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량
수반
스페셜
"
부수
"(으)로 총 41건 검색되었습니다.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5] 본격 플라즈마 실험 시작
2015.11.18
발생시켜 내벽의 변화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그날 플라즈마 실험에 반영하게 됩니다.
부수
적으로 실제 플라즈마를 대상으로 진단장치 등의 상태를 점검하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 09:40 AM, 실험 시작 국가핵융합연구소 제공 연구자들은 보통 한 샷(shot)이라고 표현하는 플라즈마 발생 실험을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1] 핵융합에너지, 원자력에너지와 어떻게 다를까요?
2015.11.05
따른 “에너지 문제 해결”이라는 최종 성과뿐만 아니라 이 연구과정에서 얻어지는 많은
부수
적 효과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연구에 참여한 기업들 간의 산업 생태계가 형성되고, 핵융합 연구 참여로 얻은 기술로 우리나라 다수의 산업체가 해외 진출을 하고 있습니다. 또 핵융합 분야 이외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것일지도 모름을 시사한다. 세상을 다채롭게 만든 색의 등장은 원뿔세포 진화의
부수
적인 효과일 수도 있다는 말이다.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4월 17일자 학술지 ‘플로스 생물학’에 실렸다. ... ...
원자로도 스마트 시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4
전기를 만들어내는 발전소를 거추장스러운 공사 없이도 쉽게 건설할 수 있다. 반응로와
부수
기재가 모듈식으로 패키지로 묶여 있으니 더 큰 용량이 필요하면 스마트원자로를 하나 더 연결하면 그만이다. 게다가 모든 배관을 압력용기 안에 몰아넣었으니 방사성물질이 유출될 가능성도 극히 낮아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명제는 바로 이러한 배경에서 탄생한 말이다. 공간, 즉 진공은 실체들의 관계 속에서
부수
적으로 나타나는 것인만큼, 실체 없는 공간은 불가능하니 실체를 포함하지 않는 텅 빈 진공은 존재할 수 없다는 뜻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은 아랍을 거쳐 중세 말 ‘재발견’되면서 서양 과학의 뿌리를 ... ...
과학계 '그랜드 슬램' 뒤에는 그가 있었다
IBS
l
2014.12.16
연구원들도 많아져서 식물 양이 거의 2~3배는 늘었습니다. 다들 의욕적인 분들이다 보니
부수
적인 요구사항도 많아졌죠. 그래서 지금은 완벽한 온실 환경과 가장 좋은 식물을 제공하려는 전문적인 마음가짐이 생겼습니다. 항상 긴장하고 있죠." 보람 있는 연구단 생활. 하지만 이것만큼은 남홍길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낮다. 따라서 포만감은 주면서도 살이 안 찐다는 것. 아울러 식이섬유가 변비를 완화하는
부수
적인 효과도 있단다.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1인당 사과 소비량은 감소추세라고 한다. 사람들이 먹고살만해지면서 과일소비량이 늘어 사과도 1995년 1인당 연간 15.9㎏으로 정점을 ... ...
“나노기술은 창조경제에 가장 적합”
동아사이언스
l
2013.09.13
정보 등을 일원화된 창구로 제공할 수 있다면 나노 사업자간 네트워크도 형성되는
부수
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하나 중요한 것이 있다. 바로 여러 분야에서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는 나노기술 기반 제품이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정비다.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 ...
쓰임새를 바꿔라 :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된 농기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23
유사한 것을 찾아내어 이를 개발한 후 새로운 개발이 현실적으로 접목될 수 있도록 제반
부수
기술도 함께 개발해야 실용화된다는 것이었다. 바로 그런 종합적인 기술을 개발한 사람에게 공이 돌아가고 그에 따른 부를 얻을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 ...
“BT 일자리 창출이 경쟁력 갖추는 일”
동아사이언스
l
2010.12.20
교수들이 제대로 연구까지 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강의 외에도 시험, 채점, 평가 등
부수
적인 일을 처리하다보면 정작 자신의 연구에 온전하게 집중하기 어렵다. 김 교수는 “연구할 시간은 부족하고 평가를 받으려면 논문은 내야하니 의미 없는 논문을 많이 싣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런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