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무한"(으)로 총 2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RNA 치료제의 부상과 우연한 인본주의2021.12.16
- 이 단백질에 대한 면역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하지만 mRNA에 담을 수 있는 정보는 무한하다. 만약 인류가 원하기만 한다면, 우리 몸에 다른 종의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일도 이젠 얼마든지 가능하다. DNA 상의 유전정보를 바꾸지 않은채, 원하는 단백질을 우리 몸 속에 발현시키는 일이 가능해졌다는 ... ...
- WHO 코로나19 기원 새 조사팀 금주 발표...中도 독자 조사 착수 "혈액 샘플 조사할 것"동아사이언스 l2021.10.13
- 올해 2월 초 세계보건기구(WHO)가 현지 조사 결과 중국 우한(武漢)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시작됐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9일(현지 시각) 밝혔다. 사진은 피터 벤 엠바렉 박사가 9일(현지 시각) 기자회견에서 중국 우한 현지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는 모습. AP/연합뉴스 제공 세계보건기구(WHO)가 새 ...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9) 한국에도 우주발사체 심장 로켓엔진 찍어내는 공장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2021.10.13
- 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 사업 구조 혁신에 박차를 가하자"며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우주라는 미지의 공간을 개척하기 위해 강력한 혁신을 이어가자"고 언급하기도 했다 ... ...
- [사이언스N사피엔스]빛나는 흑체, 20세기를 열다2021.09.30
- 모드 수가 많은 것보다 확률이 낮은 것이 아주 우세하기 때문에 전체 에너지가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는다. 이 결과는 대략적이고 정성적으로만 설명한 것이고 정확한 결과는 엄밀하게 수학적인 계산을 해야 얻을 수 있다. 이때 흥미로운 점은, 고전물리학에서는 정상파의 에너지가 연속적인 값을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대학에서 실패한 과학자, 세상을 구하다2021.09.09
- 끈기가 어떻게 전 인류를 구할 수 있는 기술로 이어졌는지 자세히 쓰여 있을 뿐 아니라 무한경쟁으로 연구자들을 몰아넣는 현재의 미국 과학생태계가 지닌 암울한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큰 교훈을 준다. 카리코는 단 한번도 미국정부의 연구비를 타지 못한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mRNA백신 개발자에게 연구는 생존 위한 처절한 몸부림이었다2021.08.26
- 카리코 박사는 열심히 연구했지만, 연구의 결과는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했다. 특히 무한경쟁과 부익부 빈익빈이 심각해지는 과학 생태계에서 카리코 박사의 부진은 자신의 경력에 크게 손상을 입힐 것이 분명했다. 35년의 실험실 생활은 생존을 위한 투쟁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의 백신 ... ...
- "집단면역은 불가능한 꿈…백신과 치료제 개발, 의료체계 대비로 공존 전략 준비해야"동아사이언스 l2021.08.18
- 있다”며 “교육 손실을 복구되지 않는 것이며 등교 제한은 효과는 없고 비용은 무한대에 가까운 나쁜 정책”이라고 진단했다. 이재갑 교수는 “싱가포르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드는 정책부터 완화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싱가포르 모델을 따르는 게 좋을 것으로 본다”고 조언했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mRNA 백신과 진화2021.08.12
- 지난 수십년 동안 만들어 놓은 ‘미친 과학자’의 이미지는 갈수록 어려워지는 논문 무한경쟁의 생태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치는 과학자의 현실과 지나치게 멀다. 아이러니는 영화와 현실의 괴리에서가 아니라, 현실이 영화를 따라가는 우스꽝스러움 속에서 발생한다. 논문 한 편을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우주의 '괴물' 블랙홀2021.07.22
- 한가운데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사실 잘 모른다. 다만 그 중심에는 시공간의 곡률이 무한대가 되는 이른바 특이점이 있어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수학적인 기술로는 설명할 수 없는 지점이 존재한다. 이는 중력붕괴를 겪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영국의 로저 펜로즈는 이와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얼마나 많은 논문이 잘못됐을까2021.07.15
- 집합으로 변해버린 이유는 언제부터인가 학자들이 모두 논문이라는 화폐를 두고 무한경쟁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물론 학계에서 경쟁이 나쁜 것만은 아니다. 공정한 경쟁은 학문의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문화다. 하지만 연구자의 생존 자체가 위협받는 지금과 같은 열악한 현실 속에서, 논문의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