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번성과 몰락의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지름 약 10km 정도의 운석이 지구에 떨어졌을 때나 가능한 일이다. 중생대가 끝나는 어느
날
운석은 시속 10만km의 속도로 지구를 강타했고 이로 인한 첫번째 폭발로 반지름 4백-5백km 안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파괴됐다. 이 충격은 지진을 일으켜 연속적인 화산분출이 시작됐다. 운석 자체는 충격과 ... ...
생각만으로 전등을 켜고 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생각만으로 CD플레이어의 소리를 줄이고 문을 열을 수 있다면 어떨까. 공상과학소설의 이야기? 그렇지 않다. 로체스터 대학 연구실에서 리모콘 없이 생각으로 스테레오 ... 수 있다는 말이다. 연구자는 장애인들이 일련의 명령어를 생각함으로써 휠체어를 움직일 수 있을
날
을 꿈꾸고 있다 ... ...
② 청각 : 원하는 소리만 듣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해결된다. 실제로 인간의 청각 시스템을 모방해 잡음에 둔감한 음성인식시스템이 개발될
날
이 멀지 않았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사람 귀가 2개인 이유인간의 청각시스템을 모방한 또다른 음성인식시스템으로 스피커폰(speaker phone)이 있다. 잘 알다시피 사람의 귀는 2개다. 새삼스런 질문이지만 ... ...
③ 추론 : 주인 취향 맞춰 비서 노릇 척척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유리하고 불리한지를 기억하는 프로그램이다. 게임이 많아질수록 그리고 고수와 만
날
수록 프로그램의 기량은 향상된다. 그 결과 얼마 되지 않아 주(state) 챔피언 수준까지 도달하게 됐다.그후 학습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주어진 사례들로부터 새로운 개념, 예컨대 물리나 화학적 실험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못한다면, 가제트 형사는 언제까지나 악당 앞에서 허둥대며 엉뚱한 방향으로 미사일을
날
릴지 모른다. 그러나 아직 뇌파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물리학자들은 믿고 있다. 뇌파가 아무리 복잡한 신호라 하더라도 이해 못 할 정도로 복잡하지는 않을 것이라고….-용어설명-주파수 분석법 : 복잡하고 ... ...
시스코 시스템즈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주어지자 1990년 회사를 박차고 나왔다. 퇴직하면 그의 능력으로 보아 전화통에 불이
날
것으로 예상했지만 몇주일이 지나도 아무도 찾는 사람이 없었다. 그는 수백장의 이력서를 작성해 실리콘밸리에 뿌렸고 몇차례 인터뷰도 했다. 챔버스는 “한달만에 나는 반항을 모르는 순한 양이 됐다”고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천문관측자들의 꿈은 새로운 천체를 발견해 자기 이름을 붙이는 것이다.슈메이커-레비혜성,햐쿠다케혜성 등 많은 혜성들에 발견자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혜성 사냥꾼들은 ... 예산을 들여 전천탐색 연구를 시작했으므로 우리나라 사람의 이름이 붙은 혜성이 등장할
날
도 멀지 않았다 ... ...
'달밤에 체조' 병을 키운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운동을 시킨 쥐에게 심리적인 충격을 가했을 때 뇌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아드레
날
린)이 상대적으로 적게 분비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이런 연구 결과는 과거부터 알려져 왔던 ‘운동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경험적인 주장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사실 의학 전문가들은 ... ...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이유를 쉽게 알 수 있다.올해 6월9일은 수성이 동방 최대이각(24도)에 이르는
날
이다.이
날
을 전후로 며칠간은 해진 후 저녁 서쪽하늘 지평선 가까이 뜨는 수성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쌍둥이자리에서 0.5등급의 밝기로 빛난다.맨눈으로도 볼 수 있지만 쌍안경이 있다면 찾기가 훨씬 수월하다 ... ...
2. 모두가 제각각 은하의 모습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역부족이다.또한 사람의 경험에 주로 의존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결과가 나타
날
수도 있다. 거리가 먼 은하의 경우는 형태학적 분류 자체가 어렵다는 한계도 있다.이러한 새로운 관측 추세는 많은 은하를 한꺼번에 신속히 분류할 수 있는 자동화되고 객관적이며 정량적인 은하의 형태학적 분류 ... ...
이전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