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들이 군무를 추는 이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날아가는 방향으로 함께 날아가는 원리를 표현한 것이다(그림 2).마지막으로 가장 먼 곳에 있는 개체들 사이에는 근처에 있는 이웃과 서로 가까워지려는 인력이 작용한다. 이 성질은 멀리 떨어진 두 무리들이 서로 합쳐져 더 큰 무리를 이루도록 한다. 작은 무리가 커져서 철새나 메뚜기 떼와 같이 ... ...
- 수학의 즐거움 이동통신 이끌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최고 수준으로 앞서 나가고 있다.한국의 이동통신망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한 곳이 서울대 공대 전기전자공학부 이동통신연구실이다.차세대 이동통신 핵심기술, OFDMA와 다중안테나 국내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지난해 5000만 명을 넘어섰다. 무선인터넷, 위치확인, DMB방송 등 휴대전화를 ... ...
- 수학 논술 - 통큰 치킨과 게임 이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200만 원씩의 현금을 가진 두 명의 참가자 A, B가 있다. 두 명이 차례대로 밀실에 들어가 그 곳에 있는 모금함에 자신이 가진 200만 원 전부 또는 100만 원을 기부하든가, 혹은 한 푼도 기부하지 않고 나온다. 사회자는 모금함에 들어있는 돈을 센 다음 그 액수의 절반의 돈을 자신의 지갑에서 꺼내 더하고 ...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1년 02호
- L1 포인트(라그랑주 점), 즉 지구와 태양 중력이 모두 같은 곳이 대상이 되고 있다.이 곳은 역학적으로 매우 안정돼 위치를 벗어나도 저절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태양에너지 2%를 줄이려면 반사장치를 30만km2 면적으로 깔아야 한다. 우주 반사장치의 가장 큰 장점은 설치 후 기온 감소가 불과 몇 ... ...
- 한국에 ‘쥐라기 공원’ 새로 생길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강원 영월 동굴지대, 강원 양구 펀치볼 지대, 강원 철원 한탄강 유역, 백령도, 울릉도 등 15곳이다. 전남 해남 공룡화석지는 공룡 발자국 화석 1000여 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9500만 년 전 물갈퀴새 발자국, 아시아에서 최초로 발견된 절지동물 생흔화석 등이 있는 ‘살아 있는 박물관’이다. 영월군 ... ...
- 지구에 숨어든 외계행성의 전사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전쟁과 죽음은 그에게 가상이 아니라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사 다니기에 싫증난 존은 한 곳에 오랫동안 머물며 지구인처럼 평범하게 살고 싶어 한다. 그는 지금 머물고 있는 작은 마을이 맘에 든다. 마주칠 때마다 심장이 쿵쾅거리는 예쁜 소녀 세라가 있고, 그의 유일한 지구인 친구 샘과 애견 버니 ...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사람의 손과 굉장히 비슷해 보입니다. 국내에서 이 방식으로 인간형 손을 개발하고 있는 곳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성균관대 최혁렬 교수팀이 있습니다. KIST도 최 교수팀 연구에 협력하고 있습니다.손가락 형 로봇손의 최대 단점은 제어하기가 까다롭다는 점입니다. 손가락이 다섯 개면 관절은 1 ... ...
- 달라붙는 속옷이 몸에 좋은 이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허리 부분을 보면 말안장 같이 세로는 오목한데 가로는 볼록하다. 가슴 부위도 볼록한 곳 옆에는 반드시 오목한 면이 있다. 벌어짐과 겹침 없이 전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몸을 움직이며 피부를 관찰해 보면 같은 피부라도 늘어나는 부위와 수축하는 부위가 나뉜다. 양손을 들었을 때 겨드랑이 밑은 ...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설명했다. 이 효소가 다른 세균으로 퍼지기 쉬운 이유는 이 효소의 유전자가 존재하는 곳이 염색체가 아니라 플라스미드이기 때문이다.플라스미드는 유전물질을 담은 작은 고리 모양의 DNA 조각으로, 독자적으로 증식하면서 세균들 사이를 쉽게 옮겨 다닌다. 마치 포스트잇이 책상 위에도 붙었다, ...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따랐고 전자기기의 고용량 축전기, 민감한 화재 감지기, 고성능 적외선 카메라 등 수많은 곳에서 강유전체가 활용됐다. 최근에는 메모리 소자로의 응용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강유전체의 특성을 이용하면 0과 1 두 가지로 상태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사용할 수 있기 ... ...
이전5005015025035045055065075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