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리 - 구리판 위 자석의 공중묘기과학동아 l199505
- 9V 건전지 2개, 전선, 작은 네오디뮴자석실험 1구리판을 배 모양으로 만들어 물에 띄운 다음 자석을 가까이 접근시킵니다.(그림 1)과 같이 구리판에 자석의 N극을 접근시켜봅니다. 자석이 가까이 접근하는 순간 자기장의 방향을 막으려는 방향으로 유도전류가 생깁니다. 그래서 자석과 반대 방향의 ... ...
- 화학 - 사과 변색 막는 비타민 C의 요술과학동아 l199505
- 된다), 끓는 물, 식초(아세트산 5%), 작은 시험관 4개 실험 방법① 4개의 시험관을 각각 다음과 같이 준비한다.시험관 1:공기에 노출시험관 2:수도에서 받은 물로 절반을 채운다.시험관 3:끓인 물을 가득 채우고 마개로 막는다.시험관 4:비타민 C 용액으로 절반을 채운다.② 껍질을 벗기지 않은 사과를 약 ... ...
- 사냥명수 카멜레온의 눈은 고배율 렌즈과학동아 l199505
- 같은 크기로 환산하여 비교하면 카멜레온의 배율은 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크고 다음으로 큰 것이 인간으로 카멜레온의 약 97%에 상당했다고 한다.카멜레온의 눈 자체는 작은데 큰 배율을 가진 것은 렌즈가 인간과 같은 볼록렌즈가 아니고 오목렌즈이기 때문이다. 굴곡률이 큰 망막에 상이 균일하게 ... ...
- 1. 생물종, 30년내 4분의 1 사라진다과학동아 l199505
- 우연의 요소에 의해 무차별적으로 진행되며 '운좋게' 이 시기를 살아남은 생물종들은 다음 시대에 다시 적자생존의 원리에 따라 진화한다는 것이다.포유류는 공룡이 멸망하지 않았더라면 발전하지 못했을 것이며 공룡의 전시대에 지구상에 나타났던 '포유류형파충류'가 절멸하지 않았더라면 ...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과학동아 l199505
- 열렸던 '지구밖 생명체에 관한 그린뱅크 회의'에서 코넬 대학의 프링크드레이크 박사는 다음과 같은 식을 제안했다.N=R×${f}_{p}$×${n}_{e}$×${f}_{l}$×${f}_{i}$×${f}_{c}$×L이름하여 드레이크방정식이다. 드레이크 박사는 후에 "좀더 정밀하게 방정식을 만들었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했다"고 술회했지만 ... ...
- 과학고 1회·과기대 1회·박사 1호 정근창박사과학동아 l199505
- 싶어요."과학고 출신 1호 박사로 '평범하게' 고속질주를 한 정근창 박사는 후배들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공부하는 분야를 제한하지 말았으면 해요. 자기 전공이다 아니다를 가르지 말고 흥미있는 현상이 있으면 자기의 지식체계로 정리하는 습관이 필요해요 그런 사람만이 아이디어를 ... ...
- 2 우주의 지름길 웜홀 통해 과거여행과학동아 l199504
- 충돌문제를 들 수 있다 즉 당구공을 굴려서 웜홀을 통과하도록 하고 시간여행을 하게 한 다음 이로부터 자신과 충돌하면 어떻게 될 것인가의 문제로 취급하면 재미있을 것이다.먼저 시간여행이 가능한 웜홀이 있다고 하고 당구공이 그 곳을 통하여 움직이고 과거로 돌아와 자신과 충돌한다고 하면 ... ...
- 3 '게놈 산업' 성패, 기술혁신에 달렸다과학동아 l199504
- 걷기법은 기존에 알고 있는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프라이머를 합성한 후 이로부터 그 다음의 알려지지 않은 염기서열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매번 새로운 프라이머를 합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대신 헥사머군으로부터 효율적인 염기 18개짜리 프라이머를 형성하는 기법이 ... ...
- 4월15일 부분월식, 대풍년 예고과학동아 l199504
- 없고, 단지 보름달의 일부분이 1시간 15분에 걸쳐 가려진다. 이번 부분월식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21일 물뱀자리 유성우(Lyrids) 극대. 이 유성우는 보통 4월16일부터 25일 사이에 나타나며 극대기는 4월20일과 21일이다. 시간당 평균 출현 개수는 10개지만, 지난 2백년간의 기록을 보면 시간당 1백개가 ... ...
- 인체 '부품'도 재활용 시대과학동아 l199504
- 행해졌다. 장기별 이식례는 신장이 1백12례로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각막 93례, 간장 39례, 심장 29례, 췌장 12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중앙병원은 92년 5월 뇌사자의 신장 각막 등 다장기이식을 국내에서 첫 시도한 후 간 15례, 심장 9례, 췌장 12례, 신장 2백50례, 각막 1백7례 ... ...
이전5005015025035045055065075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