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뉴스
"
신경
"(으)로 총 5,234건 검색되었습니다.
새해 목표도 금연? '전자담배'보다는 그냥 끊는게 답!
동아사이언스
l
2014.01.01
유도 아미노산
신경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돼 있었다. 태퍼 교수는 “이
신경
세포의 활성화를 인위적으로 낮춰 금단현상을 없애는 방식을 통해 손쉽게 금연에 성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초파리는 경쟁자 앞에서 더 뜨거운 사랑을?
과학동아
l
2013.12.31
행동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고 말했다. 또 “초파리 연구를 통해 사회성도
신경
학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김우재 박사의 연구에 의하면 수컷 초파리는 다른 수컷들과 같이 살 때 더 ‘수컷다워’진다. 그렇다면 암컷들에게 둘러싸인 경우는 어떨까? ... ...
잦은 송년모임으로 지친 이 때, 쥬라기로 여행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29
언스북스 刊) “디자이너에게 빛은 색채이며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시각물입니다.
신경
과 전문의에게 빛은 세포와 생명체를 자극하는 상호 작용 물질입니다. 기계 공학자에게 빛은 물리 현상을 일으키는 전자기파입니다. 우연하게도 셋의 공통 화두는 빛이었습니다.” 빛에 대한 연구는 ... ...
사람도 겨울잠 잔다고?
과학동아
l
2013.12.27
오래할 수 없는 이유는 무중력 상태에 오래 있게 되면 근육 위축, 뼈엉성증(골다공증),
신경
교란 등 각종 이상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주정거장에 56일간 체류한 우주인의 무릎 근력의 경우 우주비행 전보다 20%나 감소하고, 175일 동안 체류했을 경우 대퇴부 근력은 25~42%가 줄어드는 것이 ... ...
뇌 수술 위치,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이번에 개발된 초고감도 원자 자력계로 뇌의 청각유발 자기장 신호를 측정한 결과, 뇌
신경
활동의 위치를 정확히 찾는데 성공했다. 표준연 김기웅 박사는 “뇌자도의 기존 단점을 보완한 원자 자력계 뇌자도 장치는 뇌질한 치료 뿐만 아니라 뇌의 신비를 푸는 단서가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 ...
파킨슨병 걸린 사람이 뇌종양도 걸리기 쉽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것이다. 이 연구원은 “핑크1 유전자를 타켓으로 한 신약 후보물질을 찾는다면
신경
퇴행성 질환과 뇌종양을 치료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생명과학분야 권위지 ‘유전자와 발생’ 15일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인간 배아줄기세포 복제…생명공학 소용돌이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물론
신경
세포 등 몸을 이루는 어떤 세포로도 분화가 가능하다. 이 성질을 이용하면
신경
세포가 사멸하며 생기는 파킨슨병을 치료하거나 이식용 장기를 만드는 데도 쓸 수 있다. 미탈리포프 교수의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바로 높은 복제성공률이다. 비록 조작으로 드러났지만 황우석 ... ...
숫자 감각, 생후 6개월에 결정된다?!
수학동아
l
2013.12.23
아주 어린 나이에 알아볼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듀크대 심리
신경
과학과 엘리자베스 브라논 교수는 숫자 감각이 좋은 아이는 생후 6개월에 그 특성을 드러낸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했다. 브라논 교수는 생후 6개월 된 아기 48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화면을 보여 ... ...
네이처 선정 2013년 10대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데 성공한 그의 연구결과는 학술지 ‘셀’ 5월 15일자를 통해 발표됐다. 배아줄기세포는
신경
세포가 사멸하며 생기는 파킨슨병을 치료하거나 이식용 장기를 만드는 데 쓰일 수 있다. 빅토르 그로코프스키 - Natalia Nikitina 제공 2월 15일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에 흩어진 운석 조각 사냥을 나선 ... ...
‘획기적인 암 치료법’ 올해의 과학기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12.20
‘뇌를 투명하게 보는 기술’. 연구진은 생쥐의 뇌에서 지질 성분을 제거해 뇌의 구조
신경
세포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뇌를 500nm(1nm=10억분의 1m) 수준으로 볼 수 있는데 fMRI(기능성 자기공명영상)보다 해상도가 2000배나 높다. ‘유전자 수술’을 가능하게 ... ...
이전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