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많다이온 로켓(ion rocket)의 하나 기체 방전(氣體放電)으로 생긴 플라즈마를 냉각된 금속의
작은
구멍으로 분출시켜서 만든 고온·고속의 가스 기류로 분사시키는 로켓 엔진이다석유의 중질잔유(重質殘油)를 고온에서 열분해하여 가스화하고, 분해가스에서 황화수소를 제거하여 연료용 가스를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유성우와 함께 3대 유성우로 꼽히는 유성우다. 사분의자리는 용자리 사이에 있던
작은
별자리로 현재 쓰지 않는 별자리지만 예전부터 부르던 관습에 따라 사분의자리 유성우로 부른다. 올해 유성이 가장 많이 떨어지는 시각은 4일 새벽 3시 40분으로 예상한다. 용자리와 목동자리 사이 복사점(유성이 ... ...
대한민국 과학기술 이끌어갈 '알파우먼' 삼총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몇 년 전부터 RNA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중요인자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특히 매우
작은
크기의 RNA를 뜻하는 마이크로RNA는 세포의 분화와 발생, 대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김 교수는 세포 안에서 마이크로RNA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작용하는 지 메커니즘을 발견해 세계유명저널인 ‘네이처’ ... ...
사람 소리 구별하는 똑똑한 모래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손바닥보다도
작은
동물인 모래쥐가 사람의 소리를 알아듣는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미국 사우스앨라배마대학교의 조앤 시넛 박사팀은 모래쥐의 눈앞에 두 개의 먹이통을 놓고 실험을 했어요. 미리 녹음해 둔 사람 모음 소리를 계속 들려 주며, 특정한 모음 소리가 날 때 먹이통에 먹이가 ... ...
이웃 은하를 공격하는 블랙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2만 광년 정도로 가까워졌을때, 큰 은하에 있던 블랙홀에서 방사능 에너지가 뿜어져 나와
작은
은하를 공격했어요. 주변의 모든 물질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은 이따금 강력한 에너지를 내뿜는다고 알려져 있어요. 하지만 블랙홀에서 나온 에너지가 다른 은하로 뚫고 들어가는 게 관측된 것은 이번이 ...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150아토초를 찍을 수 있는 사진기만 있다면 전자의 움직임도 찍을 수 있다는 거죠. 이런
작은
움직임을 알아 내면 원자를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일도 가능해 질지 몰라요. 이를 응용해 첨단 기술을 개발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답니다.마지막 방 우리에게 시간이란…짝짝짝~! 드디어 무사히 마지막 ... ...
하늘에서 떨어진 얼음 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눈송이는 여러 개의 눈 결정이 모여 이루어져 있어요. 세상에 같은 모양을 가진 눈의 결정은 하나도 없대요. 하지만 공통점이 하나 있어요. 눈의 결정이 모두 ... 공원 벤치에 서리가 내려앉은날 돋보기로 한번 들여다보세요.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진 육각형의
작은
별을 볼 수 있을 거예요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시작하면서 만들어졌다 퍼그워시란 이름은 첫 모임이 열린 캐나다 노바스코샤주의
작은
마을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이그 노벨상은 '다시 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될' 기발한 연구나 업적을 수상하는 상이다 노벨상 시상식이 이뤄지는 10월에 시상된다 과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미국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통해 추진할 것이다. 2008년 말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하는 KSLV-Ⅰ은 달로 향한
작은
밑거름이 되지 않을까. 2020년 나로우주센터에서, 달에서 방아 찧는 토끼를 찾으러 떠나는 우리 탐사선을 보고 싶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대한민국은 지금 우주로 간다PART 1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 D-99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설계해 살아있는 합성세포를 만드는데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아니면 아주
작은
문제를 해결하느라 조금 지체하고 있을 뿐일 가능성도 있다.벤터 박사는 합성최소세포를 만드는데 성공하면 이산화탄소를 다량 흡수해 부탄이나 프로판 같은 연료를 생산하는 균주를 만들어 지구온난화 ... ...
이전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