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일"(으)로 총 8,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살아 꿈틀거리는 우주의 집게발과학동아 l2002년 11호
- 게의 집게발을 닮은 게성운을 들여다보면 중심부에 등대처럼 깜박이는 중성자별이 있다. 놀랍게도 이 중성자별은 1초에 30번씩 회전하며 거의 광속으로 물질을 뿜어낸다고 하는데….단단한 껍질에 부드러운 속살을 가진 게가 한철인 가을이 저물어간다. 하늘에도 게를 연상시키는 대상이 있다. 늦 ... ...
- 2. 한국인 맞춤의학 실현하는 SNP분석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인간의 게놈은 평균 1천염기당 1개꼴로 다르다. 이 차이를 SNP라 하는데 머리카락, 피부, 눈 색깔, 키, 몸무게, 그리고 질병민감성과 같은 개인의 차이가 여기서 비롯된다. 한국인이 지닌 SNP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최신 연구들을 만나보자. 인간의 게놈 염기서열이 내년 말까지는 완전히 밝혀질 것으 ... ...
- 3. 유전자 조절 비밀 간직한 메틸레이션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유전정보가 염기서열에 담겨있다는 고정관념이 바뀌고 있다. 유전자가 발현되는데는 염기서열과 함께 메틸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DNA에서 메틸화 현상을 밝혀 유전자 조절 메커니즘을 밝히는 새로운 학문 후성학을 만나보자.포스트게놈시대를 맞이해 게놈프로젝트 ... ...
- 2. 3회 연속 수상한 일본의 비결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올해 일본은 노벨 물리학상과 화학상을 동시에 거머쥐었다. 3년 연속으로 노벨상을 수상하는 기염을 토한 셈이다. 2001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게 전부인 우리나라와 다른일본의 수상 비결은 무엇일까.올해 노벨 화학상 공동수상자가 된 일본 교토시 시마즈제작소의 연구주임 다나카 코이치(44). 10 ... ...
- 2002 화학상 - 생체분자 분석하는 획기적 방법 개발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요즘은 자신의 사진을 넣은 크레디트 카드나 명함을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모든 사람이 날씬한 몸매를 갖기 원한다. 외모가 중요한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단백질’이란 생체분자는 어떻게 생겼을까.단백질의 세계에서는 인간 사회보다 모습이 훨씬 중요하다. 어떻게 생겼냐에 따라 ... ...
- 참을 수 없는 호기심과 정열의 과학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저건 뭘까, 저건 왜 저렇게 되는 걸까. 어린시절에는 누구나 끝도 없는 호기심을 달고 다닌다. 그러다 그칠 줄 모르는 질문에 비해 돌아오는 답이 영 시원치 않음을 느끼게 되고, 또 그 답마저 성의 있게 해줄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세상은 조금씩 재미가 없어지기 마련이다. 하 ... ...
- 말라리아의 게놈 청사진 발표과학동아 l2002년 11호
- 학질모기와 이에 기생하면서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말라리아 원충의 게놈 청사진이 ‘사이언스’ 10월 4일자에 발표됐다. 매년 3백만여명이 모기로 인해 사망하는데, 이번 게놈 발표는 이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과 살충제 개발을 이끌 전망이다. 한 가닥의 중심 도체(導體)와 이것을 둘러싼 절연된 외 ... ...
- 1. 급물살 타는 한국인 게놈 연구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우리나라 게놈 연구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바로 한국인의 유전자는 우리 손으로 찾겠다는 것이다. 국내 연구 사상 초유의 거대 프로젝트로 기록되고 있는 인간 유전체 기능 연구 사업단을 중심으로 한국 게놈연구의 현주소를 살펴보자.지난해 2월 미국을 비롯해,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 등 ... ...
- 1. '노벨상 후보감' 쇤 박사의 논문 날조 충격과학동아 l2002년 11호
- 노벨상 후보감으로 불리던 미국의 한 과학자 논문이 날조된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진실만을 추구한다는 과학자가 어떻게 이런 일을 할 수 있을까. 현대 과학자의 연구양심은 어떠하며, 이를 지키기 위한 방안들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나는 과학과 기술이 사회적으로 ... ...
- 소똥을 사랑한 복제동물의 아버지 황우석과학동아 l2002년 11호
- 농촌에서 태어난 황우석 교수에게 소는 다른 어떤 동물보다 가까운 존재였다.황 교수는 농민이었던 부모를 도와 어렸을 때부터 소를 돌봤다. 소를 벗삼았다는 말이 더 맞을 것이다. 이때부터 그는 소에 대해 남다른 애정을 품기 시작했다. 소에 대한 사랑은 철이 들면서 경외심으로까지 커졌다. 그 ... ...
이전5005015025035045055065075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