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300건 검색되었습니다.
佛 연구진 “투명망토로 지진파 돌려보낸다”
과학동아
l
2014.04.04
위치에서 발생한 것처럼 조작하거나 은폐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김상욱 부산대
물리
교육과 교수는 “이번 실험 결과는 지진파의 인공 제어를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실용화되기까지는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뽑아볼까, ‘우주 미스터리’ TOP 3
과학동아
l
2014.04.04
암흑물질의 후보로 가정하고 있는 정도다. 2년 전 힉스 입자 검출에 성공한 유럽입자
물리
연구소(CERN)는 2015년 거대강입자가속기(LHC)의 성능 향상을 마친 뒤 이들 두 입자 사냥에 나선다. 국내에서는 김영덕 기초과학연구원(IBS) 지하실험연구단장이 강원도 양양 양수발전소 지하 실험시설에서 ... ...
원자 속 ‘전자’ 샅샅이 보는 토종 ‘눈’
과학동아
l
2014.04.02
해석하는 기술 역시 확보했다. 김용현 교수는 “그동안 알려져 있지 않은 나노 열
물리
현상을 이해한 결과 이같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면서 “기존 주사터널링현미경 기술에 주사제백현미경 기술을 함께 이용한다면 다양하고 새로운 물질표면 연구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못 쓴 글씨가 천재 만든다고?
과학동아
l
2014.04.02
것. 이 같은 현상은 실제 교육 현장에서도 나타났다. 연구진은 영어와 역사,
물리
학 등 다양한 과목과 서로 다른 난이도의 수업을 듣는 222명의 학생에게 해튼슈와일러(Haettenschweiler), 모노타입 코시바(Monotype Corsiva), 코믹 산 등으로 작성한 학습교재를 배포한 뒤 난이도나 암기수준 등을 ... ...
'반쪽 금속'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4.04.01
메모리 소자나 트랜지스터 개발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홍지상 부경대
물리
학과 교수팀은 금속은 아니지만 조건에 따라 금속성을 띠기도 하는 특별한 물질로 알려진 ‘카본나이트라이드’에 ‘보론나이트라이드’를 혼합, 반쪽 금속성을 띠는 가장 안정된 구조를 계산해내는 데 ...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1
브라운운동, 특수상대성이론에 대한 논문 세 편을 연달아 발표했다. 모두 현대
물리
학의 정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논문들이다. 같은 맥락에서 2010년은 ‘고인류학 기적의 해’가 아닐까. 물론 1997년 네안데르탈인의 미토콘드리아 게놈이 해독되면서 센세이션이 있었지만 2010년은 차원이 ... ...
수학 덕분에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화학자는?
수학동아
l
2014.03.31
해’이다. 막스 폰 라우에가 결정체 연구에 새로운 장을 연 X선 회절무늬를 찾아내 노벨
물리
학상을 수상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기 때문이다. 준결정을 발견한 댄 셰흐트만 교수. - www.nobelprize.org 제공 한편 지금으로부터 14년 전, 결정학에 큰 획을 그은 역사적 발견이 다시 한 번 이루어진다. 198 ... ...
거친 표면에서 더 빨리 자라는 뇌신경세포
과학동아
l
2014.03.31
기판 위에서 더 빨리 자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번 후속 연구를 통해 기판 표면의
물리
적 구조가 세포 발달에 미치는 영향까지 알아낸 것. 연구팀은 실리카(이산화규소)로 수 백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크기의 작은 구슬을 만들고 이를 이어붙인 신경세포 크기의 기판을 만들었다. 여기에 ... ...
반도체 공장 '불산' 대체 천연물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3.31
연구팀이 독성 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무독성 천연소재를 찾았다. 아주대 김성환
물리
학과 교수는 미국 터프츠대 피오렌조 오메네토 의공학과 교수팀과 함께 플루오린화수소나 벤젠 대신 무독성 소재인 천연 실크 단백질을 이용해 반도체 나노 공정에 적용하는 데 성공하고 재료 분야 권위지 ... ...
명화(名畵)는 대기오염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4.03.30
정도를 에어로졸 광학두께(AOD) 값으로 나타내는 연구를 진행해 그 결과를 ‘대기화학과
물리
학(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25일자에 발표했다. AOD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이 얼마나 산란·흡수됐는지 나타내는 지수다. 이 값이 크다는 것은 대기 중에 에어로졸이 많고 산란이 활발하게 일어나 ... ...
이전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