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01
마음대로 실험하기 어려워 쉽지 않지만 질병과 관계된 연구가 진행 중이다.얼굴 형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얼굴뼈와 관계된 병인 구개순열은 대표적인 예다. 구개순열은 임신 초기에 태아의 얼굴뼈와 입천장이 제대로 맞춰지지 않아 생기는 병으로 유전 요인이 매우 강하다. 이 병을 가진 형제가 있는 ... ...
신구간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701
위험도 사라졌다. 그런데도 아직까지 제주사람들이 ‘신구간=이사철’을 지키는 가장
큰
이유는 신구간이 임대차(賃貸借)의 회계연도로 정착됐기 때문이다. 전세 계약기간을 올해 신구간에서 다음해 신구간까지로 해온 관례가 되풀이 되고 있다는 얘기다.하지만 이런 관례를 그대로 따르기에는 ... ...
괴짜들이 만났다!
과학동아
l
200701
않다고 느끼면 자연스럽게 헌혈 횟수를 줄인다. 인간의 본성이 경제활동에 이렇게
큰
영향을 미칠 줄이야.경제학자인 최 교수가 인간의 본성에 관심을 갖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인간의 이타성이 어떻게 이기심을 물리쳤을까. 예를 들어 ‘이기적 유전자’는 자신의 유전자를 널리 퍼뜨리기 위해 ... ...
전쟁에 지면 달력도 없다
과학동아
l
200701
쌍춘년에 결혼을 하면 백년해로한다고 하고 황금돼지해에 낳은 아이가 재물을 많이 얻고
큰
인물이 된다고 해 결혼이나 출산 붐으로 이어진다. 매년 입춘은 양력으로 2월 4일이다. 음력 2006년은 윤달이 포함돼 양력으로 2006년 1월 29일에서 2007년 2월 17일까지 총 385일이고 음력 1년 안에 입춘이 2번 들어 ... ...
"돼지, 이것도 모르면 안 되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1
있는 것을 먹는데, 그러려면 땅을 파헤쳐 먹이를 찾아야 하는 일이 먼저! 그런데 돼지는
큰
덩치에 비해 다리가 짧은 슬픈 운명을타고 났다. 짧은 다리로 땅 속에 들어 있는 먹이를 발로 파헤치기는 무척 힘든 일! 그래서 돼지는 짧은 다리 대신 고개를 숙여 주둥이를 이용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01
선폭을 줄이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선폭이 줄면 문제가 나타난다. 기본적이지만
큰
문제는 바로 ‘열’이다.반도체 칩이 태양만큼 뜨겁다?“지금과 같은 실리콘 반도체에서 회로선폭만 줄어든다면 반도체칩의 표면온도는 20년 이내에 태양 내부온도인 100만℃에 이르게 된다.”21세기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과학동아
l
200701
표정과 그 근육을 소개한다.01_기쁜 표정 : 진짜 기뻐서 웃을 때는 눈둘레근(03)과
큰
광대근(12)이 함께 수축한다. 만족스럽거나 기분 좋은 감정을 표현할 때도 비슷한 표정이 나온다.02_화난 표정 : 화가 나면 대개 눈살근(02)과 눈썹주름근(11)이 움직여 눈살을 찌푸린다. 눈꺼풀에도 힘이 들어간다.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01
러셀의 패러독스)를 발견했다(1901)이것은 나중에 논리학·수학기초론·의미론의 동향에
큰
영향을 끼쳤다1931~ 미국의 물리학자 소립자물리학의 새로운 국면을 개척했다 76년 이 공로로 이 입자를 독립적으로 발견한 S C C 팅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궤도의 법선방향으로 향한 가속도의 성분 ... ...
걸어 다니는 신분증, 얼굴
과학동아
l
200701
본인으로 판단한다.3차원으로 읽는다 얼굴 인식기술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카메라 촬영시 같은 사람의 얼굴도 각도나 조명, 안경 등 착용물, 시간에 따라서 변한다는 점이다. 실제로 필자의 실험 결과 눈썹과 입술, 수염 모양이 비슷한 두 사람의 사진을 줬더니 컴퓨터는 같은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01
판단하는 실험을 한 결과 얼굴의 오른쪽에서 두드러지는 특징들이 성별을 지각하는데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일반적으로 보는 사람의 왼쪽 시야에 들어오는 얼굴 즉 오른쪽 얼굴이 판단의 근거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또 미국 네바다대 심리학과 마이클 웹스터 교수는 2004년 남성의 ... ...
이전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