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에 숨겨진 성적 신호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사람이 유달리 큰 페니스를 갖게 된 까닭은 여러 각도에서 설명이 시도되었다. 일부
학자
는 성교 체위에서 그 해답을 찾으려고 했다. 사람은 상상을 초월하는 기묘한 자세로 성교를 할 정도로 다양한 체위를 즐기기 때문에 큰 페니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그러나 오랑우탄은 페니스가 4cm에 ... ...
전자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포함하는 그룹)과 짝을 지으면 이들 사이에는 또 다른 힘이 작용한다.빅뱅에서의 전자과
학자
들은 우주의 시작이 빅뱅이 있었던 1백억 내지 2백억년 사이의 어느 때라고 여기고 있다. 우주가 공간과 시간을 갖자 마자 곧 빠른 속도로 팽창했고, 또한 냉각됐다. 몇 분의 1초 후에는 전자를 포함한 여러 ... ...
혜성충돌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곧 혜성의 중력이 지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시간은 계속 흘렀다. 이제 과
학자
들은 고개를 갸우뚱거리기 시작했다. 계산 결과는 틀림없었다. 그런데 혜성의 중력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었다. 혜성은 마치 질량이 전혀 없는 것처럼 행동하고 있었다. 질량이 전혀 없는 혜성이라니? ... ...
개는 사람과 10만년지기 친구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언제부터 사람과 가깝게 지내기 시작했을까.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생물
학자
칼르 빌라 교수는 개가 적어도 10만년 이전에 사람 손에 길들여졌다고 밝혔다.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개가 사람과 함께 지낸 시점은 약 1만4천년전. 사람 무덤에 발견된 개의 뼈로부터 추정한 수치다. 이 ... ...
화성을 향한 인류의 짝사랑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것은 아직도 민감한 문제다. 바이킹 탐사 이후 고등생명체가 존재하리라고 믿는 천문
학자
는 거의 없지만, 비록 하등생명체의 형태로라도 존재만 한다면 이는 태양계에 대한 우리 인식의 혁명적 변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다. 최근 화성에서 날아왔다고 보는 운석에서 생명체와 관련된 유기물이 발견돼 ... ...
4. 바퀴벌레의 지혜터득한 로보로치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발사한다. 곤충은 항시 이 냄새에 따라 방향을 바꾼다.이를 토대로 일본의 곤충로봇
학자
들은 페로몬에 의해 자극받았을 때 머리에 달린 촉수가 근육에 보내는 전기적 신호를 찾아내는데 성공했다. 이들은 나방의 촉수 뉴런에 전극을 달아 신호를 증폭시켰다. 그리고 다음에는 페로몬을 제거한 뒤 ... ...
식인상어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상어는 없다. 다만 상어의 본능을 자극해 인간이 그 먹이가 될 뿐이다.” 해양동물
학자
들은 상어 중에 식인상어가 따로 있는 것처럼 말하는 것을 싫어한다. 전세계적으로 상어에 의한 피해는 1년에 1백건 미만으로 매우 적기 때문이다.그러나 상어는 하나같이 공격적이기 때문에 종류를 불문하고 ... ...
2. 벌 날개짓 모방한 선박추진장치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더 어렵고, 훨신 더 큰 동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 메커니즘은 많은 유체역
학자
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최근 이 메커니즘을 이용한 선박추진기, 공기압축기,송풍기 및 펌프 등의 연구가 활발하다. 각 날개의 운동은 서로 대칭필자는 와이즈 포 메커니즘을 이용해 새로운 선박추진기를 ... ...
여름밤 은하수 위를 훨훨 나는 독수리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뒤집어놓은 듯한 'M'자 모양의 작은여우자리가 있다. 17세기 말 폴란드의 천문
학자
헤벨리우스(1611-1687)가 만든 별자리로 원래 이름은 '거위를 문 여우'였다. 작은여우자리 중앙에는 거문고자리 고리성운(M57)과 더불어 하늘에서 가장 아름다운 행성상성운이 자리잡고 있다. 마치 운동기구를 연상케 ... ...
우연한 기회가 만든 과학인생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일을 했다.1960년 아이오아주립대 조교수로 들어가 1968년 정교수로 승진했을 무렵, 물리
학자
반 알렌(대기권 밖에 있는 '반 알렌대' 의 발견자)의 연락을 받았다. "탐사용 인공위성을 개발했는데 중량 초과로 궤도진입이 불가능하니 최적경량을 설계해줄 수 없겠는가" 하는 것이었다. 비록 인공위성 ... ...
이전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