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출
방출
유출
발사
발로
내뿜기
즉흥
스페셜
"
분출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mRNA 백신과 진화
2021.08.12
수지상세포는 변형되지 않은 RNA에 노출된 세포들보다 현격히 적은 양의 사이토카인을
분출
했고,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표지도 줄어들었다. 수지상세포와 TLR을 발현하는 세포들은 세균이나 미토콘드리아 RNA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변형된 핵산을 다수 함유하고 있는 포유류의 전체 ... ...
별 집어삼키는 블랙홀, 별 만들기도 한다
과학동아
l
2021.07.05
가상 우주 시뮬레이션으로 12만 4163개의 위성은하를 분석한 결과 블랙홀에서
분출
되는 에너지가 별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6월 9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586-021-03545-9 위성은하는 중심은하를 공전할 때 주변 성간물질과 부딪히면서 별을 ... ...
겨울철 밝은 별 베텔게우스가 한때 빛 잃은 이유, 먼지구름 때문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7
부위가 표면으로 나오면서 별의 대기 온도를 급격히 떨어트렸다. 그 결과 베텔게우스가
분출
한 가스가 먼지로 응축되면서 빛을 차단한 것이다. 연구팀은 1만 번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거친 결과 이같은 시나리오가 실제로 베텔게우스에서 일어날 수 있는 현상임을 확인했다. 몽타르제스 연구원은 ... ...
[프리미엄리포트]달의 안색을 살피다
과학동아
l
2021.05.22
관측한 기록도 있다. 대기의 입자 크기에 따라 산란하는 빛의 파장이 달라진다. 화산
분출
이나 대형 산불 등의 이유로 대기 중에 푸른 빛을 산란하는 지름 1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정도의 입자가 다량 유입되면 달이 평소보다 푸르게 보인다(아래 왼쪽). 이외에도 2019년 브라질에서는 ... ...
[지구는 살아있다] 운봉산 돌무더기는 '빙하기의 증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5.22
마그마가 만든 화산입니다. 그런데 주변에 용암이 흐른 흔적은 없어요. 화산에서 용암이
분출
되지 않고 얕은 땅속에서 그대로 식은겁니다. 이렇게 굳은 마그마가 ‘주상절리’가 되었습니다. 주상절리는 마그마가 급격히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들어 만들어지는 수직 기둥 모양의 구조입니다. ... ...
[인간 행동의 진화] 관계 공격성에 지쳐가는 당신에게
2021.05.16
관찰되는 보편적인 본성이다. 캠페인으로 억누를 수는 없다. 다른 형태로 공격성이
분출
된다. 관계 공격성이다. 원래는 약한 자들이 힘을 합쳐, 강한 자에게 대항하는 전략이다. 그러나 약한 자의 동맹이라고 해서, 억압받은 약자의 건강한 연대라고 오해하지는 말자. 관계 공격성을 약자만 쓰라는 ... ...
보이저 1·2호도 못 간 1000AU까지…인류 역사상 최장 우주 탐사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7
날아가면 태양권에 대한 다양한 관측 자료를 보내올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태양이
분출
하는 플라스마와 성간 가스의 상호 작용이 태양권 형성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태양권 계면이 마치 비눗방울처럼 주기적으로 늘어났다 줄어드는 이유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 ...
그의 흰 재킷은 왜 깨끗했나…18년 만에 풀린 핏자국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4.23
‘유체물리학(Physics of Fluids)’ 20일자에 공개됐다. 서 실장은 “인체에서 피가
분출
해 튀고 바닥에 떨어지는 과정에는 외부의 힘뿐 아니라 중력, 공기저항 등이 영향을 미친다”며 “총알은 고속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형성된 피의 궤적이 이론적으로는 직선이라고 가정한 뒤 혈흔을 ... ...
남극 바다 수심 2000m 해저에서 발견된 대형 화살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분출
구 지역에 매우 많은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는 유력한 증거”라고 설명했다. 열수
분출
구 주변에서 화살벌레는 이전까지 보고된 바 없으며 향후 남극 중앙해령 열수 생태계를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거미 불가사리. 크기는 2cm 정도로 작다. 극지연 제공 박 책임연구원은 ... ...
감마선·X선·적외선 다파장으로 촬영한 M87블랙홀 모습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4.15
또 이번 분석 결과를 통해 2017년 관측했을 당시 M87 블랙홀의 활동성이 낮아 물질의 유입·
분출
이 적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EHT 연구팀 중 한국에서는 손봉원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김재영 천문연 선임연구원 등 총 10명의 연구자가 참여하고 있다. 이번 분석에는 한국천문연구원이 보유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