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우월"(으)로 총 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와 질병] 오래된 감염2020.01.11
- 비과학적인 자연 우월주의의 굴레에서 벗어나 좀 더 객관적으로 생각해보자. 정말 시골이 도시보다 좋다면, 그냥 ‘자연은 좋다’라는 막연한 주장보다는 구체적인 과학적 근거를 찾아야 한다. 그렇다면 소위 ‘자연’이 면역계에 좋은 진화적 이유를 찾아보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실패에 웃고, 성공에 우는 이들의 공통점2019.11.16
- 비교해서 우월한 위치를 확인하는 식으로 내 자아를 '받들어 모시는' 습관이 문제라면, 우월감을 재료로 삼지 않는 건강한 자존감의 원천을 확보하게 하면 어떨까? 이런 생각에 착안해서 연구자들은 사람들에게 자기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가치를 떠올려 보게 했다. 일반적으로 내 삶에 있어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확률컴퓨터는 양자컴퓨터 짝퉁일까2019.11.05
- 극저온을 유지하는데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들기 때문에 상용화가 되더라도 ‘양자우월성’이 확실한 ‘고급’ 계산 분야로 적용범위가 국한될 것이다. 확률컴퓨터의 앞날이 어떻게 될지 자못 궁금하다. 왼쪽은 8피비트로 이뤄진 회로로 위에 네 개, 아래 네 개의 확률자기터널접합(stochastic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한 수 가르쳐주마'라는 소셜 자경주의 2019.11.02
- 넘어갈 수 있을 텐데, 불필요한 공격적인 말투나 멍청한 너를 내가 한 수 가르쳐주겠다는 우월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참고로 이런 말투와 태도로는 1 + 1 = 2 같은 자명한 사실도 쉽게 설득할 수 없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사상 자경단 같은 태도를 적게 보인 사람들은 타인이 자신과 다른 의견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정한 겸손의 적은 '특별대우 필요한 나'2019.10.26
- 연기 실력이 괜찮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기가 남들보다 모든 면에서 우월하다 여기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동등한 수준의 대우를 기대하는 배우가 그 예다. 실제로 겸손한 사람들이 이런 모습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들은 사람들에게 자신이 해낸 가장 큰 성취나 자신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한국 사회의 혐오에 대하여 2019.09.07
- 딱히 피해를 입은 사실이 없어도 피해의식은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백인 우월주의자들에 대해 조사한 결과 그들은 자신들이야 말로 ‘피해자’라거나 이제 인종차별 같은 건 없고 되려 백인들에 대한 ‘역차별’이 더 심하다는 인식을 보였다는 조사 결과가 있었다(Forscher & Kteily, 2017).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비대해진 자아는 자신을 위험에 빠뜨린다2019.08.10
- 최종 결정권자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총기난사범들은 자신을 '최상급의 젠틀맨', '우월한 자', '진정한 알파 메일(male)'로 소개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많은 경우 흑인은 백인을, 여성은 남성을 억압하고 있어 이를 제거하는 투사나 영웅으로 자신을 포지셔닝한다. 그러면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왜 무시당했다고 사람을 죽일까?2019.02.17
- 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인식과 관련을 보인다. 결국 이성을 향해 갖는 모종의 우월감과 권리의식이 그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피해의식과 폭력성을 설명한다는 것이 연구자들의 견해다(Bushman, Bonacci, Van Dijk, & Baumeister, 2003).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의 심리학자 로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월감 높으면 음모론에 잘 빠진다2019.01.12
- 하는 사람보다 모르는 걸 안다고 말하는 사람이 세상에 해를 끼치듯, 근거 없는 자신감과 우월감 역시 지나치면 세상에 득이 되기보다 해가 될지도 모르겠다. 참고자료 Cichocka, A., Marchlewska, M., & de Zavala, A. G. (2016). Does self-love or self-hate predict conspiracy beliefs? Narcissism, self-esteem, and the endorsement of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더 오래간다2018.12.22
- 경험은 많이 쌓일수록 ‘건강한’ 자존감 지지대가 되어, 나보다 못한 사람과 비교해서 우월감을 느끼거나 나는 잘못이 없고 다 남의 탓이라는 책임 전가 같이 건강하지 않게 쌓여진 높은 자존감에 비해 나와 주변 사람들 모두의 행복에 큰 이득이 되기도 한다. 참고로 삶의 의미감은 ‘장수’와도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