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상
추리
짐작
어림
추측
추론
예보
뉴스
"
예측
"(으)로 총 5,345건 검색되었습니다.
존 벨, 아인슈타인과 보어가 발견하지 못했던 것을 발견한 물리학자
2014.07.14
따라 그린 그래프. 빨간색은 고전역학에 따른 최선의 값이고 파란색은 양자역학이
예측
한 값이다. 실제 실험결과 파란색에 가까운 그래프를 얻었다. - 위키피디아 제공 그럼에도 보어의 양자론은 임기응변식이었기 때문에 궁극적인 대안이 될 수 없었고 전자 스핀을 비롯해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 ...
장마 알리는 치자꽃, 겨울
예측
하는 무궁화
과학동아
l
2014.07.11
피해에 대비하기도 했다. 벚꽃의 개화로 봄의 시작을 알듯 무궁화로는 겨울의 시작을
예측
할 수 있는 셈이다. 장마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물도 있다. 치자나무에 첫 꽃이 피면 장마가 시작되고 마지막 꽃이 지면 장마가 끝난다. 제주도 농업기술원 신양수 농업환경 담당 계장은 ... ...
드론은 폭격만 하지 않는다…新저널리즘 신무기로 등장
동아일보
l
2014.07.09
것이라고 진단한다. 드론이 촬영한 사진과 동영상에 대한 수요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측
된다. "2월 17일 발생한 경주 마우나오션 리조트 참사 현장을 드론으로 찍은 사진과 영상이 방송과 신문을 통해 보도됐습니다. 눈이 날렸지만 드론을 50m 상공에 띄워 현장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사진과 ... ...
미니돼지, 독성시험 새 모델로 낙점
과학동아
l
2014.07.08
수준으로 관찰할 수 있어 생체 내에서 독성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독성을
예측
할 수 있다. 최근 미세먼지로 인한 막연한 불안감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미세먼지와 만성 폐질환의 관계를 연구해 인체 위해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치료제 개발에도 나설 예정이다. ... ...
공룡, 수학으로 분류한다!
수학동아
l
2014.07.07
달린 공룡(각공류)들과 그 값을 비교했다. 이때 시간이 흘러 손상된 화석은 손상 정도를
예측
하는 방정식을 이용해 결과의 신뢰도를 높였다. 그 결과 세렌디파세라톱스의 팔뚝뼈는 평평한 정도가 네오케라톱시아에 속하는 공룡들과 가장 유사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네오케라톱시아는 머리에 ... ...
생물의 진화에 광물이 미친 영향은…
과학동아
l
2014.07.06
열정으로 우리 행성이 수없이 반복해온 일들을 정리하고, 그 미래의 변화 모습까지
예측
해 한 권의 도서를 엮어냈다. 저자는 생물의 진화란 광물의 공생관계에서 이뤄진다고 주장한다. 일명 ‘지권(암석과 광물)과 생물권(살아 있는 물질)의 공진화’ 이론이다. 수십억 년 전에는 우주 어디에도 ... ...
노벨상 수상자들의 ‘반전’ 매력에 풍덩
과학동아
l
2014.07.04
273도 근처까지 온도가 떨어지면 끈적끈적한 성질(점성)이 사라지는 초유체의 존재를
예측
해 200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앤서니 레깃 박사는 초유체에서 원자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마치 힙합가수처럼 양손 검지를 위로 치켜 올렸다. 그림을 들고 있을 손이 없자 전지를 치마처럼 허리에 둘둘 ... ...
왕따를 보호하는 수학적인 방법이 있다?
수학동아
l
2014.07.03
나타냈다. 에서는 소셜네트워크 분석뿐만 아니라 지리정보 분석과 범죄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감춰진 사실을 밝혀내는 데 쓰이는 수학 원리를 소개하는 특집기사를 마련했다. 자세한 내용은 7월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사람도 모기 잡다 머리 좋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07.02
여름 밤. 모기를 잡으려 해도 재빠르게 도망가 버리기 일쑤다. 모기가 달아나는 길목을
예측
하고 주로 머무는 벽이나 천장을 뒤지는 등 나름의 전략이 필요한 이유다. 최근 곤충 사냥이 사람을 비롯한 영장류의 뇌를 발달시킨 원동력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먹이를 ... ...
암 환자 방사선 치료 효과 높이는 방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7.02
“암 환자의 유전적 특성을 미리 파악한다면 치료 방법을 선택하고 치료 효과도
예측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의과학학술지 ‘BBRC(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1일자에 실렸다. ... ...
이전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