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386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부, 2022년까지 소재·부품 R&D에 5조원 투자…
100
대 기술 진단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대한 시각이 달라 지난 한 달 동안 매주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이어 "
100
여 개 핵심품목의 내용은 국익을 위해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들 핵심품목을 국내기술 수준과 수입 다변화 가능성을 기준으로 4가지로 나눠서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기술수준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으로 포획했을 고세균과 비슷하다면 덩치가 꽤 커야 하는 데 1㎛(마이크로미터. 1㎛는
100
만분의 1미터)도 안 돼 대장균보다도 작았기 때문이다. 박테리아를 잡아먹기는커녕 잡아먹힐 크기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자 MK-D1의 생김새가 예사롭지 않았다. 세포 표면에 짧은 줄 같은 돌출물이 여럿 ... ...
몸속에서 녹는 항암 치료 마이크로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쉽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780나노미터(nm, 10억분의 1m)파장의 레이저를
100
펨토초(fs,
100
0조분의 1초) 만큼 찰나의 순간에 쏘아 정교한 구조물을 만드는 3D 레이저 리소그래피 공정으로 생분해성 마이크로로봇을 개발했다. 이 로봇에는 자성나노입자와 약물을 실을 수 있다. 외부 ... ...
인공 전자피부도 찔리면 “아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수 있을 정도로 민감한 인공 전자피부를 만들었다. 이 피부는 눈이 깜빡이는 속도보다
100
배 빠른 0.001초 만에 신호를 전달한다. 물체의 딱딱한 정도와 같은 질감의 차이도 0.01초 안에 구별한다. 티 교수는 올 2월에 방수 기능을 지니고 상처가 나도 스스로 봉합되는 전자피부를 개발해 ‘네이처 ... ...
WHO "식수 속 미세플라스틱 위험 수준 아냐" 학계선 추가 연구 필요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있으며
100
마이크로미터(μm)보다 큰 입자가 1리터당 10.4개나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
μm보다 작아서 플라스틱인지 아닌지 확실지 않은 입자도 1리터당 314개씩 발견했다. 병마다 들어 있는 플라스틱 입자의 개수는 큰 차이가 났다. 실험에 사용한 병 중 17개는 플라스틱 입자가 전혀 없었지만, ... ...
아기도 영양소 챙기면 '채식주의' 가능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미국 소아과학회와 영국영양학회 전문가들은 2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즈를 통해 어린아이들도 충분히 '건강한 비건' 생활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 ... 계속해서 늘고 있다. 한국채식연합에 따르면 국내 채식 인구도 전체 인구의 2~3%인
100
만~150만 명에 이른다. 2008년 대비 10배가 증가한 수다.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더 확실한 증거가 나왔다. 2016년 캐나다 맥마스터대 연구팀의 발표에 의하면, 서기
100
년에서 300년 무렵 로마인은 확실하게 말라리아를 앓고 있었다. 당시 무덤을 발굴하여 유골의 DNA를 조사한 결과다. ┃다음화 미리보기 "사르데냐섬의 비극" 사르데냐섬.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기원전 264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달의 크기의 비율 또한 약 400배이다. 달은 지구의 1/4이니까 결국 태양은 지구의 약
100
배임을 추정할 수 있다! 실제 태양의 크기는 지구의 약 109배이다. 여기서 나열한 숫자들은 별 의미가 없다. 요즘 같은 세상에는 검색만 하면 지구-태양의 거리가 얼마인지, 태양의 크기가 얼마인지 금방 알 수 ... ...
세포 노화 관여하는 '라민' 단백질 구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이용해 라민의 구조를 고해상도로 관찰했다.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태양보다
100
경(京) 배 밝은 빛으로 살아있는 세포나 단백질처럼 아주 작은 물질의 구조를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는 장비다. 라민 단백질 4개가 결합한 모습(위)과 단백질 사량체가 서로 결합하는 모습(아래)이다. 라민 단백질은 ... ...
사람의 생각 읽고 뇌 질환 치료 돕는 초소형 ‘브레인칩’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둘을 동시에 구현하는 기술은 없었다. 연구팀은 머리카락보다 가는 40마이크로미터(㎛,
100
만 분의 1m) 두께의 탐침 4개가 달려있는 브레인칩을 개발했다. 탐침별로 뇌의 전기 신호를 읽고 전기자극도 가할 수 있는 전극 8개를 심었다. 탐침은 형광등처럼 빛이 나고 주사바늘처럼 약물이 나오는 ... ...
이전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