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시
같은시기
동기
뉴스
"
같은시간
"(으)로 총 8,657건 검색되었습니다.
美·中 세계 슈퍼컴 순위 1~3위 싹쓸이...한국 ‘누리온’은 14위
동아사이언스
l
2019.11.20
미국 콜로라도 덴버에서 열린 SC2019에 참가한 KISTI 부스 전경. KISTI 제공. 4차산업혁명과 빅데이터 시대 각국 경쟁력을 엿볼 수 있는 세계 최고 슈퍼컴퓨터 순위 톱500에서 미국과 중국의 양강 체제가 유지됐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은 올 상반기에 비해 1단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
2019.11.19
Addiction Center.com 사이키델릭을 통한 신비로운 경험은 이중의 가치를 지닌다. 먼저 나 자신과 세계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또 하나는 자기중심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좀 더 창조적인 삶을 살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이다. - 올더스 헉슬리, 소설가 난 LSD를 통해 심오한 체험을 했어요. ... ...
"간헐적 단식도 일상화하면 심부전 위험 낮춘다"
연합뉴스
l
2019.11.19
미 인터마운틴 헬스케어, 심장협회 학회보고 단식(斷食·fasting)이 건강에 어떤 영향은 미치는지는 아직 의학적으로 결론이 나지 않았다. 그런데 심장 카테터 검사(cardiac catheterization)를 받은 환자가 간헐적으로 짧은 단식을 하면, 아예 하지 않은 환자보다 기대 수명이 길어지고, 심부전 위험도 ... ...
실험동물 대안 제브라피쉬로 환경호르몬 뇌신경 교란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11.19
배명애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기반기술연구센터장이 실험동물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는 제브라피쉬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대안 실험동물로 주목받는 ‘제브라피쉬’ 치어를 이용해 환경호르몬 일종인 비스페놀A(BPA)의 뇌신경 교란 장애를 규명하는 데 ... ...
"왜적 토벌 최고의 계책"조선의 지연식 박격포탄 '진천뢰'구조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11.19
세종 때 개발된 총통완구를 복원한 모습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왜적을 토벌하는 계책으로 진천뢰(震天雷)보다 더 나은 것이 없었다.”(향병일기, 계사년(1593년) 2월 9일) “진천뢰는 효과가 있어 왜적의 간담을 벌써 서늘케 하니 지극히 기쁘지만, 안동의 진영에는 3개뿐인 데다 화약 ... ...
[바로잡습니다] 미토콘드리아DNA 유전질환 적은 이유는 ‘병목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19.11.19
동아사이언스는 19일 새벽 4시 ‘미토콘드리아DNA 유전질환 적은 이유는 병목현상’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이는 관련 논문을 소개한 미국립과학원회보(PNAS)가 정한 엠바고 해제 시점인 19일 오전 5시(한국시간)보다 한 시간 일찍 공개한 것입니다. 논문 엠바고 해제 시간이 한국 시간으 ... ...
한빛1호기 수동정지 거짓보고 추가 들통…진술 검증못한 원안위 특사경
동아사이언스
l
2019.11.18
지난 5월 22일 서울 광화문 소재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시민단체들이 한빛1호기 사건을 규탄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검찰이 올해 5월 한빛원전 1호기가 열출력이 제한치인 5%를 넘겨 수동정지한 사고와 관계된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들을 무더기 기소했다. 검찰은 이들 관계자들이 열출력이 ... ...
전기플러그에 꽂으면 미세먼지 속 무기나노물질 위험성 판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8
황정호 연세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수백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무기 나노입자를 미세먼지 형태로 합성시켜 3주 안에 인체 유해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세대 제공 대기 중 미세먼지가 늘고 가습기 살균제 사태가 일어나면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유해 물질에 대한 우려가 ... ...
[프리미엄리포트]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
2019.11.17
한국 연구진이 3D모델링으로 복원한 데이노케이루스 유난히 뜨거웠던 2009년 8월, 필자가 속한 ‘한국-몽골 국제공룡탐사’ 연구팀은 몽골 부긴자프에서 충격적인 공룡 화석을 발견했다. 두개골과 앞발, 뒷발 골격은 도굴된 상태였으나 어깨와 앞다리 골격만으로 확신할 수 있었다. 반세기 동안 공 ... ...
"AI에게 우주환경 학습시켰더니 천체 관측시간 확줄고 희미했던 별 뚜렷"
동아사이언스
l
2019.11.15
태양 흑점이 폭발하면서 쏟아져 들어오는 고에너지 입자들이 각종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우주 전파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최근 과학자들이 우주 전파 환경을 예측하는데 활용하려고 도입을 추진하는 기술이 인공지능(AI)다. 이달 14일 경기 수원 경희대 국제캠퍼 ... ...
이전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