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뉴스
"
사이
"(으)로 총 9,302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처럼… 몸속 ‘피’ 흐르는 로봇 물고기가 스르르 헤엄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흐름 배터리(RFB)를 활용했다. 배터리에 음극액과 양극액을 막으로 분리한 채 담으면 둘
사이
에 전기의 흐름이 생기는 원리를 이용하는 전지다. 이를 두고 ‘흐름 배터리’로 부르는 이유는 음극액과 양극액을 펌프로 계속 순환시켜 전해액을 공급하기 때문이다. 펌프 역시 흐름 배터리에서 나오는 ... ...
“동토에 숨었다 피는 ‘씨범꼬리'에서 북극식물의 인내 배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북극은 국제사회의 가장 관심을 크게 모으고 있는 지역이 됐다. 기후변화로 북극 빙하
사이
에 길이 나며 북극항로가 열렸다. 액화천연가스 등 자원도 발굴됐다. 춥고 버려진 땅으로만 생각했던 북극의 가치를 다시 보고 러시아, 덴마크, 캐나다 등 북극권 국가들이 앞다퉈 권리를 주장하고 있다. ... ...
[이정아의 미래병원] 소음 적고 민첩한 닥터드론 한국에선 뜰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소음이 없고 이착륙이 훨씬 수월하다는 게 연구진 설명이다. 또 건물과 건물
사이
, 송전탑 근처에서도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이 타고 있는 만큼 비행 중 실종이나 추락 등 사고가 일어나서는 절대 안 되기 때문에, 연구팀은 현재 인공지능(AI)을 접목해 드론의 위치와 속도를 ... ...
KAIST 원자력공학과 올해 전공선택자 4명…10년 내 최저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선택한 학생도 4명에 불과해, 올해 전체 전공선택자는 총 4명이 됐다. 이는 지난 10년
사이
에 가장 적은 수다. 이 학과는 지난해 상반기에도 5명만이 전공을 선택해 총 5명이 한 해 전공을 선택했다. KAIST 내에서는 진짜 문제가 2학기 전공선택자 수 0명이 아니라 바로 학년 전체 선택자 수가 급감한 데 ... ...
[이강운의 곤충記] 기생충의 두 얼굴
2019.06.19
회충과 편충. 위키미디어 제공 알레르기는 기생충을 절멸시키면서 기생충과 면역세포
사이
에 유지되던 항상성을 깨뜨려 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 자신의 조직을 손상시키는 것이라 한다. 기생충은 사람 뱃속에 들어와 염치없이 몸만 축내는 존재가 아니었고 알레르기성 질환을 잡아주는 ... ...
찜찜한 비스페놀A 대체할 고강도 바이오플라스틱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연구원은 “국제표준기준(ISO)에 따라 쥐의 피부 중 가장 바깥의 표피와 그 아래 진피
사이
에 플라스틱을 넣고 염증 반응을 측정한 결과 5점 만점에서 1점 미만으로 아주 낮게 나왔다”며 “이는 인공뼈나 임플란트 등에 사용해도 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황성연 센터장은 “플라스틱에 대한 ... ...
日연구진, PCR보다 증폭력 수십배 DNA 증폭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DNA-RNA 혼성화는 RNA 사슬과 DNA 사슬을 서로 붙여 이중 가닥 사슬을 만들어 두 사슬
사이
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L-Team에 안정성을 높이는 합성물질인 LNA를 사용해 PCR의 단점으로 꼽히는 ‘오독’을 줄였다. 오독은 DNA 증폭과정에서 염기 400개에 하나꼴로 중합효소가 오독을 내는 ... ...
기관투자자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수학 모형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이용해 분석한 결과, 네 주체 가운데 포트폴리오 재조정자와 내부정보를 가진 투자자
사이
의 상호작용 때문에 주식시장의 거래 패턴이 장 초반과 후반에 거래량이 많은 U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초반 거래량이 상승하는 것은 포트폴리오 재조정자가 장 후반의 가격 변동을 ... ...
어지럼증 없는 3차원 디스플레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해상도와 프레임 저하 없이 생성했다. 단층 이미지 80장은 눈에서 약 18cm부터 수십 m
사이
에 분포하는 표현 범위를 갖는다. 연구팀은 “토모그래피 디스플레이를 통해 그 동안 난제로 여겨졌던 양안식 3차원 디스플레이의 시각적 피로 문제를 해결했다”며 “이 연구 결과를 확장시켜 최종적으로 ... ...
LCD처럼 작동하는 DNA디스플레이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분자들이 전기장을 통해 방향성이 제어되는 것처럼 수용액 상태의 DNA 액정상이 두 기판
사이
에서 문질러지며 물이 증발할 때 DNA 나노 구조체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이다. 연구팀은 또 금 나노막대와 같은 ‘플라즈몬 공명’ 현상을 보이는 소재와 결합시켜 디스플레이 소자로 ... ...
이전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