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단함
굳음
견실
견실함
건전
경도
스페셜
"
견고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이러스기초연구소도 원점에서 검토하자
2020.07.08
연구가 따로 있다는 과기부의 인식은 매우 부끄러운 것이다. 기초·원천·응용의 구분은
견고
한 칸막이에 갇힌 관료들과 과학자를 양떼로 착각하는 과학기술정책전문가들의 철 지난 유행가일 뿐이다. 과기부의 바이러스기초연구소 설립 구상은 공식적으로 보건복지부가 어설프게 내놓았던 ... ...
"사람에게 바이러스 주입하는 '휴먼챌린지' 안전한 백신 만드는데 기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대상으로 한 무작위대조 통제 임상시험이 가장 효과적이고 일반적이며 과학적으로
견고
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백신 개발 전략임은 분명하다”며 “CHIM 개발은 백신 후보물질 개발의 후기 작업을 가속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면역 지속시간과 미래의 다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기초적인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과학기술을 소중하게 여기는 국회가 되고 싶다면
2020.05.27
책임이다. 과학기술 시대의 국회가 해야 할 일이 따로 있다. 행정부의 부처 사이에
견고
하게 쌓여있는 고질적인 칸막이를 제거하는 것이다. 지금도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바이러스연구소’를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기초’와 ‘응용’을 구분해야 한다는 낡아빠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 논문도 변해야 한다
2020.01.17
현행 과학 논문출판 시스템은 여러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재현가능하고
견고
한 연구결과들보다 흐름에 민감하고 유행하는 선정적인 연구결과들이 선호된다는 점이다. 논문 출판의 관행을 바로잡지 않으면, 결과적으로 과학계는 재현되지 않는 연구결과들과, 무한경쟁의 루프에 빠져 ... ...
KIST-공군, 국방 기술 상호 협력 기반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원장은 “이번 합의서 체결로 출연연과 군이 상호 협력하는 민군 기술협력 체계가 한층
견고
해지길 기대한다”며 “나아가 민군협력을 통한 국민 안전 및 공익 목표 달성의 좋은 전례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KIST는 설립 초기부터 총포류, 무전기, 해군 고속정, 폭발물 제거 로봇 등 ... ...
소형발사체도 재사용 시대 열렸다…'로켓랩' 재진입 테스트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보인다. 로켓랩은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는 않았으나 벡 CEO는 트위터에 “전 구간에서
견고
한 원격 기술이 1단 로켓을 해수면에 내려놨다"며 "재사용을 위한 거대한 걸음"이라고 밝혔다. 로켓랩이 향후 1단 로켓 재사용에 성공하면 1회 임무 비용인 약 500만 달러(59억 원)의 70%에 달하는 1단 로켓 비용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기구한 역사
2019.11.07
박정희 전 대통령이 정출연 중심으로 짜놓은 한국과학기술정책의 패러다임은 매우
견고
했다. 그 틀 속에서 1980년대 중반이 되면 한국과학재단의 기초연구 정책은 ‘순수기초연구’와 ‘목적기초연구’라는 틀로 갈라지게 된다. 목적기초연구란 응용이나 개발연구의 선행연구라는 의미로, 이는 ... ...
삼성 투자받은 우주스타트업 페리지, 내년 7월 발사 시동 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8
만큼 충분한 자금을 지원받았다”고 말했다. 스텔스 모드란 보이지 않지만 꾸준하고
견고
하게 회사를 운영하는 것을 뜻한다. 그만큼 충분한 자금을 확보에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는 상황이란 뜻이다. 스페이스뉴스는 이철한 삼성벤처투자 이사와 이메일 인터뷰에서 “휴대전화 회사가 ... ...
'블랙홀 그림자' 관측한 과학자들 노벨상 받을 수 있을까 …올해 노벨상 관전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19.09.22
여전히 화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성 수상자는 전체의 3%인 20명에 불과해 여전히
견고
한 유리천장이 존재함을 증명해 주고 있다. 다만 2000년 이후에 9명이 집중적으로 나오면서 거의 2년에 한 번꼴로 수상자를 배출하고 있어 올해도 수상자가 나올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물리학상에서는 2011년 ... ...
[인류와 질병] 큰 뇌를 가진 인간, 변화에 적응하는 인류에겐 숙명인 질병
2019.09.14
바람직하다. 생물이 가진 모든 형질은 타협의 결과다. 유연함을 선택할 것인지 혹은
견고
함을 선택할 것인지 기로에서 우리 조상은 유연함을 선택했다. 아마 다발성 경화증은 뉴런의 재구성 과정에서 일어나는 불일치 때문에 발병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손상이 더 빨라지거나 회복이 늦어지면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