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머니 속의 컴퓨터 전자수첩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홍콩 식으로 하루가 바쁘게 전세계를 누비는 사람도 자신의 고향이 지금 몇 시인지를 그
자리
에서 확인 할 수 있다.이 모든 일을 담당하는 것은 유능한 비서가 아니다. 전자계산기와 그리 달라 보이지 않는 주머니속의 소형 전자수첩이 그 역할을 대신할 뿐이다.3천명 주소 기록 가능지난 87년부터 ... ...
무시무시한 괴물들의 잔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천체쇼'를 펼치곤 한다.이외에도 3월의 대표적 별
자리
는 바다뱀
자리
가 있는데, 이 별
자리
역시 신화속에서 인간을 괴롭히던 '악당'으로 묘사되고 있다. 결국 3월의 밤하늘은 무시무시한 괴물들이 활개를 치고 있는 셈이다. 이 악당들을 쳐부술 용사는 누구일까. 그리고 언제 나타날 것인가. 우리는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Albireo)나 큰곰
자리
의 북두칠성 손잡이에 해당하는 미자르(Mizar)와 알코어(Alcor), 오리온
자리
델타성들은 쌍안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쌍안경은 시야가 넓고 밝으며, 사용이 간편하고, 운반이 쉬우므로 천체 관측시에 꼭 필요한 장비다. 요즘과 같이 오염이 심한 대기가 하늘을 덮고 있는 상황에서도, ... ...
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농경지 잡목림과 낙엽수림이 많은 곳의 땅바닥을 접시모양으로 파헤치고 풀을 깔아 알
자리
를 만든다. 그런 다음 4~6월에 5~18개의 알을 낳은 뒤 22~25일 동안 알을 품어서 병아리를 깐다. 까투리가 숲에서 알을 품고 있는 형색을 보면 수꿩과 다르게 우중충한 색깔을 띠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는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것으로 풀이된다.그러나 정작 석유가 위협한 것은 다국적군 이전에 이 지역을 보금
자리
로 살고있던 수많은 해양생물이었다. '불모'의 사막이라는 주변지역 이미지와는 달리 페르시아만의 해양 환경조건은 석유유출이라는 인위적인 재해가 없다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어린 고기들의 ... ...
자유를 향한 「열두가지 시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옛날 그리스에는 헤라클레스(Heracles)라는 힘센 장사가 있었다. 그는 신의 왕 제우스와 인간 사이에서 난 아들이었는데, 이 때문에 여신 헤라의 미움을 받게 돼 에우리테 ... 그래서 이 게는 다리가 잘려나가고 형체마저 희미해져 하늘에 올라간 후에도 어두운 별
자리
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 ...
계산하는 기계를 좇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경이었다. 주판은 컴퓨터에게 그
자리
를 빼앗길 때까지 십수 세기동안 계산기계의 왕자
자리
를 지켜왔다. 우리가 흔히 보는(요새는 다소 힘들지만)주판은 사실 2차대전후 일본에서 개량된 것이다. 중국식 주판은 가로막대의 아래에 5개의 주판알이 있고, 위로는 2개의 알이 있었다. 그리고 그 모두는 ... ...
「냉동동물」이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얼어서 겨울을 지내다가 날씨가 풀리면 살아나는 몇몇 동물들을 소개했다.따뜻한 보금
자리
를 갖지 못한 변온동물(개구리 거북 등)은 주위의 온도가 체액이 어는 온도보다 더 떨어질 때 어떻게 견디는 것일까. 어떤 종들은 체내에서 생화학적인 변화를 일으켜 몸이 얼지 않게 하는 것도 있지만, 이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현지에 찾아가 보았으나 10년 사이에 변한 것이 너무 많았다. 화석을 채집한 바로 그
자리
에는 불행하게도 어구(漁具)를 넣어두는 임시가옥이 서 있지 않은가. 지구의 반을 돌아 찾아온 노교수의 성의와 그의 실망하는 딱한 표정을 보고 필자는 필요한 만큼의 표본 일부를 제공하기로 했다.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Magellanic Cloud)속의 별이 폭발한 것이었는데 맨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았다. 후에 그
자리
에는 중성자별이 남겨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중성자별은 중력수축으로 수소원자핵과 전자가 붙어서 중성자로 변한 거대한 원자핵과 같은 작은 별이다.M>3${M}_{s}$인 별은 내부의 압력때문에 무게를 지탱할 ... ...
이전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