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향
사운드
음파
음성
음
목소리
말
스페셜
"
소리
"(으)로 총 39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생존에 기여한 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23.05.28
떨어뜨린다. 박쥐는 혀에 해당하는 기관을 통해 사람으로 치면 ‘언어’에 해당하는
소리
를 낸다. 음식물 섭취에 도움을 주는 본연의 기능이 생물에 따라 독특하게 발전한 사례도 많다. 예를 들어 앵무새의 한 종류인 진훙잉꼬는 끝 부분이 원형으로 펼쳐지는 ‘말미잘 모양’의 혀를 사용해 꿀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경찰이 잡아간다"...아이에게 거짓말 하면 일어나는 일
2023.05.05
쪽으로 결정하자는 약속을 했다고 한다. 예를 들어 학교에 가기 싫다고 했을 때 무슨
소리
냐며 빨리 학교나 가라고 윽박지르기보다 우선 그 이유가 무엇인지 묻고 자신을 설득해 보라고 이야기했다고 한다. 이렇게 서로 토론을 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적당한 이유가 있다면 아이가 원하는 대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두창'과 잉카 문명의 멸망...분분한 해석과 교훈
2023.04.11
역할을 강조하기는 했지만 잉카문명의 멸망에서는 총
소리
를 처음 경험한 잉카인들이 그
소리
에 놀라서 우왕좌왕하다 서로 밟혀 질식해 죽은 것과 무기도 가져가지 않는 등 전쟁에 대한 대비가 너무 없었던 것이 원인이라 했다. 의학역사책에서 흔히 이야기하는 두창의 유행의 중요성을 간과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때로는 자신에게 너그러워야 성장한다
2023.03.25
수 있기 때문에 그 파괴력이 상당하다. 나와 가장 가까운 내 안에서부터 나오는 가혹한
소리
들을 감당하기란 여간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때로는 벽을 마주하고 있을 때, 성장통을 겪고 있는 자신을 어떻게 대하는지 여부가 성장 여부를 결정하곤 한다. 이렇게 자신을 대하는 태도에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
2023.03.24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중립적인 외부 환경 또는 자극(예: 특정 장소나 아무 의미 없는
소리
등)들과 생쥐가 매우 아파서 공포를 느낄 정도의 강력한 전기 자극을 함께 동시에 처리, ‘조건화(conditioning)’하는 것이다. 공포 조건화 이후 생쥐는 전기 자극을 주지 않아도 중립적인 자극이 주어지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대단하지 않다"...'작은 자아'의 행복감
2023.02.25
자아”다. 비대한 자아는 비현실적인 기대들로 가득차 있는 탓에 작은 좌절에서 펑
소리
를 내며 크게 터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었다. 또한 자아가 지나치게 고양되어 있을수록 보다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탓에 자아에 작은 상처라도 나면 배로 큰 아픔을 겪게 된다. 만약 이 때 ... ...
[오늘과학] 영화 '워낭
소리
' 감동...과학적 근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송아지. 게티이미지뱅크 빗질과 같은 인간의 손길이 송아지의 정서를 안정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소는 송아지 때부터 인간과의 교류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에밀리 쿠숀 미국 플로리다대 동물과학과 수석연구원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제이디에스커뮤니케이션즈’ ... ...
[일상 속 뇌과학] 뇌가 실수와 오류를 제거하는 법
2022.11.25
생체가 이를 습득하는 방식도 매우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몸을 움직이거나
소리
를 내는 운동 기술(motor skill)은 특정 기술과 그 기술을 구성하는 패턴과 요소들을 갖추어 오류가 없게 능숙하게 구사하는 게 필요하다. 이러한 종류의 정보를 배운다는 과정은 매번 새로운 무엇을 습득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거울상인 생체분자로 이뤄진 생물 '거울 생물체'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무슨 황당한
소리
인가 의아해할 독자도 있겠지만 지난 10월 28일자 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이 분야에서 한 걸음을 내딛는 중요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 적어도 관련 연구자들에게 이제 거울 나라는 막연한 꿈이 아니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도움 요청을 꺼리는 이유는..."약해 보일까봐"
2022.09.24
일이다. 절대 약해보이면 안 된다는 암묵적인 규칙이 지배하고 있는 사회에서 약한
소리
를 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닌 것이다. 그러다 보니 많은 사람들이 두려움과 민망함의 벽을 넘지 못하고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이 바로 옆에 있어도 도움을 구하는 데 실패하고 만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많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