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약
계약
조약
맹약
합의
규약
동의
스페셜
"
협정
"(으)로 총 15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 한국 우주산업 발목 잡는 4대 고질병 잡는다
2021.12.06
주제로 열린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에서 정부와 기업들은 2021년 한해 아르테미스
협정
참여, 누리호 시험비행 등 굵직한 이슈가 대두된 가운데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일관된 정책과 실행 의지가 중요하다며 이렇게 목소리를 냈다. 권현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스타트렉보다 환상적이고 스타워즈보다 긍정적인 인류 미래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6
높이는 강력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골드 부사장은 이날 ‘아르테미스
협정
에서 기업들의 달 사업 진출하기’을 주제로 기조 연설자로 나섰다. 그는 “아르테미스 협약으로 민간 분야 우주개발도 활발해 지고 있다”며 현재 여기서 집중하고 있는 부분은 ‘상호 운용성’이라고 ... ...
[우주산업 리포트] 러시아는 왜 자국 첩보위성을 격추했나
2021.11.26
우주 개발 질서의 새로운 국제규범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르테미스
협정
은 한국을 포함해 현재까지 총 13개국이 가입했으며 러시아와 중국은 미가입 상태다. 아르테미스 계획은 2024년까지 달에 우주인을 보내고 2028년에는 달 탐사 전초기지인 루나 게이트웨이를 건설한다는 목표를 ... ...
'초' 재정의 위해 슈퍼컴·전파망원경 등 국내 첨단장비 총동원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Yb1’ 개발에 성공해 이달 10일부터 프랑스·일본·미국·이탈리아에 이어 광시계로 세계
협정
시 생성에 기여하는 다섯 번째 참여국이 됐다. ‘초’를 재정의하려면 세계 각 기관이 개발한 광시계의 주파수 간 비교가 필요하다. 광대역 초장기선간섭계(VLBI)를 활용한 정밀한 시각 비교 방식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멀고 힘들 수밖에 없는 탄소중립의 길
2021.11.24
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가 지난 13일 막을 내렸다. 그런데 글래스고 기후
협정
에 대한 평가가 낙제점이다. 중국·러시아·인도·브라질 등의 온실가스 거대 배출국들이 2030년 감축 목표 강화를 거칠게 거부해버린 탓이다. ‘2050년’으로 못 박겠다던 탄소중립의 달성 시점도 ‘금세기 ... ...
최근 7년 기록상 가장 더웠다…WMO "극한 기상현상이 '뉴 노멀'"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1.11.01
증가 속도에서는 이번 세기말까지 산업화 이전보다 1.5~2도로 기온 상승을 억제하는 파리
협정
목표를 초과하는 온도 상승을 보게 될 것”이라며 “COP26은 우리를 정상 궤도에 올려놓을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COP26이 시작되면서 협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함께 ... ...
한국-호주 우주 협력 강화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9
화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회의는 1999년 체결된 한-호주 과학기술협력
협정
에 근거해 추진되는 정부 간 협의체로, 양국의 과학기술정책 교류, 공동연구, 연구기관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이번 회의는 김성규 과기정통부 국제협력관과 스테프 고레키 나틱 호주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 ... ...
이산화탄소 농도 2020년에 또 역대 최고치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1.10.27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현재 온실가스 농도 증가 속도에서 금세기 말까지 파리
협정
목표인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1.5~2도 높은 온도 상승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31일(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각국이 탄소중립을 위해 ... ...
[이덕환의 과학세상]노벨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
2021.10.13
가진 것은 고작 60여 년 전이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창립국가가 되고, 한미원자력
협정
을 체결하고, 문교부에 원자력과를 설치했던 1956년이 그 출발이다. 1958년에는 237명의 국비 유학생을 파견했다. 지금까지 우리의 관심은 오로지 과학기술을 통한 국가 경제 발전이었다. 헌법 127조에도 그렇게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기후변화 문제로 지평 넓힌 물리학
2021.10.06
그에 따른 기후재해가 결정되며, 온실가스 배출을 즉각적으로 줄이지 않는다면 파리
협정
에서 ‘위험한 기후변화’의 기준으로 채택한 산업혁명 이전 대비 2도의 온난화 목표는 달성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한국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세웠다. 올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릴 '제26차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