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
nine
d라이브러리
"
9
"(으)로 총 6,234건 검색되었습니다.
도형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10
볼록다각형을 만들 때 그 볼록다각형의 내각은 180°가 되면 안되기 때문에 내각은 60°
9
0°1백20°(60°+60°, 즉 정삼각형과 정삼각형의 만남) 1백50°(60°+
9
0°, 즉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의 만남) 등 4가지가 된다. 변의 수가 최대가 되려면 모든 내각은 1백50°가 돼야 하며 변의 개수는 12개가 된다. 3 ③크기가 ...
4 우주여행의 징검다리 우주정거장 살류트에서 프리덤까지
과학동아
l
199209
자기 위치를 쉽게 알아보도록 했다. 두개의 작업공간 모듈 중 작은 것은 지름이 2.
9
m, 큰 것은 4.2m다. 작업공간 내부에서는 자유로이 활동할 수 있으며, 먹고 자고 실험하는 일 등은 주로 큰 모듈에서 수행하고 작은 모듈에서는 조정 통신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외부의 태양전지판은 총면적이 76㎡로 전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09
또 습기도 풍부해 식물의 군락형성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요.최도열…지리산의
9
백m 이상 고지에서는 신갈나무군락이 잘 발달돼 있었어요. 또 피아골계곡의 들메나무군락도 퍽 인상적이었습니다.최영림…힘든 탐사일정이었지만 많은 것을 얻었고 신선한 충격을 받은 느낌이에요. 하지만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09
분위기마냥 무한한 상상력으로 가을 별들의 신비를 밝혀보자.반은 염소, 반은 물고기
9
월에도 여전히 은하수의 별들이 다른 별들을 찾는 좋은 지침이 되어준다. 여름철의 삼각형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독수리자리의 바로 남동쪽에 염소자리(Capricornus)의 희미한 별들이 있다. 염소자리는 커다란 ... ...
동굴인의 후예들
과학동아
l
199209
흡연자들지난 한해동안 우리나라 담배 소비는 국산 46억
9
천만갑, 외산 2억5천만갑으로 총 4
9
억4천만갑에 달했다. 이 담배개비를 일렬로 이어 놓는다면 길이가 8백만㎞가 넘는데, 이는 지구를 2백번이나 돌고도 남는다. 만약 경부고속도로에 늘어 놓는다면 서울 부산을 1만번이나 왕복할 수 있다. ... ...
PC용 소프트웨어 삼총사
과학동아
l
199209
세로 3백4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흑백모니터의 한 화면을 그래픽 모드로 구성할 경우 25만
9
천5백60바이트의 정보량이 필요하다.따라서 똑같은 컴퓨터도 어떤 모드로 운영하느냐에 따라 느리기도 하고 빠르기도 한 것이다. 그런데 텍스트 모드나 그래픽 모드를 선택하는 것은 사용자가 아니다. 이 ... ...
칼 J 신더만 「과학자의 기쁨과 영광」
과학동아
l
199209
않을까 생각이 드는 책이다.이 책은 특히 뛰어난 과학자에 대한 얘기가 아니라 과학계의
99
.
9
%를 차지하고 있는 보통 수준의 실존하는 과학자에 대한 역사를 통하여 산 교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여성 과학자상을 제시하고 있는 것도 매력이 있다고 생각한다.이제껏 여러 종류의 과학관련 서적이 ... ...
새로운 완전수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09
못본 독자들도 있을 것이나 서양영화에서는 가끔 볼 수 있다. 이를 따라 계산기는 7-8-
9
를 맨 윗줄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치했던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전화기판도 지금은 거의 볼 수 없지만 오랫동안 쓰였던 회전 다이얼식 전화기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다.회전다이얼식은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 ...
5 달·화성·목성에 진출하는 행성탐사선 외계의 신비찾아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199209
발사▲1
99
0년 2월 10일 금성을 지나감▲1
99
0년 12월 8일 지구를 스쳐 지나감▲1
99
1년 10월 2
9
일 지름 16㎞의 소행성 가스프라 지나감(속도 초속 8㎞)▲1
99
2년 12월 8일 2차로 지구를 3백20㎞ 스쳐 지나감▲1
99
3년 8월 28일 지금 32㎞의 소행성 아이다(Id ...
한국의 곤충⑪ 대벌레
과학동아
l
199209
나뭇가지 모양을 하고 있어 천적으로부터 몸을 보호한다. 이를 의태(擬態)라고 한다. 7월~
9
월에 걸쳐 깊은산 졸참나무 숲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신갈나무 졸참나무 등의 잎을 먹고 살며 불완전탈바꿈을 하는 사마귀나 메뚜기에 가까운 무리다. 알은 식물의 씨앗 모양이며 6회에 걸쳐 탈피해 어른벌레가 ... ...
이전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