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시 같은 은하에 초신성이 두개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은하에 동시에 두개의 초신성이
빛
을 발하고 있는 것이 발견돼 화제가 되고 있다. 초신성이란 별이 일생을 마치고 장렬하게 폭발하는 현상. 초신성 폭발로 인한 충격은 주변에 영향을 미쳐 우주공간에는 새로운 별이 탄생하기도 한다.한개의 은하에는 평균 3, 4백년에 하나씩의 초신성이 폭발하고 ... ...
화학- 같은 원자끼리의 결합 어떻게 가능하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것과 마찬가지다(그림5).
빛
을 편광면을 통과시키면 한 방향으로만 진동한다. 이 편광된
빛
을 오른손 분자에 통과시키면 진동축이 오른쪽으로 휘고 왼손 분자를 통과시키면 왼쪽으로 휜다.플라톤은 '티마이오스'에서 이 세상을 구성하는 다섯가지 원소는 다섯가지의 정다면체에 의해서 상호 관계될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이러한 암흑물질이 정말로 존재한다면 우리 우주내에 존재하는 물질의 총량은 그냥
빛
으로 관측되는 양보다 최소한 10배 이상 늘어난다.눈에 안보이는 것도 종류가 있다이러한 '암흑물질'의 존재는 우주론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기쁜 소식이었다. 왜냐하면 우주론에 관한 거의 모든 분야에서는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붉은 표면과 밝은 표면이 공존하는 달의 모습은 매우 환상적인 모습이다. 개기월식 때 달
빛
의 변화를 주의깊게 관찰해볼 필요가 있다.올해 월식은 6월4일과 11월29일 두차례 일어난다. 둘다 개기일식이나 11월29일 것은 서울지역의 월출시간이 일러(17시16분) 반영식만 잠깐 볼 수 있다. 따라서 6월4일의 ... ...
(1) 우리은하 중심부는 거대한 알코올공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밖에는 볼 수가 없다.반면에 파장이 훨씬 긴 전파는 이들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빛
의 속도로 10만년 이상 달려야 하는 우리은하의 반대편 끝에 있는 성간구름도 관측할 수 있다.생명체의 기본 구성물질도 포함우리 지구가 포함돼 있는 태양계도 우리은하내의 전형적인 성간구름이 수축하여 ... ...
소백산천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정도)을 가지지만 마지막 순간에는 상상할 수 없는 엄청난 힘으로 대폭발을 일으키면서
빛
조차 빨아들인다는 블랙홀을 만든다. 우리가 블랙홀을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지만 백조자리 근처에는 강력한 블랙홀이 도사리고 있다는 여러가지 증거가 최근에 보고됐다.한편 초신성 폭발은 그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프랑크 상수, v는
빛
의 진동수, c는 광속)를 맞추고 있다. 이 광양자론에서는 이론에 따라
빛
에서 물질로 에너지가 이행할 경우 그것이 일으키는 운동이 열역학의 요청과 일치할 때만 이론이 맞는다고 주장한다. 열역학을 언급하면서 굳이 상대성이론을 가져다대는 것을 자제하고 있다. 여기서도 ... ...
피부와 태양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샌 디에고의 캘리포니아 대학 연구진에 의하면 대부분의 일광차단제들도 그것이 모든
빛
을 완전히 가리는 것이 아닌 다음에야 피부 깊숙이 침투해서 멜라닌세포에 영향을 주는 적외선-b와 같은 광선은 막지 못한다고 한다. 즉 오랜시간 태양 아래에서 있을 경우 일광차단제를 발랐다고 하더라도 ... ...
코비의 우주배경복사 온도차이 재확인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절대온도 2.735도). 우주배경복사가 균일하다면 현재의 우주구조를 설명할 수 없다.
빛
의 온도차이란 바로 우주공간의 물질이 불균일하게 분포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차이로 오늘날의 우주가 생성됐다는 설명이 가능한 것이다.코비는 바로 대폭발 시의 '
빛
화석'이라고 할 수 있는 우주배경복사의 ... ...
낮잠 15분이 두뇌활력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들어가기 전과 후에 뇌의 반응시간을 알아보는 실험도 수행했는데, 이 실험은 눈앞에
빛
을 번쩍 보여준 뒤 손에 쥔 스위치를 누르기까지의 시간을 마이크로초(${10}^{-6}$초) 단위로 측정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15분의 낮잠으로 졸음은 16%가 개선됐고 단순반응시간도 빨라졌다.또 40대 남성 한사람의 ... ...
이전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