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농사"(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방역과 자살의 문화심리학2020.11.10
- 박혀있어 여전히 우리 삶을 지배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일본과 한국의 벼농사 전통은 왜 이 두 나라가 비슷하게 잘 사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개인주의가 훨씬 덜한지를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코로나19를 계기로 우리의 집단주의 민주주의가 서구의 개인주의 ... ...
-
- [인간 행동의 진화] 시대가 변하면 명당도 바뀐다2020.11.01
- 농사를 짓기도 좋고, 집을 짓기도 좋고, 가축을 기르기도 좋은 곳이다. 전 인구의 90%가 농사짓고, 가축치던 충적세에는 분명 이런 곳이 좋은 땅이었을 것이다. 입증할 방법은 없지만, 아마도 풍수지리는 ‘더 좋은 정착지’를 찾으려는 초기 인류의 지혜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시대가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2020.08.11
- 못하고 따라서 수확량에 차질이 생긴다. 침수가 3일 이상 이어지면 벼가 죽기 시작해 농사를 완전히 망친다. 국내에서는 이런 극단적인 일이 일어나지 않지만 우기에 많은 비가 내리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는 침수로 인한 수확량 감소로 매년 10억 달러(약 1조2000억 원)가 넘는 손실을 보고 ... ...
-
- [주말 고고학산책]강인한 전사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버렸나2020.01.18
- 고고학자들은 이 기온 저하가 그린란드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했습니다. 추워져서 농사가 실패하자, 부족한 식량을 바다에서 보충해야 했던 겁니다. 기근에 캐나다에서 건너온 이누이트족의 공격까지 이어지자, 15세기 초 남은 바이킹은 그린란드를 떠났습니다. 제아무리 위대한 ... ...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2020.01.04
- 것은 신석기 이후지만, 그 이전부터 야생 곡물을 먹었을 것이다. 호주 애버리지니는 농사를 짓지 않지만, 야생에 널린 씨앗을 채집하여 먹는다. 그런데 곡물의 영양소는 상당 부분 녹말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소화가 어렵다. 날곡식을 먹으면 배탈이 나는 이유다. 그런데 요리는 이런 문제를 일거에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혈압 예방에 유산소운동이 좋은 진화론적 이유2019.12.17
- 것 같은 저강도의 지구력 활동을 했다. 한마디로 늘 분주해야 먹고 살 수 있었다. 농사를 짓게 된 뒤에도 인구 대부분에서 상황은 그다지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오늘날은 소수의 사람만이 이런 생활을 하고 있고 다수는 침팬지 이상으로 정적인 삶을 살고 있다(나무를 탈 ... ...
-
- [인류와 질병] 고기 먹는 국가에 비만이 오히려 적다? '식단의 진화'2019.10.27
- 충치도 유발할 수 있다. 약 1만 3000년 전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농경이 시작됐다. 농사는 사실 어쩔 수 없이 한 측면이 크다. 더는 수렵이나 채집으로는 생계를 영위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인구가 증가한 것이다. 수렵채집인은 농경을 할 줄 몰라서 못 한 것이 아니라, 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안 ... ...
-
- [인류와 질병] 비만의 진화2019.10.19
- 따라서 엡실론 4 유전자를 가진 사람에게는 좋지 않은 식단이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농사를 지은 동아시아인이나 유럽인은 엡실론 4 유전자 빈도나 낮고, 수렵채집사회에서는 아직 빈도가 높다는 것이다. 혹은 온대 지방에 사는 동아시아인이나 유럽인은 감염의 위험성이 낮아서 엡실론 4 유전자의 ... ...
-
- [인류와 질병] 콜레스테롤과 감염, 그리고 치매2019.10.12
- 따라서 엡실론 4 유전자를 가진 사람에게는 좋지 않은 식단이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농사를 지은 동아시아인이나 유럽인은 엡실론 4 유전자 빈도나 낮고, 수렵채집사회에서는 아직 빈도가 높다는 것이다. 혹은 온대 지방에 사는 동아시아인이나 유럽인은 감염의 위험성이 낮아서 엡실론 4 유전자의 ... ...
-
- [주말 고고학산책] 고대인들은 철새처럼 옮겨 살았다2019.09.14
- 한 곳에 정착했는지, 여러 곳을 옮겨 다니며 살았는지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농사, 토기의 발명 등 인류의 큰 혁신이 정착 생활과 비슷한 시기에 일어났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여러 증거를 통해 고대인들의 이동을 추적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7월 15일 자에서 소개한 한반도 서해안의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