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플라스틱 공화국의 재활용 비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띤 플라스틱 조각은 (-)극으로, 음전하를 띤 조각은 (+)극으로 이동한다.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은 이 방법으로 해초 건조용 플라스틱(PP), 자동차 미등(ABS), 전선피복(PVC)과 맥주병(PET) 등을 99.5%의 정확도로 걸러내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1시간에 300kg의 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는데, 혼합 플라스틱 속에 ... ...
PART3 폐식용유 먹고 달리는 자동차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바이오디젤의 수급 효율이 떨어진다. 골칫거리 유리지방산을 제거하라 한국에너지기술
연구원
바이오매스센터에서는 폐식용유의 골칫거리인 유리지방산을 제거하는 전처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먼저 유리지방산의 농도가 2% 이하로 낮을 경우에는 폐식용유를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인체에 위험한 전류 크기(최대 1mA)의 10만 분의 1에 불과한 수준. 현재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ETRI)은 의료연구단체에 의뢰해 인체통신의 안전성을 시험하고 있다.전광현상*매질에 전기장을 걸었을 때 매질의 굴절률 같은 광학적 성질이 변하는 현상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공격하기 시작하는데….충북 청원군 오창과학산업단지에 있는 한국기초과학지원
연구원
(KBSI, 기초연) 첨단자기공명연구동을 방문한 기자에게 자기공명연구단 전영호 단장은 영화 ‘괴물’을 보여줬다. “영화에서는 사람들이 물건을 던지면서 막연하게 괴물을 관찰합니다. 하지만 수중 탐사용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두근두근, 우리 가족이 처음으로 일본 여행을 가는 비행기 안. 일본엔 어떤 재미있는 것들이 가득할까?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 보니 금세 일본에 도착했어. 일본으로 들어가기 위한 입국심사. 여권을 보여 주고 왜 일본에 간 것인지 알려 주는 절차야. 혹시 범죄자나 불법으로 체류하려는 사람이 일본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化石巨象)1927~ 미국의 생화학자 플로리다 대학, 미시간 대학 졸업 후 1957년 미국립보건
연구원
(NIH)에 들어갔다1961년에 시험관 내에서 단백질 합성에 성공하여 유전정보 해독에의 생화학적 접근의 길을 열었다1964~65년에는 H G 코라나(Khorana)와 협력하여 64가지 트리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하고, 그것을 ... ...
"경제와 삶의 질 원천은 기초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그들의 자존심을 높여주는 일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올해 연구회 산하 기관의 전체
연구원
가운데 10%가 연봉 1억 원 이상을 받도록 만드는 동시에 도와주고 밀어주고 끌어주자는 ‘도밀끌 운동’을 계속해 타 분야 과학자를 칭찬하는 사람(추임새 상)이나 창의적 우수
연구원
(다빈치 상)에게 더 ... ...
한반도 수호천사 COMS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단장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던 아리랑 1호를 가슴에 묻었다. 대신 4년 전부터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과 유럽 위성업체 ‘EADS 아스트리움’이 공동으로 개발 중인 통신해양기상위성(COMS)에 해양관측용 카메라를 실어 2009년 발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아리랑 1호가 극궤도위성이었다면 COMS는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구조를 파악하는 장비다. 그런데 분자의 크기가 크면 NMR로 구조를 알기 힘들다. 박사후
연구원
시절 NMR을 뒤로 하고 X선 결정학에 뛰어들었다. 그 당시 그의 지도교수는 전달RNA(tRNA)의 구조를 밝혀 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김성호 교수다.파장이 짧은 X선을 이용하면 NMR로 보기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가 앞으로 지구의 기후 변화주기를 어떻게 바꿔놓을지는 전혀 예측할 수 없다.”한국해양
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 김성중 박사의 말이다. 이산화탄소 같은 기체는 대기 중에 수백 년간 머물며 지속적으로 온실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에 미래의 기후를 변화시키는 강력한 변수다. 지난해 IPCC(정부간 ... ...
이전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