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조수"(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나라 최초의 화학박사, 이태규 KISTI l2015.06.23
-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이태규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그래서 일본에 남아 7년 동안 조수로 연구에 몰두한 결과, 조교수로 임용되기도 했다. 그의 지도교수였던 호리바 신지찌는 “학문에 민족이 따로 있느냐?”고 주장하며, 그의 교수 임용을 설득하기도 했다. ■ 세계적인 석학과의 만남, ...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2015.03.02
- 안네마리는 보모 역할을 했다. 당시 나치를 피해 영국 옥스퍼드대에 온 슈뢰딩거는 조수가 필요하다며 마르히 부부도 데려온 것인데, 슈뢰딩거를 초빙한 옥스퍼드대의 물리학자 프레더릭 린데만 교수는 내막을 알고 “그 비열한 놈을 쫓아내야 한다”며 노발대발했다고 한다. 아르투르 역시 ... ...
-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KISTI l2015.02.09
- 1999년 이후 2004년까지 5년 동안은 윤초가 없었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달에 의해 만들어진 조수가 지구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만들고, 지구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커다란 지진, 지구온난화로 매년 남극과 북극에서 녹고 있는 빙하, 엘리뇨와 라니냐와 같은 지구 기후의 변화가 윤초를 필요 없게 ... ...
- “땅콩 리턴? 사실은 내가 했다.”2014.12.28
- 비행기는 후진하지 않아요. 자동차처럼 사이드미러나 백미러가 있는 것도 아니고, 조수석에 오른팔을 걸치면서 뒤돌아 볼 수도 없는데 어떻게 후진을 하나요? 로가디스 제공 2. 농담하는 거지? 설마 그런 이유로 후진을 안 한다? 비행기는 자동차와 달라요. 엔진의 힘이 바퀴로 ...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2014.10.13
- 받았다. 두 사람 사이에서 1897년 태어난 이렌은 1926년 라듐연구소에서 엄마 마리 퀴리의 조수로 있던 프레데리크 졸리오와 결혼했다. 딸과 사위가 함께 연구를 하는 모습을 지켜보며 말년의 마리 퀴리는 두 사람이 노벨상을 받게 되기를 누구보다도 바랐지만 과도한 방사능 노출의 후유증으로 보이는 ...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2014.08.18
- 개발하고 보슈와 미타슈가 산업화한 암모니아 합성법(세상일이 다 그렇지만 안타깝게도 조수들은 잊히고 ‘하버-보슈법’으로 불린다)은 약간의 개량은 있었지만 본질적으로는 바뀌지 않은 채 현재까지도 쓰이고 있다. 그리고 인류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도 여전히 막강하다. 즉 이 합성과정을 ...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헨리 퍼킨 : 합성 염료 시대를 열다KOITA l2014.05.27
- 더구나 그는 사업에는 전혀 경험이 없는 20살도 채 안 된 어린 청년이었다. 호프만 교수의 조수라는 것만으로도 학자로서의 미래는 보장된 셈이었다. 퍼킨이 충실하게 호프만 교수를 거들면서 연구에 몰두했다면 편안하게 호프만 교수처럼 유명인사가 될 터였다. 그러나 퍼킨은 자신이 개발한 염색 ... ...
-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동아사이언스 l2014.04.10
- 때도 그 원리를 납득해야만 비로소 제작에 들어갔다. 어느 틈엔가 와트는 유능한 실험 조수로 평가되었고 대학에서도 신망이 쌓여갔다. 좀 건방지긴 해도 애송이 와트가 만든 제품은 최고였으므로 교수들도 차츰 그의 식견과 재주를 인정했던 것이다. 와트가 뉴커먼의 증기기관을 보자마자 곧바로 ... ...
- 빛의 속력은 어떻게 측정할까?동아사이언스 l2013.11.05
- 그 빛을 보았을 때 조수는 즉시 그의 램프 덮개를 연다. 갈릴레이가 덮개를 열고 난 후 조수에게서 오는 빛을 보는 사이의 시간이 빛이 두 사람 사이를 왕복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된다. 실험 결과 두 사람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빛의 속력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었지만, 갈릴레이의 시도는 빛의 ... ...
- 과학에서 스토리텔링은 독?동아사이언스 l2013.10.07
- 한다. 그 뒤 환자 6명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하기 위해 교수 2명, 대학원생 5명, 실험조수 10명이 수개월 동안 거의 하루도 안 쉬고 곰팡이 배양과 페니실린 추출에 매달렸다고 한다. 1940년 무렵 이들의 연구에 대해 알게 된 플레밍은 그러나 자신이 하던 연구를 계속했고 방관자로 남았다. 대량생산이 ... ...
이전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