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면
바깥
외부
외면
얼굴
낯
밖
스페셜
"
겉
"(으)로 총 17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하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2022.02.02
없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진단과 창조적인 노력을 통한 ‘적응’의 노력이 훨씬 더 .
겉
으로만 그럴싸한 구호로 채워진 정치적 선동은 철저하게 경계해야 한다. 이덕환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 교수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감정노동하면서 '번아웃'을 막으려면
2022.01.29
심한 연기는 예상할 수 있겠지만 내면과 외면이 어느정도 일치하는 깊은 연기보다
겉
과 속이 많이 달라서 적극적으로 자신과 사람들을 속여야 하는 얕은 연기가 더 사람들의 몸과 마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95개의 기존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얕은 연기를 많이 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보다 출제 의도가 더 중요해진 수능
2021.12.22
수평적으로 비교하겠다는 시도와 조금도 다르지 않은 것이다. 많이 늦었지만 이제라도
겉
으로만 그럴 듯한 수능의 대안을 찾는 일을 시작해야 한다. 다른 나라의 제도를 베껴오겠다는 시도는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 당장 모두가 만족하는 완벽한 제도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버려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몹시 힘겨운 일상회복의 길
2021.12.08
10월 말에는 전체 인구 5135만 명 중 80.1%가 1차 접종을 끝냈고, 75.3%가 2차 접종도 완료했다.
겉
으로는 '집단면역'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보였던 것이 사실이다. 작년 12월까지의 역학적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의 기초감염재생산지수(R0값)는 평균 3.4를 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됐다. 백신에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서로의 내면을 열었을 때
2021.11.13
느끼고 있는지 같은 내적 정보를 교류할 때 비로소 심리적 거리감이 줄어들기 시작한다.
겉
으로 드러나는 피상적인 정보들은 진짜 '나'에 대한 정보를 주지 않는 반면 나의 생각, 감정, 취향, 가치관이야 말로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려주기 때문이다. 반대로 여러 번 만나더라도 내적 교류가 일어나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누리호 발사와 대통령의 이벤트
2021.11.03
무의미한 ‘우주 관광객’만 배출하고 말았다는 것이 국민의 솔직한 심정이었다.
겉
으로만 화려한 ‘이벤트’로 국민을 설득시키겠다는 시도는 더 이상 의미가 없다. 우리가 우주에 관심을 갖는 진짜 이유를 국민에게 정확하게 알려줘야만 한다. 누리호를 개발했던 연구원들이 대통령의 이벤트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든 생명은 결국 하나라는 믿음
2021.10.23
연구진은 이어 “
겉
모습은 달라도 세상 모든 것은 근본적으로 하나로 이어져 있다”, “
겉
으로는 달라 보여도 모든 것은 자신보다 훨씬 큰 어떤 존재의 일부이다”같은 문장을 보여주고 각각에 얼마나 동의하는지도 물었다. 사람뿐 아니라 동물, 환경 같은 다른 생명에도 보편적인 관심을 쏟는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는 안 돼도 GEO는 된다?
2021.10.14
번역이 멈추는 변이체도 나올 수 있다. 그러나 그 가능성이 매우 희박할 뿐 아니라
겉
모습은 별 차이가 없어 눈썰미가 있는 농부라도 변이체를 알아보지 못할 것이다. 커피 역시 게놈편집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영국의 스타트업 트로픽바이오사이언시스는 지난 2018년 크리스퍼 기술로 카페인 ... ...
'무작위성·무질서'에 담긴 규칙에서 기후위기 해결의 실마리를 찾다...노벨위원회 설명자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5
대한 미시적 설명을 제공하는 데 유용하다. 파리시 교수는 이런 통계역학을 활용해 1979년
겉
보기에 무작위적인 현상이 숨겨진 규칙에 의해 어떻게 지배되는지를 분석한 연구를 발표했다. 뜨거운 액체 유리를 찬물에 넣으면 유리 분자들이 제멋대로 자리를 찾아가 굳어진다. 뜨거운 액체 유리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어른이 더 하면 더 했지 덜 하지 않다
2021.08.21
뒤에서 안 좋은 소문을 늘어놓거나 놀림거리로 삼는 등의 행동이 한 예다. 많은 경우
겉
으로는 호의적인 태도를 보여서 대놓고 괴롭힌다는 느낌은 주지 않고 티가 나더라도 실수였다는 말로 쉽게 넘어갈 수 있는 상황을 만든다. 그래서 잘 모르는 사람들이 보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일 수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