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추상"(으)로 총 65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한국 사회의 혐오에 대하여 2019.09.07
- 취업이 잘 안 되거나 등등 그걸 처음부터 ‘구조적’ 문제로 접근하는 사람들은 드물다. 추상적이고 큰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인지적으로 많은 능력과 노력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문제를 가급적 작고 구체적으로 명시할 때 사람들은 자신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다는 ‘희망’을 갖게 되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도덕적 자아상, '내로남불'의 심리학2019.08.31
- 스스로 악하다 여기는 사람은 별로 없는 게 가능하다는 것이 학자들의 설명이다. 추상적으로 도덕적인 사람은 많지만 구체적으로 도덕적인 사람은 많지 않다는 말이 있다. 도덕을 주장하기는 쉬워도 실천하기는 어렵다는 뜻인데 일상 속 나의 행동에 대해 조금이나마 객관화해보는 시도가 실제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2019.07.12
- 보편중력의 법칙(Law of ‘universal’ gravitation) 때문이었다. 보편성이라는 말 자체가 다소 추상적이기 때문에 보통 사람들은 보편성을 추구한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잘 와 닿지 않을 것이다. 염전. 위키미디어 제공 아주 간단한 예를 들어 보자. 최근에 천일염과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사람들은 보통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언제든 도덕을 던져버릴 준비가 되어 있다 2019.07.06
- 올 수 있는 상황에서도 도덕성을 지킬 수 있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누구나 다 추상적인 레벨에서는 도덕적이지만 실제 삶의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도덕적인 사람은 많지 않다는 것이다. 도덕적임을 자처하지만 실제로 도덕적인 사람은 많지 않은 이유는, 인간의 도덕성이란 고정되어 있기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매튜 볼턴, 과학을 미치도록 사랑한 갑부2019.07.04
- 그런 영국의 분위기를 대표하는 모임인지 모른다. 하지만 당시의 프랑스 과학은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연구가 지배하고 있었다. 산업혁명이 영국을 중심으로 일어난 이유가 바로 이런 과학적 스타일의 차이 때문이라고 이야기할 수는 없지만, 영국의 과학적 스타일은 확실히 순수과학과는 거리가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끝)최종 보고서, 코딩교육 정말 필요한가?2019.05.28
- 세 수 앞을 내다보는 것은 그림을 정교화하는 과정이라 볼 수 있다. 즉, 문제의 단순화 및 추상화, 절차적 해결 등 코딩 교육으로 얻을 수 있는 모든 교육적 효과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개념 미술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프랑스의 미술가 마르셀 뒤샹이 체스 국가 대표로 활약했다는 사실은 결코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⑦ 요구를 잘 이해하는 습관 길러주기 2019.03.27
-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 보는 것까지 해냈다. 서툴지만 걸음마는 뗀 셈이다. 이제 조금 더 추상적인 방법으로 컴퓨터와 대화하는 법을 가르쳐야 할 때다. 바로 오브젝트끼리 대화하기, 즉 신호(Signal)의 사용법을 익혀야 할 차례다. 신호는 말 그대로 정보를 전달하거나 지시를 하는 것이다. 우리가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⑥ 쉬운 것은 어렵고, 어려운 것은 쉽다2019.03.19
- 결과를 눈으로 확인하는 게 보다 이끄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구체성의 힘이다. 아직은 추상적인 것보다 구체적인 것에 더 직접적으로 다가가는 나이인 것 같다. 이번 시간의 코딩은 강아지와 엔트리봇이 서로 대화하는 상황으로 구성했다. 흐름 제어와 다중 스레드, 오브젝트의 속성에 대한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③컴퓨터와 대화하는 법2019.02.11
- 무궁무진하다. 문제의 가짓수 만큼 알고리즘도 무한하다고 볼 수 있다. 문제 해결에는 추상화와 모델링이 필요하다. 바꿔 말하면, 잔머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인류가 지금까지 켜켜이 쌓아올린 잔머리의 역사를 모두 배울 수 있을까? 그것도 초등 2학년 수준의 아이가? ‘외판원 순회 문제(Travelling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②코딩, 무엇으로 배울 것인가2019.01.28
- 물론 더 세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문제 분할은 추상화하는 과정과 함께한다. 문제의 추상화와 분할, 순차적 실행이라는 컴퓨팅 사고력을 종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훌륭한 대안이다. 게다가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물건을 직접 만지며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기에 어린 아이와 친화성도 매우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