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스페셜
"
지적
"(으)로 총 2,1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지구 전체를 점점 더 짜게 만드는 생태계 교란의 주범’이라는 사회학자의 감성적인
지적
도 있다. 그렇다고 과연 도로 밑에 설치하는 ‘열선’을 깔고, 불가사리로 만든 ‘친환경 제설제’를 사용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는지는 분명치 않다. 사실 환경에 어떠한 피해도 주지 않고 우리에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지적
재산권을 통해 큰 수입을 올리는 곳이 많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에 대학에서
지적
재산권 관리를 전보다 강화하고 있고, 학자이면서 자신의 발견에 대해 특허를 얻어서 수입을 올리는 일이 증가하고 있다. 항암제로 사용되는 항생제.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항암제로 사용되는 항생제 ... ...
[표지로 읽는 과학] '올해의 과학인물(?)'에 선정된 챗GPT
동아사이언스
l
2023.12.23
교수 연구팀이 네이처에 발표한 상온 초전도체 논문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네이처에
지적
했다. 네이처는 지난달 해당 논문의 철회를 결정했다. 리차드 모나스터스키 네이처 수석편집자는 "네이처 10에 선정된 10명의 이야기와 AI 도구인 챗GPT는 2023년 과학계에서 있었던 가장 중요한 발전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힘든 경험'이 자신 전부를 설명하지 않는다
2023.11.25
불안감, 스트레스 등을 정신 질환인 것처럼 성급하게 판단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음을
지적
했다. 예컨대 ‘시험이 다가오니까 불안한 마음이 들어’라고 말할 수 있는 상황을 ‘나는 시험에 대한 불안증이 심해’라고 하는 등 일반적인 상태도 정신 질환으로 진단내리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해외 연구자가 '찾아오는' 국제협력해야
2023.11.22
우리 과학자가 우리 정부의 예산으로 수행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한 학술논문의
지적
재산권에 대한 관심은 찾아볼 수가 없다. 상위권 대학에서는 강의실에서 영어로 과학기술을 가르치는 웃지 못할 일도 벌어지고 있다.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 처음부터 우리 것이 아닌 과학기술이 영원히 우리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비판받으며 자란 아이, 자기 비난 키운다
2023.11.11
본인들의 오해나 공격적인 행동에 대해서는 사과했던 적이 별로 없다. 잘못을
지적
하면 사과는 커녕 어른에게 말대꾸를 한다며 더 높은 공격성을 보이곤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어쩌면 완벽한 부모가 되어야 한다는 압박에 그렇게 방어적인 태도를 취했던 것은 아닐까 싶다. 부모가 되는 것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
2023.11.08
제공 ● ‘K-과학기술’의 화려한 성과 우리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지적
은 절대 납득할 수 없는 비현실적인 억지다. 1인당 국민소득 60달러였던 세계 최빈국(最貧國)을 반세기만에 세계 10위권의 경제력을 갖춘 민주화된 선진국으로 우뚝 일으켜 세운 것이 바로 과학기술이다. 아무도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위와 같은 질문들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모든 생물은 고등동물과 인간과 같은 방식으로
지적
능력을 가질 것이라는 편견을 버리는 한편 예측할 수 없는 다양성에 기반하여 여러 가능성들을 탐색해 나가야할 것이다.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장 ※필자소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정확하게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바다를 사랑하고 자연을 아끼던 레이첼 카슨의
지적
을 맹목적인 농약 거부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카슨이 인류의 기근과 질병을 가볍게 여겼다고 볼 이유도 없다. 카슨이 거부했던 것은 농약 자체가 아니라 농약을 핑계로 눈앞의 이익을 챙기기 위해 환경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
2023.10.11
공동 연구가 일반화된 상황에서 수상자의 수를 최대 3명으로 제한하는 것이 문제라는
지적
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수상자의 숫자 제한 때문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치는 과학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엎친 데 덮친다고 수상 업적에 대한 논란도 심심치 않게 불거지고 있다. 수상자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