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발
스타트
기점
뿌리
근원
기원
출처
스페셜
"
출발점
"(으)로 총 8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두 별이 합쳐졌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11.24
가스는 원뿔 형태의 궤적을 보인다. 따라서 파란고리성운의 3차원 형태는 끝(사실은
출발점
)이 마주 닿아있는 두 원뿔의 모습이다. 지구에서 보는 시선과 두 원뿔의 축이 살짝 어긋나 있어 파란고리성운은 고리가 연상되지만, 사실은 두 원뿔에서 겹쳐진 부분이 그렇게 보이 것이다. 두 별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세기의 전환
2020.11.12
교과서가 흑체복사 현상부터 설명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흑체복사는 단지
출발점
에 지나지 않는다. 하나의 이론으로서 양자역학이 언제 정립되었는지는 또 다른 문제이다. 한 가지 유력한 사건은 플랑크의 흑체복사로부터 사반세기가 지난 1925년의 하이젠베르크이다. 이 해에 ... ...
[뉴디펜스] 와해적 기술과 재개념의
출발점
2020.11.11
서경대학교 미래국방기술창업센터 DX Korea 2020 추진위원 우리 눈으로 직접 볼 수 없는 미시 세계를 설명하는 양자물리학은 시간과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공한 상대성이론과 함께 현대 과학의 대명사가 되는 대표 이론이다. 1900년대 초반부터 유럽을 중심으로 등장한 양자이론은 빠른 속도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빛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비스펙트럼 색이다. 그렇다면 색도 공간 그래프에서 왼쪽 아래
출발점
을 380㎚에서 300㎚로 바꾸면 벌새에 해당하지 않을까. 지난 6월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는 벌새의 비스펙트럼 색 지각을 증명한 미국 프린스턴대 연구자들의 행동실험 결과가 실렸다. 평소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⑥미래의 인재상: 대학 교육의 변화 방향은?
2020.11.03
정의된다. 호기심과 주도성은 새로운 상황과 문제에 대해 해결 방법을 찾아내는
출발점
이며, 일관성과 적응력은 예상치 못한 역경이나 새로운 문제에 봉착했을 때 흔들림 없이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리더십과 사회 문화적 감수성은 다양한 타인들과 사회적, 도덕적, 문화적으로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④ 온라인 비대면 시대 혁신할 것인가 혁신 당할 것인가
2020.10.20
개인화된 적응형 학습을 제공하려면, 학생들의 학습 데이터 구축과 분석이
출발점
인데, 현행법에서 이런 분석은 모두 불법이다. 외국의 학생 데이터를 분석해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구축한 해외 상업 솔루션을 사용하는 것이 현 상황에서는 유일한 대안인 셈이다. 온라인 학습이라는 파괴적 기술을 ... ...
과제 쪼개기,코로나 데이터 관리는 방만, 재난엔 깜깜이 위성…과방위 국감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방치돼 통합관리가 이뤄지지 않아 활용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데이터 확보가 연구의
출발점
이고 현장에서 나온 데이터를 빠르게 디지털화해야 다음 대유행에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 장관은 “감염경로 추적은 국토부 등과 함께 했는데 좀 더 파악해보고 디지털 뉴딜에 포함되지 ... ...
천안 줌바 강습소 집단감염 대응은 어떻게 방역의 모범 사례가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8.07
천안 줌바 강사 워크숍을
출발점
으로 한 세종지역 내 코로나19 확산이 이어질 지난 3월 10일 당시 세종시의 줌바댄스 학원이 영업을 중단했다. 학원 문이 굳게 닫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연합뉴스 제공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집단감염이 소규모로 계속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
2020.07.28
해설을 붙였을 뿐 아니라 사설과 기사(뉴스)로도 다뤘다. 특이한 효소 발견이
출발점
세포 하나에는 세포호흡을 담당하는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가 수백~수천 개 들어있다. 미토콘드리아 게놈의 돌연변이가 생겨 기능이 부실해지면 다양한 질병으로 나타난다. 크리스퍼/캐스9 시스템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열 현상을 설명하려고 했으나 결과적으로 올바른 방향은 아니었다. 근대적인 열역학의
출발점
은 보통 프랑스의 사디 카르노(1769~1832)가 《화력의 원동력에 대한 고찰》을 출판한 1824년으로 잡는다. 증기기관이 등장하면서 사람들의 관심은 어떻게 하면 증기기관 같은 열기관에 똑같은 열량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