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원
박사
의도
의향
doctor
딱터
스페셜
"
의사
"(으)로 총 1,46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에게 따뜻해야 타인도 보듬는다
2024.05.04
사람들은 이러한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자기 자비가 높은 사람들은 상대의
의사
를 존중하는 반면 구속하지 않고 관계에서 더 많은 주도권을 차지하고 상대를 통제하려는 욕구 또한 적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채워지지 않는 부분을 스스로 어느 정도 보듬을 줄 알기 때문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
2024.04.28
환자 발생을 줄이는데 공헌한 스노(John Snow)는 의과대학 졸업 후 주로 산부인과
의사
로 일을 해 왔다. 스노는 질병에 개인의 문제일 뿐 아니라 사회환경의 문제일 수 있음을 보여 줌으로써 ‘공중보건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지만 이보다 앞선 1853년에 여덟 번째 자녀인 레오폴드 왕자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연금개혁·의대증원 '과학적 근거'에서 '과학'은 어디?
2024.04.24
설 자리가 없다. 정부가
의사
와 무조건적인 '대화'에 나서야 한다. 정부가 양보했으니
의사
도 양보해야 한다는 주장은 소모적이고 치졸한 기(氣) 싸움일 뿐이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
2024.04.11
있다. MDPI 학술지에 대한 부실 의혹에 대해서 "
의사
결정 담당자들이 검증된 기준을 통해
의사
결정을 내렸으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MDPI는 자사 학술지의 전반적인 부실 의혹을 인정하는 대신 자신들이 학술 논문의 출판 속도를 높이고 오픈액세스(OA) 방식을 통해 지식 민주화에 기여하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이룸. 2005 아커크네히드. 세계의학의 역사. 허주 역. 민영사. 1993 헨리 지거리스트. 위대한
의사
들. 김진언 옮김. 현인. 2014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일이 아니라는 뜻이다.
의사
도 변호사처럼 한꺼번에 대규모로 양성할 수 있다는 주장은
의사
의 사회적 책임의 무게감을 무시한 억지일 뿐이다. 의대 증원과 의료개혁에 대한 과학기술계의 무관심은 놀라운 일이다. 의학과 의료제도는 현대 과학기술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분명하다. 실제로 의학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비 511배 증가에
의사
수 7배 늘어?…통계의 함정
2024.03.13
불려주는 의료개혁 의대의 입학정원을 한꺼번에 65%나 증원하겠다는 시도는 의료 체계와
의사
양성 제도의 현실을 통째로 무너뜨리는 비현실적인 폭거다. 전 세계 어느 나라도 그런 폭거를 시도하지 않는다. 2025학년도 입학정원의 증원은 확실한 관행으로 굳어진 '대학입시 4년 예고제'를 명시하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998 쿤트 헤거. 삽화로 보는 수술의 역사. 김정미 옮김. 이룸. 2005 헨리 지거리스트. 위대한
의사
들. 김진언 옮김. 현인. 2014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오히려 과학기술은 국정에서 완전히 사라져 버렸다. 과학적 사고와 데이터에 근거한
의사
결정 시스템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과학기술이 반도체·양자컴퓨터·이차전지로 변질되고 말았다. 출연연의 기관장 선임 과정마저 실종되어 버렸다. 임기가 끝난 기관장이 퇴임을 하지 못하는 인사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나치게 파격적인 의대 증원
2024.02.14
쓰고 있다는 것이 우리 사회의 일반 인식이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깨달아야 한다.
의사
파업은 2000년, 2014년, 2020년의 3번으로 충분했다. 의료계는 일반 근로자와 달라야만 한다. 물론 정부도 쇠고집을 부릴 일이 절대 아니다. 부디 정부와 의료계가 머리를 맞대고 합리적이고 원만한 해결책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