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풀기
팽압
부어오름
발기
부푼 상태
부풀어오름
비대
스페셜
"
팽창
"(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맛있는 순간의 차맛 유지하는 찻잎거름망·인라인 초보자 안전장치 올해 학생발명왕
동아사이언스
l
2021.09.14
뚜껑에 붙어있던 자석에 닿아 다시 가라앉지 않게 하는 장치다. 온도에 따라
팽창
하는 정도가 다른 금속판 2개(바이메탈)를 붙여 온도에 따라 휘는 원리를 이용한 장치도 개발했다. 송 군은 “바이메탈의 힘이 강하지 않다보니 위로 찻앞을 올리는 대신 거름망을 아래로 떨어트려 물에 닿지 않게 ... ...
국내 연구진, 주름 전혀 없는 '무결점 그래핀'을 세계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6
고온에서 합성한 후 실온까지 냉각해 만든다. 이때 그래핀을 키우는 금속 기판은 크게
팽창
했다가 다시 줄어든다. 하지만 기판에 달라붙어 자라난 그래핀은 별로 줄어들지 않으면서 기판과 그래핀 사이 길이가 맞지 않아 중간중간 접히게 된다. 두 손으로 종이를 붙잡고 손을 가까이 가져가면 종이가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2)차량용 고압탱크 만들던 전통제조사는 어떻게 우주기업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추진제 탱크에 담겨 있던 추진제가 추력을 내는 연소기에 공급되면 탱크 내 가스가
팽창
하며 온도와 압력이 떨어진다. 탱크 내 압력이 주변 대기 압력보다 낮아지면 추진제 탱크가 쭈그러들게 된다. 다른 물질과 만나도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불활성화가스’인 헬륨을 넣어 이런 현상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느려지는 시간
2021.07.08
시속 약 1만4000km로 상당히 빠르다. 이 때문에 지표면에 대해서 특수상대성이론의 시간
팽창
효과가 작동하면서 GPS 위성의 시계가 하루에 약 7.2마이크로초 느려진다. 그러니까 GPS 위성에는 특수상대성이론의 효과와 일반상대성이론의 효과가 함께 (서로 반대방향으로) 적용되며 일반상대성이론의 ... ...
'별의 탁아소' 둘러싼 가스 거품, 별 생겨날 때마다
팽창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5
그러나 약 20만~30만 년 전 웨스터룬드 2에서 새로운 별이 또 탄생하면서 다시 거품이
팽창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와리 박사후연구원은 “이는 별들이 거품 속에서 계속해 태어난다는 것을 암시한다”며 “다만 이 과정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별의 크기는 점점 작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①대학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려면 대학 연구 지원해야
2021.06.16
이루어지는 것이 정상적인 연구활동이다. 하지만 한국은 1980~1990년대 대학의 양적
팽창
시기를 거치며 강의에 치중된 교육이 주를 이루게 됐다. 그리고 연구는 대학의 부기능으로만 인식돼 왔다. 그러다보니 대학에서의 연구는 체계적인 기반 없이 교수가 개인 자격으로 정부나 민간 기업으로부터 ... ...
AI로 제작한 우리은하 주변 암흑물질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각 은하가 과거에 어떻게 형성됐는지, 미래에 어떻게 진화할지를 알 수 있는 우주
팽창
모형의 기본 뼈대가 된다. 홍성욱 선임연구원은 “차세대 첨단 천문관측 장비들이 가동되면 이제껏 발견되지 못한 새로운 은하들이 지속적으로 은하 목록에 추가되며 이를 통해 암흑물질 예측 모형의 ... ...
인공지능이 우리은하 둘러싼 우주 속 암흑물질 지도 그렸다
연합뉴스
l
2021.05.27
분포는 우주 속 은하가 과거 어떻게 형성됐는지, 미래에는 어떻게 진화할지 등 우주
팽창
모형을 설명할 중요한 열쇠가 된다. [SDSS Legacy Surve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홍성욱 박사는 "과거 우주망 지도 연구들은 초기 우주 모형에 대한 가설을 세운 뒤 수십억년 동안 일어난 우주의 진화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
2021.04.27
두정엽과 후두엽 사이에 초승달고랑이 있지만 현생인류에서는 두정엽 뒤쪽이
팽창
하면서 사라졌다. 따라서 고인류학자들은 호모속 인류가 진화했을 때 뇌가 커졌을 뿐 아니라 이런 형태의 변화도 일어났을 거라고 추측했다. 그럼에도 초기 호모속 인류의 두개골 화석 대다수는 상태가 안 좋아 ... ...
[사이언스N사피엔스]시간과 공간이 아닌 시공간
2021.04.01
있고 지면이 뮤온에게 빠른 속력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 좌표계에서는 뮤온의 시간이
팽창
되지 않는다. 뮤온은 100만분의 2초의 수명을 살 뿐이다. 다만 뮤온과 지면 사이의 길이가 수축된다. 그 결과 뮤온은 짧은 생을 살면서도 지면 가까이에 도달할 수 있다! 지구 대기의 상층에서 만들어진 뮤온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