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스페셜
"
두께
"(으)로 총 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로 다른 2차원 재료 대면적 조립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3.21
아주 약한 힘인 반데르발스 상호 작용에 기반한 결정 조립 기술을 개발하고, 단일 원자
두께
의 그래핀과 육방정계 질화붕소(hBN)를 조립했다. 그 결과, 100%에 가까운 수율로 깨끗한 계면을 가진 웨이퍼 크기 박막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지금까지 크기가 작아 실제 디바이스로 ... ...
두께
따라 초전도성 변하는 물질 단층으로 만드는 기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03
있어 쉽게 한 층씩 떼어낼 수 있는 물질이다. 특히 IrTe2는 한 층씩 떼어내거나 덧붙여
두께
를 조절하면 초전도 상태가 변하는 물질로, 신소재로써 각광받고 있다. 초전도 상태는 매우 낮은 저온에서 전기저항이 사라지는 특성이라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나 휴대전화 기지국 등 활용처가 무궁무진하다 ... ...
‘누리호’ 6월 15일 우주 향해 재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설계를 했다. 하지만 1차 시험비행 후 보완하는 게 좋겠다는 판단이 들어 맨홀덮개
두께
를 보완하게 된 것이다.” -2차 발사시 실리는 성능 검증 위성의 크기와 무게, 수명 등 정확한 스펙은. (장영순 항우연 발사체체계개발부장) “성능 검증 위성은 누리호의 위성 투입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 ...
'붉은 행성' 화성 남극 극관 아래 호수는 실체 없는 '신기루'
연합뉴스
l
2022.01.25
음향 첨단 레이더'(MARSIS)로 3년간 관측한 자료를 활용했다. 화성 레이더 지도에 약 1.6㎞
두께
의 가상 얼음을 입힐 때 나오는 레이더 신호를 극관 아래서 포착한 밝은 레이더 신호와 비교해 화성에 산재한 화산암으로 된 평지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지구에서는 철이 풍부한 용암이 흐른 뒤 ... ...
[지구는 살아있다]북아메리카가 얼어붙은 시절이 있었다
2022.01.15
1만 9000년 전 ‘마지막 최대 빙하기(LGM)’ 때는 북아메리카와 유럽 대륙이 대부분 2~3㎞
두께
의 대륙빙하로 덮여 있었습니다. 빙하는 로키산맥은 물론, 뉴욕과 시카고 같은 지역까지 집어삼켰습니다. 빙하기는 극지방이 추워지면서 눈이 많이 쌓여 더 커진 빙하가 넓은 지역에 퍼진 시기입니다. 그 ... ...
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 OLED 인쇄하는 3D 프린팅 기술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0
증발할 때 소재가 고르게 남아있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박 선임연구원은 “각 층의
두께
가 균일하지 않으면 얇은 쪽으로 전류가 더 많이 흐르거나 OLED의 밝기가 다르게 보이는 문제가 생긴다”고 말했다. 이에 연구팀은 6개 층을 만드는 데 분사인쇄 방식과 더불어 소재를 녹여 직접 출력하는 ... ...
'우주 항해하는 다이아몬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태양열 차단막 전개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1.02
가장 상단의 2개 층에는 실리콘을 추가로 코팅했다. 가로 21.197m, 세로 14.162m 너비이며
두께
는 가장 상단 층이 0.05mm, 나머지 층은 0.025mm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지난달 28일부터 태양열 차단막 전개 작업을 시작했다. 31일 차단막을 보호했던 덮개를 벗기는 과정에서 일부 센서가 정상 작동하지 ... ...
[랩큐멘터리] 2차원 물질이 만드는 공간, 에너지·환경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대표적인 2차원 물질로 ‘꿈의 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에 작은 구멍을 뚫으면 원자
두께
의 멤브레인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자연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가장 얇은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물질은 저항이 거의 없는 특성을 띤다. 반도체를 만들 때 사용되는 화학기상증착법을 통해 그래핀 합성 ... ...
[과기원은 지금] 해수전지 기반 수소저장 시스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25
24일 밝혔다. 나노섬유 매트는 머리카락
두께
의 10분의 1 크기인 10마이크로미터(㎛)
두께
의 얇은 천이다. 영양분이나 산소만 통과시켜 심장 심근세포가 매트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해 정렬된 심장 근육 패치를 만들 수 있다. □ KAIST는 신소재공학과와 미국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캠퍼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멀고 힘들 수밖에 없는 탄소중립의 길
2021.11.24
온도가 섭씨 6000도나 되는 뜨거운 원자로가 들어있다. 표면을 덮고 있는 십여 킬로미터
두께
의 지각의 밑에는 모든 것이 시뻘겋게 녹아있는 맨틀이 꿈틀거리고 있는 곳이 지구다. 지구의 대기가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지구 대기의 온도는 지역·시간·계절에 따라 요동친다. 낮과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