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d라이브러리
"
각
"(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포유류처럼 체온 가진 물고기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작성했다. 그리고는 온혈 어류가 출현한 분기점을 밝혔다.
각각
의 온혈 어류가 발견되는
각
분기점에서 그 온혈 어류와 가장 밀접한 종은 냉혈 어류였다. 이는 그들이 온혈 어류를 공동의 조상으로 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온혈어류의 진화사에서 그들과 가장 가까운 냉혈 어류의 생활상을 ... ...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충청도에서 가축이 4두, 1937년 전북에서 사람이 2명, 1942년에 경남에서 가축 1두가
각각
호랑이에게 피해를 당한 것으로 기록돼 있어 적어도 그 무렵까지는 호랑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북한에는 1954년 김용상이 개인통신으로 국제자연보호연맹(lUCN)에 40-50두의 야생수를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198 ... ...
KIST 자성합금 연구실장 김희중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상황으로 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이 뒷받침해줘야 한다는 것은 비단 그만의 생
각
이 아니다. 그 자신 주입식 교육을 받으며 자랐고, 또 같은 교육을 받으며 자란 후학들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독창성을 키우지 못하는 교육'에 불만이 대단하다. 배운 것을 응용하지 못하게 하는 암기 ... ...
모형비행기로 무인 공중 촬영 성공한 김인봉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뛰쳐나간다. 엑스포 대회장이 가깝고 잔디가 잘 자란 활주로가 그를 기다리고 있다고 생
각
하기 때문이다. 거기에는 어린이는 물론 나이 지긋한 국민학교 선생님도 떨리는 손으로 조정간을 잡고 모형비행기를 즐긴다.어느 새 그들과 한 식구처럼 지내는 김인봉씨는 앞으로 모형비행기연구소를 ... ...
윈도우의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최대화(maximize)하기 위한 것이다. 일단 최대화가 되면 이 삼
각
형 모양이 있던 자리에는 삼
각
형 두개가 합쳐진 그림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창의 크기를 최대화하기 이전으로 돌려준다.메뉴줄 : 윈도우에서의 메뉴는 항상 통일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메뉴는 창에서 항상 두번째 줄에 위치하게 된다. 즉 ... ...
2. 의료계의 혁명 수혈기술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인공혈액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많은 학자들은 그 활용이 아직은 이르다고 생
각
하여 현재 국내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구미 선진국에서도 실제 환자에는 거의 사용치 않고 있다. 극히 제한적인 경우, 예를 들어 종교적 이유로 수혈을 거절하는 여호와의 증인 신도나 아주 희귀한 혈액형을 ... ...
잎 꽃 뿌리가 하얀 삼백초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전세계에 삼백초 식물은 오직 2종이 있는데, 동아시아와 북미 동부가
각각
1종씩 불연속적인 분포를 나타내고 있는 분류군이다. 삼백초(Saururus Chinensis(Lour.) Baill)는 삼백초과 ... 약용으로의 채취, 개발 및 환경오염으로 인한 서식처 파괴 등이 삼백초의 자생지를 위협한다고 생
각
된다 ... ...
(1) 생성 및 광채의 신비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지금까지 많은 보석의 신비를 하나 하나씩 벗기고 있다. 보석을 그저 아름답다라고만 생
각
하지 말고 과연 그 아름다움은 어디서 오는가라는 의문속에 본다면 이전보다 훨씬 더 신비함을 경험할 것이다 ... ...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세기 미래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한다.의학의 장은 거대 인체 모형을 컴퓨터로 조작하면서
각
기관들의 역할을 습득할 수 있게끔 꾸며져 있다. 자연과 건강의 장에서는 세계의 약초분포도와 함께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민간요법이 소개되며 고려인삼의 유래와 재배과정이 자세하게 안내된다 ... ...
(1) 다목적 임무 수행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중요한 시험은 화물탑재공간의 덮개문을 두번씩 열었다 닫는 것이었다. 두 우주인은
각각
2번의 7시간반 정도 취침 시간을 가졌으며 총 6번의 식사를 하였다. 총 36회의 궤도회전을 53시간만에 끝낸 후 인도양 상공에서 제동로켓을 점화하여 위성궤도를 벗어나기 시작했다. 이 시점은 활주로에 ... ...
이전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다음
공지사항