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오만"(으)로 총 4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생은 과연 인간을 성장시킬까2018.12.15
- 커녕 걷는 것도 귀찮아 하던 나에게는 매우 험난한 길이었고 감히 산을 얕잡아 본 나의 오만함을 크게 반성한 계기가 되었다. 정상에 올라 마추픽추를 보았을 때에는 이미 땀 범벅에 너절한 상태여서 황홀한 심경 못지 않게 여기서 두어시간 보내려고 이 고생을 했나하는 착잡함이 컸다. 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르는 걸 모른다고 말하자 2018.09.15
- 큰 일인가? 사실 당연한 게 아닐까? 내가 뭐라고 나는 나한테 완벽을 요구하는가 너무 오만한 게 아닌가?’ 이런 질문을 하다보니 어느새 내가 종종 삽질하는 건 사실 너무 당연한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완벽하지 않다니 천재가 아니라니 흑흑’ 하는 꼴인 거 같아서 관두기로 했다. 나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이, 건강이, 성공이 정말 당연해?2018.02.10
- 된 듯한 느낌이 들었다. 비로소 나는 인생을 너무 쉽게 보고 있었다는 것을, 상당히 오만했음을 인정하게 되었다. GIB 제공 실제로 이렇게 별 것 아닌 질문이지만 ‘행복이, 건강이, 성공이 정말 당연해?’, ‘지금보다 더 불행하고 더 큰 병에 걸리고 더 크게 실패했을 가능성은 없는 거야?’라고 ... ...
- [지뇽뇽의 사회심리]당신은 꼰대입니까? 2017.11.17
- ‘선택적’으로 재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나는 정말 어렸을 때 실수도, 미숙함도, 오만함도 없는 사람이었을까? 그리고 지금의 나는 그 때의 나와 정말 아무런 관련성 없이 완전히 다른가? ● “아무래도 내가 경험이 더 많으니까 더 잘 알겠지” 당연히 그럴 거 같은데, 이 점 또한 ...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2017.06.10
- 나를 꼭 배려해야한다고 생각하는 등 쉽게 빠져버릴 수 있는 인간의 자아중심성과 오만함을 경계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자연 등 나보다 더 큰 무엇을 이따금씩 바라 볼 필요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방법이 무엇이든 이렇게 나의 자아상을 드높이는 것에만 몰두하지 않고 자기 자신에 대한 ... ...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2016.03.28
- 베넷 역을 맡았다. 영화는 제인 오스틴의 동명 소설이 원작이다. 필자는 장편 ‘오만과 편견’이 영국 소설가 제인 오스틴의 대표작이라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읽어볼 생각은 없었다. 그런데 우연히 TV에서 방영된 영화를 보고(특히 나이틀리의 호연에 깊은 인상을 받아) 뒤늦게 책을 봤다. 제인 ...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2015.08.10
- 아니다) 인간이 지구에 대한 신의 계획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을 품는 자체가 오만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환경보호가 결국은 인류복지를 증진하는 길이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범국가적인 노력과 함께 개인의 의지도 필요하다는 교황의 태도는 신에 대한 도전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2015.02.02
- 균형이 이뤄진다고 믿기 때문이다. 또 모든 동식물은 사람을 위해 존재한다는 지난날의 오만함에 대한 반성도 한 몫 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해 ‘네이처’(3월 13일자)에는 생태계 완성의 화룡정점이 대형 포식자라는 상식에 의문을 제기하는 기사가 실렸다. ‘늑대의 전설(Legend of the wolf)’이라는 ... ...
- [채널A] 브라질 월드컵, 억울한 노골 퇴출…어떻게?채널A l2014.06.16
- 처음으로 '전자 판독 시스템'이 도입됩니다. 국제축구연맹이 '오심도 경기의 일부'라던 오만하고 그릇된 소신을 접은 건데요. 축구보는 재미가 더 커지게 됐습니다.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0년 남아공월드컵 16강전. 독일을 한 점 차로 추격하던 앵글랜드의 슛이 골문 안쪽으로 떨어졌다가 ... ...
- 수족관 안의 돌고래가 위험하다 KISTI l2014.04.17
- 제돌이와 달리 장생이는 수족관에서 생을 일찍 마감했다.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의 오만이 낳은 결과일지 모른다. 그 어린 죽음이 스쳐지나간 자리에 남은 전국의 돌고래 40마리는 항생제와 위장약으로 힘겨운 삶을 이어나가고 있다 ... ...
이전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