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하하. 지금부터 하나하나 설명해 드릴게요. 프리드리히 뒤렌마트는 미로 탈출의
새로운
해법을 그림으로 표현했어요. 그는 늘 “미로의 길을 찾기위해선 어린 아이가 되어야 한다”라고 말했죠. 어린 아이의 천진함과 창의적인 생각이 길 찾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에요. 그 방안으로 자신의 작품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1 그 곳엔 항상 소수가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미스터리다. 소수는 고대 그리스 수학자들도 이미 알고 있었지만, 지금도 계속해서
새로운
소수가 발견되고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소수는 무려 1300만 자리수로 수천 장의 종이가 있어야 겨우 쓸 수 있다.소수의 배열에 일정한 규칙이 있을지, 소수의 개수가 무한한지 등 소수와 얽힌 다양한 ... ...
내 돈을 안전하게 지켜라!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어느 날 B가 다니던 회사가 부도가 나서 B는 직장을 잃어버리게 됐습니다. 나이가 많아서
새로운
직장을 구하기도 어려웠지요.사실 B가 매달 1000만 원을 벌 수 있었던 것은 위험이 큰 일을 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A는 위험하지 않은 일을 하며 월 300만 원씩 벌었던 것이고요. 이처럼 미래의 ... ...
방정식은 어디에나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변수가 어떤 특정 값일 때만 참이 되는 방정식. 이리저리 머리를 굴리고 식을 바꿔서 마침내 정답을 찾아 냈을 때는 짜릿한 쾌감을 느낀다. 방정식을 푸는 과정에서 경 ... 주변의 다양한 현상에 방정식을 적용해 풀어 보는게 어떨까? 그때까지 보이지 않던
새로운
사실이 보일지도 모른다 ... ...
인류 진화의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원숭이’와 ‘생각하는 사람’의 간격을 좁히는
새로운
종이 발견됐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위트워터스랜드대의 고인류학자 리 버거 박사는 2008년 요하네스버그 북쪽 말라파 동굴에서 발견한 화석인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Australopithecus sediba)’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속과 현생 인류 조상인 ... ...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없는 제품에 대해 더 많은 사람이 공유했으면 하는 바람이었어요. 서로 얘기를 하다 보면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거든요.” 그가 뽑은 아이패드 최고의 기능은 화려한 화면과 소리, 터치감이다. 사진 메뉴를 이용해 자유자재로 사진이 접히고 합성되는 앨범을 만들 수도 있고 아이일렉트라이브 ... ...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각도로 나누는 일은 사람에게도 쉬운 일이 아니랍니다. 꽃잎은 그 수가 많아질수록
새로운
규칙이 나타나요. 호수에 예쁘게 피어 있는 연꽃은 여러 개의 꽃잎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부처님 오신 날이면 절에서 종이로 연꽃을 만들기도 하죠. 종이 연꽃은 바닥에 8장의 꽃잎을 붙이고 두 잎 사이의 ... ...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생각하며 걷는다. 만약 막다른 길에 도착했다면 바로 앞 갈림길에서 반대쪽으로 간다.➋
새로운
갈림길에 도달할 때마다 앞의 길이 막혀 있진 않은지 살펴본다.➌ 막다른 길을 향해 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면 주저 없이 온 길을 다시 되돌아간다.➍ 양쪽 방향으로 표시된 길은 절대로 들어가지 ... ...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어떤 분야보다 정확한 용어가 중요합니다.학년이 올라가 배우는 수학이 어려워지면서
새로운
용어가 많이 나오는데, 그 때마다 의미를 확실히 알아 두어야 공부하기 쉬워진답니다.이거 아니면 저거!“슬픈가 보구나. 위로의 노래를 하나 불러 주지.”앨리스는 그날 하루 동안 이미 상당히 많은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고정밀 전자회로에 신호를 전달하는 광원으로 쓰기에는 너무 크다. 이 때문에
새로운
시각에서 광원을 만들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서강대 물리학과 김칠민 교수도 μm 크기의 초소형 레이저를 제작하려는 연구자 중 하나다. 김 교수는 여러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어떻게 하면 가지런히 한 ... ...
이전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