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d라이브러리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어떤 드라이브를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포토 CD는 코닥사가 사운을 걸고 현재 개발중인 신기술로, 한번 데이터를 기록하면
다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는 CD 디스크의 한계를 넘어 최대 1백개의 고화질 사진을 하나의 ... 지나치게 가격에 매달려 정작 필요한 기능을 갖추지 못한 드라이브를 구입한다면 이후에
다시
추가 비용이 들 게 ... ...
수치로 비교분석한 한국·일본 여대생의 평균 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거칠게, 눈과 눈동자가 작으니까 교활하게, 얼굴이 오목하니까 촌스럽게, 이를 종합해서
다시
말해 무례하게 보이는 것이다. 참으로 억울하기 짝이 없는 일이다.게다가 더 심각한 문제는 오늘 당장 우리의 유전자를 고쳐 놓을 수도, 우리의 미의식을 되돌려 놓을 수도, 외국인들의 미의식을 바꾸어 ... ...
유전공학자 하지홍교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하지홍 교수가 미국 유학을 마치고 경북대 유전공학과에 부임하면서 삽살개 보존작업은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오랫만에 목장에 돌아와 삽살개를 찾아보니 숫자가 줄어든 데다 ... 내줬다. 이를 뒤늦게 안 하교수는 불같이 화를 내며 그 사람 집을 찾아가 강아지를
다시
빼앗아 왔다."며칠동안 ... ...
물리- 패러데이가 전자기유도를 발견하던 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힘을 받지 않지만 관성에 의해 나머지 반바퀴를 돈다. 거기서
다시
반바퀴를 돌면 에나멜이 벗겨진 곳을 접촉하게 되고 전류가 흘러 같은 방향의 힘을 받으므로 코일은 한쪽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된다. 상대론적 해석이제 전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쿨롱법칙과 ... ...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state space)-이 공간상의 한 점은 그 시각 계의 상태를 나타냄-에서 기하학적인 궤적으로
다시
그려 보았더니 그 이면에 나비 날개 모양의 로렌츠끌개(Lorenz atrractor)라고 불리는 기이한 끌개의 규칙적 구조가 숨어 있다는 것이 발견됐다(그림2). 이 구조는 작은 섭동에도 사라지지 않는 매우 안정된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금년 여름의 화성탐사선 옵서버호의 실종과 같은 상황이
다시
일어난다면 그것은 더욱 치명적일 것은 분명하다.최근 상원에는 ... 발전된 신형 카메라를 장착하도록 되어 잇다. 이들이 A래치를
다시
조여서 WFPC-2를 장착하는 순간 우주망원경은 그 제작자들이 ... 성공을 기원해야 할 이유는 헤아릴 수 ... ...
우리별 1·2호 그후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이용하고자 한다면 분해능보다는 촬영범위(swath width)나 리비지트(revisit, 같은 장소를
다시
찍는다는 뜻) 주기 등이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된다. 분해능이 중요한 것이라 해도 그것이 ... 퍼져 나가서 지구밖 우주 멀리까지 전파되어 가는 것이 아니라 전리층에 반사되어
다시
지구 표면으로 되돌아온다 ... ...
4. '혼돈의 언어' 프랙탈이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유한한 면적 내에 무한한 길이가 포함돼 있는 것이다.여기서 프랙탈 차원의 유용성이
다시
한번 드러난다. 면적은 2차원이고 길이는 2차원이다. 코흐곡선은 무한한 길이(매번 4/3배씩 증가)이기 때문에 1차원은 넘어선 것이고 유한한 공간이기 때문에 2차원을 넘어서지 못하는 1.2618(이 수치는 위의 ... ...
유·무선 단점보완한 레이저통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유선을 설치하기 힘든 운동장안에서 경기장위의 수신기로 레이저를 쏘고 이를 받아
다시
방송국까지 유선으로 연결한 것.미군은 91년 걸프전에서 사막의 음성통신용으로 레이저통신을 활용했다. 이란도 이라크와 대치한 국경지대의 단거리통신용으로 레이저를 쓰고 있다.정유공장이나 제철소 ... ...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모든 잡종이 불임이 되는 이유는?여기서 메닭이 '속간(屬間)잡종'으로 생산됐다는 점을
다시
한번 돌아볼 필요가 있을 듯하다. 속간잡종이란 분류학상 속이 다른 생물 사이에서 교잡이 이루어지는 일을 말한다. 본래 종(種)이란 것이 분류학상 교배로 번식이 가능한 분류의 마지막 단계라는 정의를 ... ...
이전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