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제개발협회
개발
국제
협회
국제경쟁력
경쟁력
경제
스페셜
"
국제경제
"(으)로 총 82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
2023.08.30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부 연구·개발(R&D) 제도 혁신방안과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1만2500년 만에 처음이라는 지난 여름의 기록적인 폭염조차 제대로 느끼지 못했던 사람들이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우 ... ...
[과기원NOW] KAIST ‘일기 쓰는 공기청정기’, 해외 픽토리얼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16
KAIST가 개발한 '일기 쓰는 공기청정기' 아레카(Areka)를 관람객들이 살피고 있다. KAIST 제공 ■ KAIST는 남택진 산업디자인학과 교수팀의 '일기 쓰는 공기청정기' 개발 논문이 지난달 미국 피츠버그 카네기멜론대에서 개최된 국제학술대회 ‘ACM DIS 2023’에서 국내 최초로 우수 픽토리얼상을 수상했다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카르텔' 지적에 눈감고 입닫은 과학계
2023.08.16
6월 28일 열린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발언하는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 제공 다시 국정의 중심에 서게 된다는 꿈에 한껏 들떠 있던 과학기술이 갑자기 막다른 골목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제 우리 사회에서 과학기술은 30조 원의 국가연구개발 예산을 나눠 먹고 갈라 먹는 ‘약탈적’ 이권 카르텔로 ... ...
[기후위기와 산림] 전세계 75% 사막화 진행...미세먼지로 되돌아온다
2023.07.1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나라는 국토의 64%가 산림으로 이루어진 나라로 어느 곳에서나 울창한 숲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 사막은 없다. 해변가의 모래사장 말고는 모래언덕을 보기도 어렵다. 그래서인지 사막을 떠올리면 아프리카와 같은 먼 나라의 일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더 이상 사막은 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후쿠시마 제1원전 수조. 연합뉴스 제공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해 침묵을 지켜왔던 과학기술계가 마침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과학기술한림원이 지난 7월 6일 원탁토론회를 통해 우리가 후쿠시마 오염수의 태평양 방류를 걱정해야 할 어떠한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사실을 밝혔다. 서울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
2023.06.28
튀르키예 안탈리아주의 키메라산 불구멍. 땅속에서 스며나오는 가스의 10%가 수소다. 위키미디어코먼스 ‘우리나라도 시작하는군.’ 지난주 TV에서 반가운 뉴스를 접했다. 한국석유공사가 본격적으로 천연수소 탐사에 들어간다는 내용이다. 천연수소(또는 자연수소)는 땅 밑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공학대학원 설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KAIST 반도체공학대학원 홍보 포스터. KAIST 제공 ■ KAIST는 미래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나갈 세계적인 인력 양성을 위해 반도체공학대학원을 설립했다고 1일 밝혔다. 이 대학원은 산업자원통상자원부의 ‘반도체특성화대학원’ 사업 및 대전시의 지원을 받아 설립됐다. KAIST의 전기및전자공학부, 신소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근거 없는 '괴담'
2023.05.09
기시다 후미오 일본총리. 연합뉴스 제공 12년 만에 복원된 한일 셔틀 외교를 위해 서울을 찾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한국 전문가들의 후쿠시마 현장 시찰단 파견’ 카드를 내놓았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해서 ‘과학에 기반한 객관적 검증’이 꼭 필요하다는 우리의 절박한 요구를 적 ... ...
[오늘과학] '습관 형성에 3주' 통념, 과학적 근거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8
게티이미지뱅크 ‘습관을 형성하는 데 3주, 21일 걸린다’는 문장은 통념처럼 받아들여진다. 미국 과학자들이 이 통념이 틀렸다는 분석을 내놨다. 콜린 카머러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행동경제학과 교수 연구팀은 “습관 형성에는 마법의 숫자가 없다’는 분석을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 ... ...
[논문감시] 데이터 오류 논문 2편, 철회에 1년 걸린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23.04.12
게티이미지뱅크 고관수 성균관대 기초의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 2건이 지난 1월 철회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유는 실험결과 오류다. 제3자가 2022년 1월 이같은 오류를 제보하며 철회가 결정된 가운데 제보 1년 후에야 철회가 결정된 배경에 관심이 모인다. 11일 리트랙션워치에 따르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