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km로 뿜어져 나가는 제논 이온의 추진력으로 우주선이 움직이는 원리다. SEP 엔진의 가장 큰 장점은 액체연료 로켓에 비해 연료를 10분의 1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하지만 수백 t의 로켓을 움직이기에는 추진력이 너무 작다. 때문에 유인 탐사 우주선에는 사용하지 못하고, 시간이 오래 걸려도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뽑힌 블롭피시에서는 지난 4월 22일부터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에서 가장 매력적인 동물을 뽑는 온라인 투표 이벤트를 진행했어요. 이름하여 ‘멸종위기 못·친·소’~! 9종의 멸종위기 동물 중 그 동안 큰 관심을 받지 못했던 멸종위기 동물들에게도 관심을 갖자는 취지에서 마련된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최고의 복지시스템을 가진 나라로 성장합니다. 이러한 덴마크의 복지 체계가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1위에 오르는 데 큰 도움이 된 것입니다.덴마크 국민들은 소득의 절반인 48%를 세금으로 낸다고 합니다. 놀랍죠? 이는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 덕분에 가능한 일입니다. 국민들은 자신들이 낸 ...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굽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이곳저곳에 수많은 곡선이 숨어 있다.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유려한 곡선미를 자랑하며 슝슝 달리고 있는 자동차다. 또 세계 곳곳을 여행하다 보면 곡면으로 만들어진 건물을 볼 수 있다.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신소재의 구조 속에도 곡선이 있다.잘 빠진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라마누잔은 그 자리에서 1729=123+13=103+93, 즉 1729가 A=B3+C3=D3+E3라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작은 수라는 사실을 떠올린 것이다. 세상을 떠난 뒤 유명해진 라마누잔!하디와 라마누잔이 연구한 정수론은 현대 응용수학 분야에 많은 영향을 줬다. 암호나 통신은 물론 공학에도 활발히 쓰이고 있다. ... ...
- [소프트웨어] 대칭 도형 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되는 정육면체의 대칭은 48가지, 4차원 초입방체는 384가지나 됐어요.그렇다면 대칭이 가장 많은 도형은 무엇일까요? 또 몇 개나 될까요? 수학자들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했어요.해답은 독일의 수학자 베른트 피셔가 찾았어요. 피셔는 거울에 비친 모습은 반드시 대칭이 된다는 점에 ... ...
- [수학동아클리닉] 점, 선 ,면의 확장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같다’는 말은 어떻게 정의할까? 우선 몇 가지 예를 찾아보자. ‘같다’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등호 ‘=’이다. 도형에서도 ‘같음’에 대해 배웠다. 바로 ‘합동’이다. 그렇다면 다음 두 도형은 ‘같다’고 할 수 있을까?아마도 대부분 ‘다르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이 두 도형이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팀이 거의 완벽하게 밝힌 ‘한국인 표준 유전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100배나 빨리 읽는 독자적인 방법으로, 이전에 밝혀지지않았던 곳까지 찾아냈다. 가장 의미 있는 사실은 한국인의 유전체를 정확하게 밝혀냈다는 점이다. 이번에 밝혀낸 한국인 표준 유전체를 활용하면 아시아인, 특히 한국인에게 효능이 뛰어나고 부작용이 적은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전망이다. ... ...
- [과학뉴스] 질투하는 사람은 조직마다 꼭 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룹마다 네 가지 유형이 비슷한 비율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질투형이 30%로 가장 많았고 낙관형, 비관형, 신뢰형이 각각 20%씩 존재했다. 나머지 평균 10%의 사람들은 네 가지 성격 범주에 속하지 않았다.연구팀은 조직에서 특정 유형의 사람이 다수를 차지하면 조직이 합리적인 판단을 하지 ... ...
- [과학뉴스] 젊은 과학자들은 트위터를 좋아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같은 질문 52개로 구성됐다.그 결과 ‘트위터’를 사용하는 사람이 25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이 트위터를 선호하는 이유는 동료에게 학계 동향이나 자신의 연구를 빠르게 알릴 수 있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페이스북(240명)’과 ‘링크드인(193명)’, ‘구글플러스(77명)’ 등이 뒤를 이었다.콜린 ... ...
이전5005015025035045055065075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