤충)뿐 아니라
개구리
(양서류), 쥐(포유류)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유럽에서는 사람을 대상으로 이런 연구를 할 수 없어 게링 교수는 박사후연구원으로 있던 마이클 리바인 교수가 미국 버클리 캐릴포니아대로 ... ...
[만화]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KISTI
l
2014.01.16
영하의 날씨에도 얼지 않는 부동액 형태의 체액을 만들어 겨울잠을 잘 수 있게 해. 이때
개구리
의 심장은 멈추고 반(半)뇌사상태에 빠진단다. 어때 맘에 드니?” “시, 심장이 머, 멈춘다고요??” “좀 무섭나? 그럼 박쥐나 다람쥐 같은 소형 정온동물 형태는 어떠냐. 얘들은 체온을 천천히 섭씨 ... ...
본다는 것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이라는 새로운 옵신 단백질이 존재함을 밝힌 연구결과였다. 참고로 멜라놉신은 1998년
개구리
의 피부세포에서 처음 발견됐다. 망막은 3개의 층으로 이뤄져 있는데 수정체를 통과한 빛이 처음 지나가는 가장 안쪽에 신경절세포층이 분포하고 그 다음에 내핵층이, 그리고 맨 바깥인 외핵층에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