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그 결과 수질과 수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중 동영상으로 수중 생태를
직접
보면서 환경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청계천이 변함없이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데는 이런 노력이 숨어 있는 셈이다.“청계천에 사람들이 모이는 걸 보면 알겠지만 앞으로는 물의 시대가 될 것입니다. 스마트 리버는 ... ...
자전거 40년 노하우를 한 권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대신 자전거를 타고 할 정도로 자전거 마니아다. 그는 고등학생 때부터 대학생 시절까지
직접
조립한 ‘애마’에 캠핑 도구를 싣고 일본 전역을 일주했는데, 50일 동안 매일 150km를 시속 25km로 달렸다는 강자다.그가 자전거를 탄 세월도 어느덧 40년. 저자는 자전거를 사랑하고 자전거를 잘 타고 싶은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된다. 전파가 물체에 맞고 되돌아오는 신호를 포착하는 레이더 방식 과 달리 눈으로
직접
위성을 보는 방식이다.또 공군은 우주기상 예보 체계와 위성레이저추적 (SLR) 시스템, 레이더 우주감시 체계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태양이 폭발할 때 방출되는 엄청난 전자기 파와 고에너지 입자는 ... ...
새해 첫 천문이벤트 금환일식을 즐기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해를
직접
바라보면 눈에 치명적 손상을 입을 수 있다. 특히 천체망원경으로
직접
태양을 볼 경우 눈에 심각한 손상을 입게 된다. 강렬한 햇빛을 천체망원경으로 모으면 대단히 위험해지기 때문이다. 일식 기념사진을 찍겠다고 요즘 유행하는 디지털카메라 뷰파인더를 통해 태양을 보는 것도 절대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어떻게 역고드름을 쉽게 만들 수 있을까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 찼다”고 회고했다.그는
직접
역고드름을 만들어 보기로 했다. 몇 차례 실패를 반복한 끝에 그는 어쩌다 한 번씩이지만 역고드름 모양을 얻었다. 역고드름을 만들어 본 적이 있는 사람들의 조언을 구했다. 그리고 여러 차례 실험을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수학적, 과학적 도구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훈련이 필요하다. 다양한 주제의 문제를
직접
풀어보고, 새로운 실험을 설계하고 접근방식을 고민해보자. 그 과정을 글로 정리해보는 방법도 도움될 것이다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갈매기를 습격하는 일도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얕은 곳에서 아귀가 사냥하는 모습을
직접
관찰하는 것도 불가능한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리고 정약전이 살던 시절에도 해녀가 있었다. 당시 해녀들이 흑산도 근해에서 활동하고 있었다면 정약전이 이들로부터 아귀의 생태에 대한 정보를 얻었을 ... ...
제3의 불 밝히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책상에 앉아서 학문적인 연구에만 파고드는 이미지와는 사뭇 다르다. 필요한 시설을
직접
설계하고 제작, 관리한다. 거기에서 도출된 데이터를 이론으로 정리해 국제적인 연구활동을 펼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다.“핵재료연구실은 다른 분야에 비해 어렵고 힘든 내용의 학문 수행이 뒤따릅니다. 그 ... ...
그림 속 숨은 과학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왕립과학아카데미’는 프랑스가 과학 연구를 위해 1666년에 세운 연구소인데, 왕이
직접
와서 실험 기구도 살펴보고 아카데미의 회원들도 만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이 시기는 유럽 사람들이 지구 반대편까지 여행하며 세계에 대한 지식을 쌓아가던 때예요. 그래서 아카데미 안에도 커다란 ... ...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1936년 만들어졌다. 4년마다 열리는 국제수학자대회 개막식에서 개최국의 국가원수가
직접
상을 준다. 노벨상과 달리 수학자의 장래성을 고려하기 때문에 만 40세 이하의 수학자에게만 준다. 현재까지 총 48명의 수상자가 나왔으며, 공동수상도 가능하다. 테렌스 타오 교수는 2006년 두 명의 다른 ... ...
이전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