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음
d라이브러리
"
다음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월드컵 응원에는 북소리가 최고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많은 사람들은 집에 비디오나 DVD가 있는데도 영화관이나 공연장을 직접 찾는다. 사물놀이 공연을 처음 보는 외국인들도 곧 함께 어울려 춤을 춘다. 월드컵 경기를 보다 응원 북소리를 들으면 나도 모르게 주위 사람들과 하나가 된 느낌이 든다.여기엔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 영화관 스크린 뒤의 대 ... ...
논리는 수학자의 친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거리를 잴 때 사용하는 ‘자’는 공간의 차원을 달리하면 모양이 바뀐다. 직선 위의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는 선분 형태의 자로 거리를 측정한다. 또 x축과 y축이 있는 2차원에서는 원점에서 일정 거리 이하의 점들을 모은 원 모양의 자를 이용한다. KAIST 응용수학과 함수해석학 연구실의 최창선 ... ...
무기자 메디칼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병원에 가면 먼저 작은 컵을 하나 준다. 그리고 간호사의한 마디. “소변 받아 오세요.”소변으로 도대체 어떤 검사를 하고 어떤 질병을 알 수 있기에 소변검사를 할까? 소변검사는10개의 칸으로 나뉜 소변스틱에 소변을 묻혀 색깔 변화를 관찰한다. 각각의 칸은 수소이온농도, 비중, 당 등을 확인할 ... ...
교육 현장 속으로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초중고교 시험문제 은행 가동 교사들이 학생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시험문제가 공동으로 개발돼 일선 초·중·고교에 보급된다.전국 시·도교육청은 지난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시험문제 공동개발 사업을 추진해왔다. 현재 초등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 국민공통 기본교과를 중심으로 ... ...
3. 100m 달리는데 33초 이상 걸려야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소행성에서 열린 준결승. 모든 선수들은 경보를 하듯 뒤뚱뒤뚱 움직인다. 한국의 한 선수가 갑자기 공을 세게 차며 강력한 슛을 날린다. 이 공을 받으려고 점프하던 상대 골키퍼는 소행성을 떠난다. 나머지 선수들은 이 모습을 보면서 황당해 한다. 우주월드컵조직위원회가 소행성 ‘에로스’(사 ... ...
'왕의 남자' 대박 비결, 스타보다 입소문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지난 3월 6일 각종 언론 매체는 영화 ‘왕의 남자’가 흥행 신기록을 세웠다는 뉴스를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한국형 블록버스터 ‘태극기 휘날리며’가 갖고 있던 총 관객 1175만명이라는 기록이 깨졌기 때문이다. 영화 ‘왕의 남자’는 그 후에도 저력을 발휘해 대단원의 막을 내린 4월 18일까지 전 ... ...
볼풀과 원자모델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백화점, 대형 마트, 또는 식당의 한편을 차지하고 있는 어린이 놀이공간 볼풀(ball pool). 색색의 플라스틱 공이 풀 안에 가득 들어있고 어린이들은 신나서 점프를 하며 공을 던지고 논다. 멍하니 볼풀을 바라보고 있을 때 불현듯 말도 안 되는 생각이 든다.‘어? 점프했을 때 튀어나오는 공의 개수는 왜 ... ...
뚱뚱한 부자보다 가난한 몸짱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시대에 따라 멋있는 체형의 기준은 달랐다. 요즘처럼 군살 없는 균형 잡힌 몸매를 이상적인 체형으로 여기게 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는다. 불과 한 세대 전만 해도 넉넉하게 살찐 남자의 뱃살은 인격이나 부의 상징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배가 많이 나온 사람은 ‘자기 관리를 못해 게으르다’는 ... ...
미션 임파서블?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Q도심 한복판에 악당이 설치한 폭탄을 찾기 위해 악당의 지시대로 분수대에 도착한 당신에게 다음 문제가 주어졌다. 어떻게 해야 할까?‘3리터와 5리터짜리 물통 2개가 있다. 분수대의 물을 이용해 정확히 4리터를 담아라.’A브루스 윌리스, 제레미 아이언스, 새뮤얼 잭슨이 주연한 영화 ‘다이하드 3 ... ...
조선의 기계식 시계 '자격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시간을 알 수 없다면 얼마나 불편할까요? 지금이야 언제 어디서든 정밀한 시계를 보며 시간을 확인할 수 있지만 불과 수백 년 전만 하더라도 정확한 시간을 알기란 힘들었어요. 해와 달의 변화를 보며 대충 시간을 짐작했던 것이지요.시간을 양으로 정확히 계산한다는 것. 그것은 산업 발달에 있어 ... ...
이전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