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절
부인
사절
낙방
낙선
부결
퇴사
스페셜
"
거부
"(으)로 총 42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
2023.11.08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시대착오적이고 퇴행적인 ‘추격형 국제협력’도 과감하게
거부
해야 한다. 쿼터를 채우는 목적으로 잘못 활용되고 있는 대통령실의 과학기술 인사 정책도 분명하게 개선해야 한다. 원로의 상식적인 발언을 카르텔로 왜곡해서 과학기술에 대한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안 된다. 카슨이 인류의 기근과 질병을 가볍게 여겼다고 볼 이유도 없다. 카슨이
거부
했던 것은 농약 자체가 아니라 농약을 핑계로 눈앞의 이익을 챙기기 위해 환경에 미치는 피해를 외면해버린 비윤리적인 농약 제조사였다. 물론 농약 제조사와의 야합으로 권력과 부를 누리던 정치인들의 폐해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
2023.08.30
EU)은 물론 태평양도서국(PIF)까지 동의하는 일을 유독 우리만 거칠게
거부
하고 있다. 심지어 정치적 이유로 정부 차원에서 오염수의 태평양 방류를 반대하고 있는 중국조차 우리의 소금 사재기를 ‘비이성적’이라고 비웃으면서 ‘한국을 따라 하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는 형편이다. 과학기술계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랫사람' 착취가 당연한 사회의 '그늘'
2023.07.08
것은 아닐까. 결국 아무 것도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을 학습한 사회에서 착취의 세습을
거부
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많은 이들이 ‘나는 저렇게 살고 싶지 않다’고 또는 ‘더 이상 이렇게 살고 싶지 않다’고 생각한다. 사회에 대한 희망이 없기에 나라도 살 길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시들해지는 과학영재학교 열풍
2023.06.20
중3 학생의 감소 폭보다 더 크게 줄어들었다. 2022년부터 지원자 통계 공개를
거부
하고 있는 한국과학영재학교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일반고의 2배가 넘는 예산을 쏟아부어 운영하는 과학영재학교가 ‘이공계 엘리트 코스’가 아니라 사실상 ‘의대 입시학교’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근거 없는 '괴담'
2023.05.09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는 잘못된 대응은 확실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당당하게
거부
해야 한다. 그러나 양보해야 하는 것은 확실하게 양보해주는 합리적인 자세도 필요하다. 재앙적인 자연재해는 일본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일본 정부가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개의 머리를 다른 개에 이식하다
2023.04.25
해야 할지 판단하기가 어렵다. 단 원숭이가 사망한 이유가 수술 실패라기보다는 면역
거부
반응이 원인이었으므로 머리 이식이 성공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화이트는 그 후로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중지했지만 1990년대가 되자 하반신을 못쓰는 유명인을 상대로 다시 수술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방울토마토 먹고 배탈 난 과학적 이유
2023.04.05
토마틴이 축적된 것으로 보인다. 아마 단맛도 꽤 있어 토마틴의 쓴맛이 가려져 아이들이
거부
감 없이 먹은 게 아닐까. 신품종을 개발할 때는 다양한 조건에서 재배해 결과물을 평가해야 하는데, 저온 스트레스 실험을 소홀히 했던 것 같다. 이 품종을 재배한 농가가 세 곳에 불과했고 그나마 한 곳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19 긴 터널의 끝자락...초라한 K방역
2023.04.04
개발한 진단키트도 충분히 활용하지 못했다. 검사의 정확도에 대한 일부 전문가들의
거부
감에는 실제로 은밀한 정치적 의도가 감춰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2021년 11월에 시작된 어설픈 일상회복은 최악의 악수(惡手)였다. 오미크론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는 상황에서 백신 접종 기록을 근거로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
2023.03.24
비슷한 질감의 벽지나 구조, 조명, 냄새 등이 나는 방에 가더라도 예전 기억 때문에 역시
거부
감이 느껴질 수도 있다. 이제 생쥐들에게 공포 조건화에 사용되었던 (더이상 중립적이지 않은) 환경 및 자극을 고통을 주는 전기 자극 없이 반복적으로 노출시켜보자. 그러면 새로운 ‘학습’이 발생한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