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려"(으)로 총 6,476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산업③] 기술기반 창업이 살아야 미래 산업이 살아난다동아사이언스 l2017.12.26
- 운영에는 대덕밸리를 기반으로 사업을 시작한 것이 큰 이점이 됐다”며 “주변 인프라를 고려한 기술을 사업화 하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 이 기사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취재 지원으로 작성됐습니다 ... ...
- 2042년 우리 아이는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7.12.25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래 기술을 발굴한다. 그런 다음 과학기술이 발전하는 속도를 고려해 언제쯤 해당 기술들이 생활 속으로 성큼 들어올지 예측해 보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KISTEP은 주요 미래기술들이 변화시킬 일상의 모습을 한 권의 책에 담았다. 책 제목은 ‘2042년, 우리는 무슨 ... ...
- [미래산업②]新시장 혁명 나선 한국형 인공장기 기술동아사이언스 l2017.12.21
- 한다고 못 박는 등, 관련규정을 철저히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역 특성 고려한 ‘한국형 혁신산업’ 이끌어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제공 현재 인공장기 기술을 완전히 실용화한 사례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만큼 일단 실용화에 성공하면 파급되는 신시장 형성, 일자리 창출, ... ...
- 미술 치료계의 왓슨을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2017.12.21
- 결과를 묶어 ‘컴퓨터 미술 치료(Computational Art Therapy)’라는 책으로 출간했다. 김성인 고려대 산업경영공학부 명예교수 - 김성인 제공 그림은 그리는 사람의 내면 세계를 외부로 나타내는 기능을 가진다. 때로는 말이나 글로 표현하기 어려운 심리 상황을 표현할 수도 있다. 미술 치료는 그림을 ... ...
- [미래산업①]스마트 공장 거점 클러스터, 국내 제조업 혁신을 꾀하다동아사이언스 l2017.12.19
- 4개 기업이 데모 공장 구축에 협력하고 있다. 국제표준 및 산업표준을 고려해 스마트 공장 기반 시스템을 연동할 수 있도록 활용 방안을 테스트하는 역할도 한다. 국내 스마트 공장에서 사용하는 시스템이 해외에서도 연동해 활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데모공장은 작년 기계부품 분야 ... ...
- 7년 뒤 한국 바꿀 근미래 기술은 무엇?동아사이언스 l2017.12.19
- 무선통신 기반의 자율주행 열차제어시스템을 선보여 주목 받았고, 고려대와 중앙대 등이 연구하는 자가치유콘크리트는 금이 간 부위를 스스로 메우는 새로운 콘크리트로 미래 도시를 편리하게 관리할 새로운 건설 기술로 꼽혔다. 전기·전자·정보 분야는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을 담당할 또다른 ... ...
- “100대 기술 선정자, 40대가 다수...여성 공학자 적은 것은 아쉬워”동아사이언스 l2017.12.19
- 서울대 소속이 20명으로 가장 많이 선정됐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소속이 8명, 고려대와 연세대 소속이 각각 6명과 5명으로 뒤를 이었다. 기업 소속 연구원 중에서는 삼성그룹 출신의 활약이 단연 돋보였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통신 등의 분야에서 29명이 선정됐다. LG 그룹도 전자와 디스플레이, 화학 ... ...
- “오가노이드 활용하면 실험동물 구할 수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7.12.15
- 있다. 홍 소장은 “줄기세포를 이용해 오가노이드를 제대로 구현하면 일부 돌연변이를 고려한다해도 유전적 유사성이 거의 100% 가까이 일치하는 조직을 만들 수 있다”며 “(이를 실험에 사용하면) 인간을 위한 동물의 희생을 최소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가노이드는 환자의 ... ...
- 이종장기이식 10년 내 상용화 문턱 넘는다 동아사이언스 l2017.12.11
- 있는 바이오 이종장기개발사업단은 보건복지부의 지원 하에 서울대와 한림대, 가톨릭대, 고려대 등 국내 대학 연구진이 협력해 2019년 5월까지 돼지의 췌도와 각막을 임상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2015년에는 당뇨병을 앓고 있는 영장류에 췌도를 이식해 1000일 동안 ... ...
- “현생인류, 12만 년 전 아프리카 벗어나 아시아에 첫 발”동아사이언스 l2017.12.08
- 이것은 (그 이전에 아프리카를 벗어났다가 나중에) 아프리카로 되돌아간 인구를 고려하지 않아 오해를 한 것”이라며 “12만 년 전에 이주가 시작됐다고 보는 게 맞다”고 말했다. 유전학자들도 가세하고 있다. 작년 10월 네이처에 실린 게놈 해독 연구에서 미국 연구팀은 현생인류가 약 12만 년 전 ... ...
이전4964974984995005015025035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