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스페셜
"
가장
"(으)로 총 5,03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공학 발전은 ‘네트워크’에서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2.03.07
양 단장은 이런 의미에서 2002년부터 10년간 이어온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개발사업단의
가장
큰 성과를 ‘네트워크 구축’이라고 답했다. 그는 “무형적 결과이긴 하지만 함께 일할 수 있는 많은 연구자들이 모여 중심이 잘 갖춰졌다”며 “향후 생명공학 연구의 커다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1.24
원숭이, 유인원 등의 ‘영장류’를 쓴다. 단백질 독성실험은 사람과 단백질 구조가
가장
비슷한 동물인 영장류 이외에는 대안이 없다. “최근 제약회사에선 특별한 구조의 단백질을 이용해 약품을 만드는 ‘단백질 신약’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런 단백질이 사람의 몸속에서 어떤 반응을 ... ...
“IT역량 활용해 바이오헬스산업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1.09
분야에서
가장
큰 시장이 바이오헬스산업입니다. 국민의 건강주권 확보를 위해서도 꼭 필요하죠. 우리의 강점인 IT분야를 활용하면 바이오헬스산업에서 세계적인 역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겁니다.” 차동형 지식경제부 신산업정책관은 우리나라의 신산업 전반에 대한 정책을 다루다보니 생명공학 한 ... ...
“한반도 기후 아열대화는 위기이자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1.12.26
된다. ●한류성 어종 명태, 이젠 동해에서 찾아보기 힘들어 농업은 이런 지구 변화에
가장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1980년대만 해도 매년 10만t 이상 잡히던 명태가 지금은 거의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한반도 근해의 수온이 계속 오르면서 대표적인 한류성 어종인 명태가 러시아 쪽으로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거점센터’ 센터장이기도 하다. 김 교수는 이렇게 바이오뱅크를 운영하며 겪는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윤리’다. 수술만 끝나면 버려지거나 태워버려질 살덩어리니 쉽게 허락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수술 후 검체 기증을 흔쾌히 기증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는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12.05
등 5개 분과로 분류돼 각각 수행되는 사업들이 많고 분야간 융합도 부족하다는 점을
가장
먼저 지적했다. 신희섭 소장은 “해양분야에도 바이오신약 사업이 있고, 보건의료 분야에도 신약개발 사업이 들어있는데 마치 전혀 연관이 없는 사업처럼 운영되고 있다”며 “현장과 거리가 먼 정부의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의료산업 관계자만 수만 명이 상주할 예정이다. 장 센터장은 “신약개발을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돼야 할 점은 병의 원인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시장성’”이라며 “이 두 가지 조건의 균형이 맞아야 신약사업도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인력운영의 중요성도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바이오기업 투자전문가인 김병수 박사도 여기에 동의했다. 김 박사는 “한국과 일하면서
가장
바뀌었으면 하는 게 바로 그 점”이라며 “벤처를 창업하고 2년쯤 지난 시점에서는 전문경영인이 맡는 게 낫다”고 말했다. 좌담회를 주관한 현병환 센터장은 “미국의 한인 바이오 네트워크들이 한국의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이뤄질 것으로 봤지만 아직은 그런 모습이 보이지 않고 있다. 시간이 좀 더 걸릴 것 같다.
가장
자연스럽게 가는 방향은 기술혁신을 통한 재편이다. 기업 R&D에 세제 혜택을 주는 정책 등으로 기업 간 우열이 가려지면서 서서히 해결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 이 좌담회 시리즈는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우리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해 집중하는 ‘수월성 경쟁’을 해야 합니다. 제한된 연구비로 생명과학의 모든 분야에서 잘 하려는 ‘평균 경쟁’을 해서는 승산이 없습니다. 줄기세포 연구는 수월성 경쟁에서 가능성이 있는 분야입니다.” 김동욱 세포응용연구사업단장(50)은 연세대 의대 ... ...
이전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