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절
부인
사절
낙방
낙선
부결
퇴사
스페셜
"
거부
"(으)로 총 43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집단 이기주의’로 몰아붙이는 현실은 황당한 것이다. 의대생까지 나서서 의대 증원을
거부
하는 현실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의료 개혁의 본질이 심각하게 변질되어 버렸다. 의료 개혁의 단초였던 ‘응급실 뺑뺑이’와 ‘소아과 오픈런’이 단순히 의사 수의 부족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주장도 화학에 대한 무지를 보여주는 황당한 상상력이다. 제설제가 편리한 것은 아무도
거부
할 수 없는 진실이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지나치면 넘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세상에는 공짜가 절대 없는 법이다. 우리에게 성가신 눈을 말끔하게 녹여주는 대가도 반드시 우리의 감당해야 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
증 극복해야
2024.01.17
지켜진다고 우기는 환경전문가의 억지도 볼썽사나운 것이다. 불소에 대한 무분별한
거부
증에서 시작된 불필요하고 불합리한 규제는 과감하게 철혜하는 것이 마땅하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탓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모든 것이 ‘중국’에서 시작되었다는 억지는 중국에 대한
거부
감만 증폭시킬 뿐이다. 중국의 억지에도 불구하고 야체와 젓갈을 섞어서 만드는 ‘김치’는 ‘파우차이’(泡菜)와 분명하게 구분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음식이다. 물론 UN이 매년 발행하는 기념우표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예견된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농업용 비료 걱정해야
2023.12.06
소식도 있었다. 실제로 10월 초에는 일부 대형 비료 제조업체가 우리 기업과의 계약을
거부
하는 듯한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정부의 실질적인 대응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요소 수출 시도를 그냥 두고 본 셈이기 때문이다. 중국의 이번 조치가 공식적인 것도 아니고 정치적 의도도 없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적인 영역, 선 넘지 않기의 중요성
2023.12.02
가질 수 있게 된다. 만약 딱히 나쁜 일은 없었지만 왠지 모르게 불편하게 느껴지고
거부
감이 드는 관계가 있다면 자신이 이 관계에서 원하는 것은 무엇인고 상대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혹시 누군가의 바운더리가 침해된 적은 없는지 생각해 보는 것도 좋다. 나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기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
2023.11.08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시대착오적이고 퇴행적인 ‘추격형 국제협력’도 과감하게
거부
해야 한다. 쿼터를 채우는 목적으로 잘못 활용되고 있는 대통령실의 과학기술 인사 정책도 분명하게 개선해야 한다. 원로의 상식적인 발언을 카르텔로 왜곡해서 과학기술에 대한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안 된다. 카슨이 인류의 기근과 질병을 가볍게 여겼다고 볼 이유도 없다. 카슨이
거부
했던 것은 농약 자체가 아니라 농약을 핑계로 눈앞의 이익을 챙기기 위해 환경에 미치는 피해를 외면해버린 비윤리적인 농약 제조사였다. 물론 농약 제조사와의 야합으로 권력과 부를 누리던 정치인들의 폐해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
2023.08.30
EU)은 물론 태평양도서국(PIF)까지 동의하는 일을 유독 우리만 거칠게
거부
하고 있다. 심지어 정치적 이유로 정부 차원에서 오염수의 태평양 방류를 반대하고 있는 중국조차 우리의 소금 사재기를 ‘비이성적’이라고 비웃으면서 ‘한국을 따라 하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는 형편이다. 과학기술계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랫사람' 착취가 당연한 사회의 '그늘'
2023.07.08
것은 아닐까. 결국 아무 것도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을 학습한 사회에서 착취의 세습을
거부
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많은 이들이 ‘나는 저렇게 살고 싶지 않다’고 또는 ‘더 이상 이렇게 살고 싶지 않다’고 생각한다. 사회에 대한 희망이 없기에 나라도 살 길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