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1,11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의 어린이날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
힘들어 하는 어린이도 많아.행복은 나누면 배가 된다는 거 알지? 행복한 어린이날을 맞아
우리
행복을 어딘가에서 힘들어할 친구들에게도 나줘 주면 어떨까? 주변의 친구들도 좋고, 유니세프 같은 곳을 통해서도 좋아. 어서 행복이 온세계에 전해져서 모든 어린이가 1년 365일이 어린이날인 것처럼 ... ...
PART1. 향기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
나면
우리
의 코는 반응하기 시작한다. 꽃, 향수 등에서 나는 좋은 냄새를 향기라고 하니 결국 향기도 코로 맡는 냄새의 하나. 그런데 과연 냄새는 코로 맡는다고 말해도 되는 걸까?냄새를 맡는 것은 냄새분자의 움직임에서 시작된다. 냄새분자는 사람이 숨을 쉴 때 코로 들어가 코 윗부분에 있는 ... ...
잣나무 말려 죽이는 무서운 재선충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
붙어 있던 재선충이 그 잣나무 속으로 들어가죠. 하늘소가 다른 잣나무로 날아갈 때
우리
도 함께 붙어서 이동하고요.기자 : 소나무재선충은 한번 감염되면 100% 말라죽잖아요? 그것도 한 달에서 일 년 안에 죽잖아요? 잣나무는 어떤가요?재선충 : 잣나무재선충병은 지난해 12월 경기 광주시의 한 숲에서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
높은 에너지 때문에 공기가 팽창해 일어나는 소리지. 번개랑 천둥은 동시에 일어나는데
우리
가 항상 번개가 치고 난 다음에 천둥소리를 듣게 되는 이유는 뭘까? 그건 빛의 속도와 소리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야. 소리의 속도는 1초당 340m이고 빛의 속도는 1초당 30만㎞이니까 번개가 더 빨리 생기는 ... ...
태양계 기원 밝힐 탐사선'돈'
과학동아
l
200708
기계식이 있다BC 460~370경 그리스의 철학자, 고대원자론의 완성자 사물의 성질에는
우리
의 감각과는 무관하게 사물이 본래 지니고 있는 것(중량, 굳기 등)과 인간의 감각에 기인하는 것이 있음을 지적했다 방위 분포가 혼란한 동종 미세결정 집합체에 의한 단색 X선의 회절상 데바이고리,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08
KAIST인 유전자:‘자유’로 꿈틀대는 ‘상상’ 에너지예술가로 변신한 과학자이진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KAIST 출신이 예술가로 거듭나다니 이색적인 경력이 아닐 수 없다. ... KAIST VS. 포스텍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PART2 있다! 없다! BEST 5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 ...
태권V의 완벽한 부활!
과학동아
l
200708
만족시키기에도 모자람이 없다. 여러 가지 의미가 있는 로보트태권V 피규어가 열악한
우리
캐릭터 문화를 업그레이드시키는 가교가 되길 기대해보자.40cm의 훤칠한 키와 9등신 몸매보통 피규어의 크기는 15cm나 30cm가 주류다. 로보트태권V는 거대로봇인 만큼 피규어치고는 큰 40cm 크기로 제작됐다. ... ...
킁킁~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
피어오르는 여러 가지 향기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러고 보니 세상은 온통 향기 천지!
우리
는 이미 향기에 푹~ 빠져 있다. 향기녀의 하루“띠리리 리리리리 리~~ 띠리리 리리리 리~”휴대전화의 알람소리를 듣고 잠에서 깬다. 라벤더향이 살짝 나는 휴대전화는 만질 때마다 기분이 좋다.출근길에 ... ...
PART2. 향기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
향은
우리
몸을 긴장시키는 교감 신경을 안정시켜 편안한 상태로 만들어 준다. 솔잎향은
우리
몸에 활기를 더해 주기도 한다. 향기 실험 2향긋한 장미향, 높아진 기억력달콤한 장미향이 기억력을 좋게 한다는 놀라운 사실! 독일 과학자들은 지난 3월 9일, 잠을 잘 때 장미 향기를 맡은 학생들이 ... ...
태초에 태어난 아기 은하
과학동아
l
200708
아주 멀리 떨어진 천체의 빛이 은하나 은하단처럼 거대한 천체의 중력 때문에 휘어져
우리
눈에 보이는 현상이다. 132억년 전의 은하들은 앞을 가로막은 거대한 은하단 때문에 활처럼 휜 모습으로 보인다.연구에 참여한 리처드 엘리스 교수는 “약 132억년 전의 우주는 공간을 채운 수많은 수소원자 ... ...
이전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