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반성"(으)로 총 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이 잃어버린 자리를 되찾아야 한다2020.03.04
- 했다. 과학계가 ‘융합’의 진정한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다는 뼈아픈 반성이 필요하다. 바이오산업의 눈부신 성과 2020년 1월 23일 독일 베를린의 한 실험실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인 모습이다. DPA/연합뉴스 그렇다고 코로나19 사태에서 과학이 아무 역할도 하지 않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당신이 일을 상습적으로 미루는 이유2019.10.12
- 기분이 좋지는 않다는 것이다. 이번에도 미뤘다는 사실에 대한 죄책감과 그로인한 자기 반성이 이내 즐거움을 다 깎아 먹는다. 미루는 즐거움은 아주 잠깐이다. 조금 늦더라도 최대한 해보자는 담담한 마음으로 일을 할 수 있으면 좋을 거 같다. 참고자료 Sirois, F., & Pychyl, T. (2013). Procrastination and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나에게만 초점을 맞추면 우울증에 빠지기 쉽다2019.08.17
- 것 같기도 하다. 나를 지나치게 포장하고 감싸고 도는 것도 문제이지만 지나친 자기반성도 문제다. 그 방향이 어떻든 나를 향한 나의 지나친 관심이 고통의 근원일 때가 많은 것이다. 나의 나를 향한 관심이 좀 줄어들길, 내가 나에게 좋은 평가를 얻고 잘 보이는 것을 목적으로 살지 않기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언제든 도덕을 던져버릴 준비가 되어 있다 2019.07.06
- 하면 잘못된 것이지만 내가 하면 잘못되지 않았다고 믿기 때문에 서로 남들만 비난할뿐 반성하거나 행동을 교정하는 사람은 적은 게 아닐까? 타인의 도덕성을 비난하면 왠지 나는 적어도 그 사람보다는 더 나은 사람인 것 같은 도덕적 정체성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렇게 비난은 많지만 악행은 결코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1) 깔끔하게 코드 정리하기2019.05.18
- 그리기로 구성했다. 변수와 판단을 진행하며 지나치게 개념적인 방향으로 치우쳤다는 반성에서 출발했다. 아이의 눈에서 지루함을 느꼈다. 잠시 쉬어가는 시간이 필요하다 생각했다. 아무래도 9살 아이에겐 즉각적이고 시각적인 반응으로 동작을 이해하는 게 더 어울릴 것이다. 더구나 엔트리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낙태 반대론'의 또 다른 얼굴2019.04.13
- ‘태아의 생명권’이다. 하지만 의문은 한국에선 성감별 낙태가 흔했는데 이에 대해 반성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는 점이다. 또 정작 아이가 태어난 이후의 복지에 대해서 별 관심이 없어 보인다. 예컨데 아이가 공공장소에서 미숙한 행동을 했을 때 불쾌함을 넘어 아예 용납하지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⑥ 쉬운 것은 어렵고, 어려운 것은 쉽다2019.03.19
- 난다는 말이다. 먼저 일부러 어수룩하게 초코 잼을 바르며 조롱하는 듯 행동했던 것을 반성했다. 작정하고 부족함을 지적하며 놀리는데 짜증이 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이상할 것이다. 그런데, 그게 문제의 핵심일까? 놀림을 당한다는 느낌을 주지 않았다면 아이가 언플러그드 코딩을 흥미롭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생은 과연 인간을 성장시킬까2018.12.15
- 귀찮아 하던 나에게는 매우 험난한 길이었고 감히 산을 얕잡아 본 나의 오만함을 크게 반성한 계기가 되었다. 정상에 올라 마추픽추를 보았을 때에는 이미 땀 범벅에 너절한 상태여서 황홀한 심경 못지 않게 여기서 두어시간 보내려고 이 고생을 했나하는 착잡함이 컸다. 왜 우리는 아픔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 학생에게 사귀자고 하며 스킨쉽을 한다는 교수, 문자를 보내서 수 분 안에 답장이 없으면 반성문을 써오라고 했다는 교수, 여성의 성기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며 낄낄 웃던 교수, 유흥주점에 학생을 동석시켜 수발을 들게 했던 교수와 그 교수의 잘못을 덮으려 함께 애썼다던 동료 교수 등.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2017.10.17
- 아니라서, 환자가 됐을 때 이런 경험을 한 뒤 그동안 환자들을 무심하게 대했던 자신을 반성했다는 글을 읽은 적이 있다. 오늘날 병의 상당 부분이 만성질환이다. 그런데 만성질환 가운데 신경계와 면역계, 내분비계 쪽인 경우 환자의 심리(마음)가 병의 증세나 회복속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